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우울과 죽음의 센티멘털리즘—곽지균의 멜로드라마 영화와 뉴 센티멘털리즘, 그리고 '두 여자의 집'

Sentimentalism of Melancholia and Death―Kwak Ji-kyun’s Melodrama Films, New Sentimentalism, and The Home of Two Wome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1, pp.87-122
https://doi.org/10.18856/jpn.2019.25.1.003
이윤종 (원광대학교)

초록

본고는 곽지균 감독의 <두 여자의 집>(1987)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우울과 죽음의 정서가 1980년대 후반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제작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곽지균은 1980년대 후반에 등장한 한국 뉴 센티멘털리즘 영화의 기수라 할 만한 대표적 멜로드라마 작가이다. 뉴 센티멘털리즘 영화는 이전까지의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를 완전히 지배했던 신파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한국영화의 과잉된 감정으로부터 벗어난 세련된 멜로드라마를 지향한다. 이러한 감정적 정교함은 죽음을 통한 이별로 인해 생기는 영화 속 인물들의 상실감이나 우울과 직결된다. 곽지균의 <두 여자의 집>은 이러한 뉴 센티멘털리즘 영화의 죽음 충동과 상실감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려 고군분투하는 예술가들의 내적 갈등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두 여자의 집>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곽지균의 영화세계와 뉴 센티멘털리즘의 영화사적 위상을 재고해 볼 것이다.

keywords
멜로드라마, 곽지균, 두 여자의 집, 뉴 센티멘털리즘, 신파, 죽음, 우울, 죽음충동, 자살, 상실, 젠더, 1980년대, 한국영화사, 정동, melodrama, Kwak Ji-kyun, The Home of Two Women, New Sentimentalism, shimpa, death, melancholia, death drive, suicide, loss, gender, the 1980s, Koean film history, affect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elancholia and death drive foregrounded in Kwak Ji-kyun’s films have changed the affect and production trend of South Korean melodrama films of the late 1980s and thereafter. It particularly analyzes Kwak’s The Home of Two Women (1987) as his exemplary melodrama film. Kwak is not only an auteur filmmaker of the 1980s and 1990s but was also a herald of South Korean New Sentimentalist films back then. The New Sentimentalist filmmakers have aspired to sophisticate the South Korean melodrama film not only by de-sentimentalizing it from the shimpa quality but also separating it from excessive emotion of shimpa that had long dominated the national cinema. This affective sophistica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sense of loss and melancholia/depression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caused by the death of one’s beloved. This New Sentimentalist affect is best represented in Kwak’s The Home of Two Women through its depiction of the internal conflicts of artists struggling to artistically sublimate the death drive and sense of loss. By textually analyzing The Home of Two Women, this paper not only reevaluates Kwak’s film style but also reposition the topology of the New Sentimentalists in Korean film history.

keywords
멜로드라마, 곽지균, 두 여자의 집, 뉴 센티멘털리즘, 신파, 죽음, 우울, 죽음충동, 자살, 상실, 젠더, 1980년대, 한국영화사, 정동, melodrama, Kwak Ji-kyun, The Home of Two Women, New Sentimentalism, shimpa, death, melancholia, death drive, suicide, loss, gender, the 1980s, Koean film history, affect

참고문헌

1.

곽지균, <겨울 나그네>, 동아수출공사, 1986.

2.

곽지균,<두 여자의 집>, 태흥영화, 1987.

3.

곽지균,<그후로도 오랫동안>, 태흥영화, 1989.

4.

곽지균,<상처>, 동아수출공사, 1989.

5.

곽지균,<젊은 날의 초상>, 태흥영화, 1990.

6.

곽지균,<이혼하지 않은 여자>, 태흥영화, 1992.

7.

곽지균,<장미의 나날>, 동아수출공사, 1994.

8.

곽지균,<깊은 슬픔>, 동양미디어/금강기획, HBS 현대방송, 동양창업투자, 1997.

9.

곽지균,<청춘>, (주)원필름, 2000.

10.

곽지균,<사랑하니까, 괜찮아>, (주)유비다임씨앤필름, 2006.

11.

김수남, 『한국영화의 쟁점과 사유』, 문예마당, 1997.

12.

김수남, 「곽지균의 삶과 영화: 진지한 삶에 대한 성찰」, 『영화연구』 21호, 2003, 31-52쪽.

13.

김훈순·김은영,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멜로영화 <미워도 다시 한번> 시리즈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15, 2010, 121-153쪽.

14.

무라카미 하루키, 『상실의 시대』, 유유정 옮김, 문학사상사, 1989.

15.

박유희, 「한국 멜로드라마의 형성 과정 연구: 저널리즘에 나타난 ‘멜로드라마’ 장르개념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38, 2009, 181-212쪽.

16.

박진영, 「“이수일과 심순애 이야기”의 대중문예적 계보: <장한몽>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3, 2004, 231-264쪽.

17.

백문임, 『월하의 여곡성: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책세상, 2008.

18.

이윤종, 「한국 에로영화와 일본 성인영화의 관계성: <애마부인>을 중심으로 본 양국의 1970-80년대의 극장용 성인영화 제작관행」, 『대중서사연구』 21-2, 2015, 81-117쪽.

19.

이윤종, 「역진의 정치성: 80년대 한국 에로영화론」, 『문화/과학』 93, 2018, 326-351쪽.

20.

조은선, 「전후 한국 멜로드라마 담론을 통해 본 영화적 근대성과 근대적 여성상」, 『문학과 영상』 8-3, 2007, 231-252쪽.

21.

천정환, 『자살론: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문학동네, 2014.

22.

함충범, 「한국영화(사)의 출발 기점에 관한 재고찰: ‘1919년론’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영화의 기원과 초기영화』 자료집, 2018 한국영화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2018, 40-61쪽.

23.

Abelmann, Nancy, The Melodramatic Mobility: Women, Talk, and Clas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Honolulu: Univerity of Hawai’i Press, 2003.

24.

Brooks, Peter, Melodramatic Imagination: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5.

25.

Buckley, Matthew, “Unbinding Melodrama”, Melodrama Unbound: Across History, Media, and National Cultures, Christine Gledhill and Linda Williams (eds.), pp.15-29.

26.

Freud, Sigmund, Totem and Taboo, New York: W. W. Norton, 1989.

27.

Freud, Sigmund,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New York: W. W. Norton, 1990.

28.

Freud, Sigmund, General Psychological Theory, New York: Touchstone, 1997.

29.

Gledhill, Christine (ed.), Home Is Where the Heart Is: Studies in Melodrama and the Woman’s Film,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1987.

30.

Gledhill, Christine, “Rethinking Genre”, Reinventing Film Studies, Christine Gledhill and Linda Williams (eds.), pp.221-243.

31.

Gledhill, Christine and Linda Williams (eds.), Reinventing Film Studies, London: Arnold, 2000.

32.

Gledhill, Christine and Linda Williams (eds.), Melodrama Unbound: Across History, Media, and National Cultur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2018.

33.

Lee, Yun-Jong, Cinema of Retreat: Examining South Korean Erotic Films of the 1980s, Irvin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012.

34.

Singer, Ben, Melodrama and Modernity: Early Sensational Cinema and Its Contex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