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Representation of chaebol in Korean mystery novels in the late 1970s and 1980s—focus on Jo Hae-il, The Country You Cannot Go and Park Bum-shin, The god of executio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2, pp.297-328
https://doi.org/10.18856/jpn.2022.28.2.00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1970년대 후반~80년대 한국추리소설 속 재벌 표상을 분석하여 당대 대중들의 재벌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재벌을 통해 당대 사회문제를 다룬 조해일의 『갈 수 없는 나라』(1979)와 박범신의 『형장의 신』(1982)은 ‘정의’에 대한 대중의 환상과 재벌 가부장의 지위 ‘상속’이라는 문제를 잘 보여주는 추리소설이다. 이 시기 추리소설은 현실의 사회 문제 및 사회구조 변화를 담아내는 한편,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회복 및 가부장 지위 계승 문제를 전면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갈 수 없는 나라』의 남성 주인공은 부도덕한 재벌2세에 대한 복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지만, 범죄자가 되어 체포 되면서 오히려 현실에서 정의를 구현하지 못하는 공적 영역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라는 문제를 보여준다. 『형장의 신』은 고아인 남성이 재벌 후계자 자리에 오르고자 하는 모습을 통해 무한경쟁 속에 내몰린 남성주체의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남성 인물들과는 대조적으로 1980년대 한국추리소설의 여성 범죄자들은 완전범죄를 완성하는 경우가 많다. 『갈 수 없는 나라』의 여성 주인공은 남성 인물들이 끝내 놓지 못하는 도덕적 명분이나 가정 내의 자리에 집착하지 않으며, 성공과 신분상승을 위해 자신이 가진 자산을 직시하고 최대한 이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작가는 범죄자인 여성을 성적,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간주하며 단죄하려 하지만 작가의 의도를 초과한 여성의 욕망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해명하였다.

keywords
한국추리소설, 재벌, 경쟁, 욕망, 정의, 팜므파탈, 가족주의, 가부장제, 조해일, 박범신, Korean mystery novels, chaebol, competition, desire, justice, femme fatale, familism, patriarchy, Haeil Jo, Beomshin Park

Reference

1.

박범신, 『형장의 신』, 행림출판사, 1982.

2.

조해일, 『갈 수 없는 나라』 상, 하, 삼조사, 1979.

3.

『경향신문』

4.

『동아일보』

5.

『매일경제』

6.

『조선일보』

7.

계정민, 『범죄소설의 계보학』, 소나무, 2018.

8.

김윤태, 『한국의 재벌과 발전국가: 고도성장과 독재, 지배계급의 형성』, 한울, 2012.

9.

김지혜, 「1970년대 대중소설의 죄의식 연구」, 『현대소설연구』 5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223-251쪽.

10.

노지승, 「남성 주체의 분열과 재건, 1980년대 에로영화에서의 남성성」, 『여성문학연구』 30,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223-251쪽.

11.

로저 L. 자넬리‧임돈희, 「한국 한 재벌회사의 인간관계에 대한 문화적 이해와 관행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8, 한국문화인류학회, 1995, 167-198쪽.

12.

미셸 푸코,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콜레주드프랑스강의 1978∼79년』, 심세광·전혜리·조성은 옮김, 난장, 2012.

13.

박유희, 「한국 추리서사와 탐정의 존재론」,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추리물』, 이론과실천, 2011.

14.

박찬종, 「한국 신자유주의의 정치적 기원—부마항쟁과 과주항쟁 이후의 경제정책 전환」, 『사회와 역사』 117, 한국사회사학회, 2018, 79-120쪽.

15.

소영현, 「팜므파탈이라는 장치와 젠더화된 사회적 집합감정」,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145-181쪽.

16.

안혜연, 「마쓰모토 세이초 추리소설의 한국 수용—번역과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사이(SAI)』 27,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9, 449-479쪽.

17.

야마사키 토요코, 『불모지대』 1권, 박재희 옮김, 청조사, 1980.

18.

양 수, 「1970년대 ‘재벌’의 문학적 표상 및 의미: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이동연 옮김, 이후, 2001.

20.

우치다 류조, 이현희 옮김, 「가파른 성장과 미스터리」, 시마조노 스스무 외, 『역사와 주체를 묻다』, 소명출판, 2014.

21.

이상록, 「동기부여와 인간개발, 자기관리형 인간의 탄생: 1970~80년대 한국에서 인간개발 담론과 ‘성과주체’ 생산」, 『역사비평』 132, 역사비평사, 2020, 193-231쪽.

22.

이정옥, 「산업자본주의 시대, 여성의 삶과 서사」, 『여성문학연구』 8,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261-281쪽.

23.

장진호, 「한국 재벌과 ‘무책임의 경제’」, 『역사비평』 108, 역사비평사, 2014, 91-119쪽.

24.

줄리언 시먼스, 『블러디 머더』, 김명남 옮김, 을유문화사, 2012.

25.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2011.

26.

핫토리 토미오, 『일본이 본 한국의 기업경영과 재벌』, 유한성·국중호 옮김, 평화사, 1991.

27.

T. 토도로프, 『산문의 시학』, 신동욱 옮김, 문예출판사, 1992.

28.

瀬島龍三, 『幾山河: 瀬島龍三回想録』, 産經新聞ニュ—スサ—ビス, 1995.

29.

堀啓子, 『日本ミステリー小説史』, 中央公論社, 201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