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신상옥 감독, 최은희 주연의 북한영화 <소금>(1985)은 방언을 사용했다는 점, 강간과 출산의 장면을 묘사하고, 여성 신체를 노출시켰다는 점 등에서 기존 북한영화계의 금기를 깬 사례로 잘 알려져 있다. 이 깨어진 금기들은 주로 최은희가 재현한 ‘혁명적 어머니’ 형상과 섹슈얼리티 문제의 측면에서 해석되어 왔다. 반면 문화어(표준어)만이 재현될 수 있었던 북한영화계의 방언 기입 문제는 면밀히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소금> 속 방언을 다양한 요소들이 중층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 파악하고, 방언 인용의 안팎을 포착함으로써 신상옥·최은희가 북에서 제작한 영화들이 갖는 함의를 재독하고자 한다. 김정일은 1970년대 후반 신상옥·최은희를 납북시킨 후 적극 후원함으로써 북한영화의 세계화와 산업화 이후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대중과 공명할 수 있는 영화제작을 요구했고, 두 영화인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환경에서 다종한 시도를 행할 수 있었다. <소금> 속 방언 재현 역시 그 궤도에서 가능했는데, 신상옥과 최은희는 <소금>에서 ‘리얼’함을 살려 북한 내 관객을 겨냥하기 위한 장치로 방언을 사용했다. 최은희의 신체 위에 ‘각성하는 (조선)여성의 생활력’을 새겨 넣음으로써 남북이 아닌 ‘(조선)민족’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고통 속에 사는 인민의 삶을 대유하는 언어로는 방언이, 각성 이후의 앎을 표상하는 것이 문화어로 제시되면서 방언은 지역성 혹은 민족성보다 계급성을 부각하는 장치로 탈바꿈한다. 그 자리에서 최은희와 신상옥이 기획한 ‘리얼’한 요소로서의 방언은 문화어의 규범 아래에 포섭된 채 북한의 헤게모니와 조우한다. 요컨대 <소금> 속 방언의 인용 사례는 북한영화계에서 돌출적인 위치에 있었던 신상옥·최은희가 일군 영화적 성과들이 북한 정권의 권역으로부터 불가분한 작업이었음을 드러낸다. 두 영화인의 금기 깨기는 어디까지나 허가된 금기 깨기의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들의 작업은 김일성-김정일로 이어지는 정권 승계 과정에서 벌어진 틈새를 포착해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상옥 감독, <소금>, 신필름영화촬영소, 1985.
강혜석, 「북한 민족주의론의 분화와 진동(1980-1997): 이중 통치의 부상과 정치적 계승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7권 1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20, 51-83쪽.
고성준, 「주체사상의 ‘김일성주의’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김남석, 「북한영화 <소금>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131-134쪽.
김룡봉, 『조선영화사』(제2판), 사회과학출판사, 주체102, 2013.
김보국, 「신상옥 감독과 배우 최은희의 미국 망명 관련 의문점들」, 『아세아연구』 63권 1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191-219쪽.
김선아, 「영화국가 만들기: 『영화예술론』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영화미학에 대한 고찰」, 『영화연구』 48호, 한국영화학회, 2011, 117-151쪽.
김성경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3』,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김원진, 「북한 문화어의 성립과 전개: 언어정책적 차원에서의 접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정일, 「영화예술론(1973.4.11.)」, 『김정일 선집』(증보판 5), 조선로동당출판사, 주체99, 2010.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한홍구 옮김, 돌베개, 2015.
박유희, 「영화배우 최은희를 통해 본 모성 표상과 분단체제」, 『한국극예술연구』 33호, 한국극예술학회, 2011, 129-164쪽.
박유희, 「스펙터클과 독재: 신상옥 영화론」, 『영화연구』 49호, 한국영화학회, 2011, 93-127쪽.
서대숙 편, 『북한문헌연구: 문헌과 해제, 제6권 사회·법』,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4.
신상옥, 『난, 영화였다: 신상옥 감독이 남긴 마지막 글들』, 랜덤하우스, 2007.
안숭범, 「신상옥 연출 남북한 『춘향전』 원작 영화 속 몽룡‘들’: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성격화’」, 『비교문화연구』 42권,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16, 343-369쪽.
이경식, 「북한 영화의 이론과 특성」, 『아시아영화연구』 4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1, 171-190쪽.
이명자, 『북한영화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이명자, 「신상옥 영화를 통해서 본 북한의 작가주의」, 『현대북한연구』 8권 2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5, 125-156쪽.
이상우, 『극장, 정치를 꿈꾸다』, 테오리아, 2018.
이헌근, 「김정일체제와 주체사상: 권력세습과 체제유지」, 『한국시민윤리학회보』 9집, 한국시민윤리학회, 1997, 93-108쪽.
장혜련, 「북한 영화 <춘향전>과 <사랑 사랑 내 사랑> 비교 연구」, 『문학과 영상』 9권 2호, 문학과영상학회, 2008, 431-456쪽.
전미영, 「북한 ‘문화어’ 화술(話術)의 수사학(修辭學)적 특성 연구」, 『현대북한연구』 9권 2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6, 89-131쪽.
전영선·김지니, 「북한의 언어 정책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양 사업」, 『북한학보』 44권 1호, 북한학회, 2019, 153-189쪽.
정은경, 「만주서사와 “비적”」, 『현대소설연구』 55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53-84쪽.
정태수, 「북한영화의 국제교류 관계연구(1972~1994): 소련, 동유럽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7권 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229-258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직속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조준형, 『영화제국 신필름: 한국영화 기업화를 향한 꿈과 좌절』, 한국영상자료원, 2009.
최은희, 『최은희의 고백: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삶』,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최은희·신상옥, 『金正日왕국: 崔銀嬉·申相玉 납북수기, 홍콩—평양—비엔나 탈출까지』(하), 동아일보사, 1988.
최은희·이장호 엮음, 『영화감독 신상옥: 그의 사진풍경 그리고 발언 1929-2006』, 열화당, 2009.
한상언, 「칼라영화의 제작과 남북한의 <춘향전>」, 『구보학보』 22호, 구보학회, 2019, 571-599쪽.
함충범, 「‘신상옥 영화’의 기술적 시도와 제작 선점화의 양상들」, 『현대영화연구』 17권 2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175-201쪽.
홍순직, 「북한 경제 구조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구조 변화 요인 분석과 전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Ryang, Sonia, North Korea: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Lanham, MD: Lexington Books, 2009.
Sebo, Gabor, “A Study on the Impact of Shin Sang-ok on North Korean Cinema”, Ph.D. diss., Korea University, 2018.
<기성의 틀, 자명한 교훈의 설교, 도식주의 등에서 벗어난 독자적이고도 기대를 안겨주는 영화, 최은희의 경이적인 연기: 쏘련잡지가 예술영화 《소금》에 대한 관평을 발표>, 『로동신문』, 1986.3.3., 4면.
<시사평론: 납북 신상옥, 최은희 북한탈출>, 『통일한국』 28권, 평화문제연구소, 1986, 10-14쪽.
<제14차 모스크바국제영화축전에서 예술영화 《소금》의 주인공역을 맡은 최은희가 연기상을 받았다>, 『로동신문』, 1985.7.14., 4면.
<조선영화인의 긍지: 제14차 모스크바국제영화축전에서 연기상(금상)을 받은 최은희 선생>, 『로동신문』 1985.7.16., 4면.
국가기록원 사이트 내 “한글이 걸어온 길”. (https://theme.archives.go.kr//next/hangeulPolicy/standardLanguag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