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최근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면서, ‘공연자-관객’의 구도를 보였던 방송인과 시청자의 지위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의 1인 방송에 나타나는 ‘스트리머-시청자’ 역할의 층위 변화에 주목하고, 이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집단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으로 발터 벤야민과 레슬리 실코의 ‘이야기와 이야기꾼’, 어빙 고프먼의 ‘사회적 역할론’을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1인 미디어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을 재규정해 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유튜브 플랫폼 기반의 1인 게임 방송인 <대도서관 TV(buzzbean11)> 채널은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과 녹화 방송으로 구분된다. 특히 녹화된 방송에서는 ― 고프만이 말한 ― 관객과 만나는 ‘앞무대’가 확장되면서, 실시간 방송 시청자가 방송팀 구성원의 일부로 참여한다. ‘스트리머’, ‘게임 참여자’, ‘실시간 방송의 시청자’는 역할의 층위가 조정되면서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아 게임 방송 서사를 집단 창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트리머는 주요 이야기꾼이자 앞무대 진행자로서, 중심 스토리텔링을 전개하며 방송의 정체성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게임 참여자는 보조 이야기꾼이자 앞무대 공모자로, 게임 서사를 보충하고 방송의 정체성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방송 시청자는 간헐적인 보조 이야기꾼이자 앞무대의 간접적 공모자로, 스토리텔링의 틈을 메우고 방송의 정체성을 보존한다. 이처럼 복합적인 층위의 역할 수행자를 통해, 각기 다른 조각의 이야기가 덧붙여져 최종적으로 게임 방송의 서사가 전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스트리머-시청자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탈피하여, 1인 게임 방송의 집단 스토리텔링에 참여한 시청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감안할 때, 스트리머-참여자와 집단 스토리텔링의 양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고에서 다룬 연구방법론이 관련 후속연구를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도서관TV(buzzbean11)>, Youtube, 2010-2021.
김지영, 실코의 이야기꾼 에 나타난 이야기의 집단적 힘 , 영어영문학 55권 2호, 한국영어영문학회, 2009, 293-314쪽.
김해원, 21세기 신부족시대 부족장 ‘크리에이터(creator)’ , 2018 미디어 산업 보고서 시즌 2 스낵미디어 산업 동향 Vol.1, 한국전파진흥협회, 2018, 13-25쪽.
김희성, 미국 원주민 구전 전통을 통한 실코의 유동적 자아쓰기 , 현대영미시연구 20권 1호, 2014, 39-64쪽.
노 준, 2020년 국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 변화와 전망 , 2020 미디어 산업보고서 시즌 4, 1인 미디어 산업 동향 Vol.3, 한국전파진흥협회, 2020, 4-26쪽.
로제 카이와, 놀이와 인간, 이상률 옮김, 문예출판사, 2018.
발터 벤야민, 서사ㆍ기억ㆍ비평의 자리, 최성만 옮김, 도서출판 길, 2017.
방송통신위원회,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운영 가이드라인 , 방송통신위원회 보고서, 2019.
송지은, 가볍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크리에이터 대도서관 ,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Broadcasting Trend & Insight Vol.12(2017년 3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2017, 36-43쪽.
안정상, 1인 미디어 시장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2020 미디어 산업 보고서 시즌4 1인 미디어 산업 동향 Vol.3, 한국전파진흥협회, 2020, 28-47쪽.
안 진·최 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방송학보 30권 2호, 한국방송학회, 2016, 5-53쪽.
어빙 고프먼, 자아 연출의 사회학, 진수미 옮김, 현암사, 2020.
유승관·박창희·홍종배,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내용분석 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권 1호, 한국콘텐츠학회, 2012, 146-153쪽.
윤현정, MCN 게이밍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연구 ,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14권 2호, 한국영상학회, 2016, 23-37쪽.
이수현·한준·하홍규, 페이스북에서의 자아 연출과 인상 관리 , 사회이론 46, 한국사회이론학회, 2014, 293-335쪽.
이우학, 레슬리 마몬 실코의 이야기꾼: 이야기꾼의 역할 , 동화와 번역 22호, 동화와번역연구소, 2011, 221-238쪽.
임홍배,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 에 나타난 서사이론적 함의 , 독일어문화권연구 26호,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7, 189-210쪽.
장현미, 고프먼 관점에 따른 자아의 유형화와 커뮤니케이션적 함의 ,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2호, 한국언론학회, 2014, 325-370쪽.
주현식, 네트워크화되는 ‘나’(me)—유튜브와 대화적 상상력 , 문화와 융합 41권5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687-716쪽.
최미경,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MCN 콘텐츠를 중심으로 , 동화와 번역 39호,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197-226쪽.
최윤정, TV 시청과 온라인 대화의 결합 , 한국방송학보 28권 4호, 한국방송학회, 2014, 315-355쪽.
한의정, 소수 예술: 들뢰즈의 미학과 아르 브뤼 , 美學․藝術學硏究 41호,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213-238쪽.
한혜원·김서연, 온라인 개인 게임 방송의 스토리텔링 분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4권 2호, 한국게임학회, 2014, 85-96쪽.
Boos, Florance, Conversations with Leslie Marmon Silko,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1994.
Carsten, Cynthia, “Storyteller: Leslie Marmon Silko’s Reappropriation of Native American History and Identity”, Wicazo Sa Review, Vol.21 No.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pp.105-126.
Goffman, Erving, “On Face-Work, An Analysis of Ritual Elements in Social Interaction”, Psychiatry, Vol.18 No.3, 1955, pp.213-231.
Lévi-Strauss, Claude, The Savag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Silko, Leslie Marmon, Selected Papers from the English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1.
Silko, Leslie Marmon, Storyteller, Penguin Publishing Group, 2012.
<국민 95%가 스마트폰 사용…보급률 1위 국가는?>, KBS news, 2019.2.11.(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35732)
<대도서관, 욕설 없는 개인방송 비결…“그 비제이에 그 시청자”>, 이투데이, 2020.12.15. (https://www.etoday.co.kr/news/view/1974227)
<대도서관, “유튜버의 비법은 기획력과 성실성. 조회 수로 돈 버는 것 아냐”>, YTN, 2018.6.26. (https://www.ytn.co.kr/_ln/0102_201806261752053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