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 무엇으로 치료할 것 인가? 구강내장치를 중심으로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Oral Appliance Therapy of Snoring and OSA

Abstract

수면호흡이상(sleep-disorders breathing,SDB)으로 분류되는 코골이(snoring)와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근육 톤의 감소로 인해 pharyngeal airway가 협착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나눌 수 있으며, 비외과적인 치료에는 구강내장치를이용하는 방법과 지속적상기도양압술, 약물요법, 행동요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외 과 적 치 료 방 법 으 로 는 기 관 지 절 제 술(tracheostomy), 기도확보를 위해 연구개와 구개수를 절 제 해 주 는 구 개 수 연 구 개 인 두 성 형 술(uvulopalatopharymgeoplasty, UPPP), 혀를전방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해 악골을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악교정수술 등이 있다. UPPP의 발전된 치료법으로 Laser-assisted UPPP(LAUPPP)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구개에 고주파를 주입하는radio frequency ablation(RFA) 치료에서 조직내부를 뻣뻣하게 하여 코골이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구개수와 연구개의 떨림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있다. 치료법 중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지속적상기도양압술(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로 일종의 산소호흡기와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기도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넓혀주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Fig. 1). 이 장비는 효능 면에서는 탁월하지만 장비구입에 비용이 많이 들고 환자에게 심한 불편감을 줄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전통적인 수술방법의 경우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이있으며, 술후 재발 및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고 비가역적인 치료이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좀 더 경제적이고 간편하고 비관혈적인 가역적인 치료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비외과적인 치료 방법중에서 치의학적 치료방법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그 효능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특히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구강내장치가 소개되고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keywords
oral appliance therapy, dental appliance, snoring, obstructive sleep apnea

참고문헌

1.

1. 정성창. 코골이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대한치과의 사협회지 1996;34(6):400-409.

2.

2. 김연중.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치료법.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6;34(6):418-423.

3.

3. 박남선, 이기호, 김미은, 김기석. Size and Retention of Tongue Bulb for Tongue Retaining Device. 대 한 안 면 통 증 구 강 내 과 학 회 지 2007;32(3):283-292.

4.

4. 조 철 배 , 김 미 은 , 김 기 석 . Changes of the Pharyngeal Space by Various Oral Appliances for Snoring. 대 한 안 면 통 증 구 강 내 과 학 회 지 2009;34(3):247-256.

5.

5. 장동훈, 박준상, 고명연. 코골이 환자의 처치. 대한 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지 2000;25(2):247-251.

6.

6. 안홍균, 정성창, 이승우, 김영구. 구강내장치를 이 용한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효과.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지 1997;22(2):383-394.

7.

7. 안홍균, 이광호, 정성창. 코골이와 페쇄성수면무호 흡증 환자에서 무호흡 심도에 따른 구강내 장치의 치료효과 및 환자의 적응도에 관한 연구. 대한안 면통증구강내과학회지 1998;23(4):419-432.

8.

8. Kushida CA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oral appliances: An update for 2005. Sleep 2006;29(2):240-243.

9.

9. Clark GT.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Sleep Medicine Reviews 1998;2(3):163-174.

10.

10. Schmidt-Nowara W, Lowe A et al. Oral Appliance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Sleep 1995;18(6):501- 510.

11.

11. Ferguson KA, Cartwright R, Rogers R et al. Oral Appliances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Sleep 2006;29(2):244-262.

12.

12. Johnston CD, Gleadhill IC, Cinnamond MJ, Peden WM. Oral appliances for the management of severe snor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Orthod 2001;23(2):127-34.

13.

13. Falace DA. Chapter 13. Oral Appliances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Pagel JF, Pandi-Perumal SR (eds). Current Clinical Practice: Primary Care Sleep Medicine: A Practical Guide. 1st edition. Humana Press Inc. 20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