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진단모형은 교정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서,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이 제공하지 못하는 치아 사이의 공간이나 총생의 양, 악궁의 형태, 치아의 형태, 발치의 필요성 및 발치할 치아의 결정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진단모형은 또한치아 크기 비율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며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얻기 위해서는 치아의 근원심 경사도, 순설경사도와 함께 치아 크기와 비율이 정상적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치아 크기와 비율에 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있어 왔으나, 현재까지도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Bolton analysis라고 할 수 있다. Bolton1)은 55명의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한 치아 크기의 부조화가 치열궁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overall ratio”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까지의전체 치아(12치아) 근원심 폭경의 합에 대한 하악제1대구치까지 전체 치아 폭경의 합의 비를 나타내고,“anterior ratio”를 통해 상악 6전치의 폭경의 합에대한 하악 6전치의 폭경의 합의 비를 제시하였다. 평균 overall ratio는 91.3±1.91%, 평균 anterior ratio는 77.2±1.65%로 이 수치를 따른다면 치료후에 적절한 수직피개와 수평피개 그리고 올바른 교합관계를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Bolton ratio는 기본적으로 백인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기 다른 인종 간에이 값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시 되어왔다. Lavelle2)은 정상교합을 가진 서로 다른 세 인종집단을 대상으로 치아 크기 비율을 비교 연구한 결과 overall ratio와 anterior ratio 모두 흑인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백인이 가장 작게 나타나 인종간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Smith와Buschang3)도 각기 다른 세 인종 간의 치아 크기 비율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각 인종간에 치아 크기의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Bolton analysis의 적용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다른 모든 인종에 적용된다고할 수는 없으나, 한국인의 치아 크기와 Bolton analysis를 통해 다른 인종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김 등4)은 98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비율에관한 연구에서 Bolton analysis 시 anterior ratio 는 78.3%, overall ratio는 91.1%로 Bolton의 평균과 비교시 anterior ratio는 1% 가량 크게 나타났고 overall ratio는 0.1%의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Bolton ratio는 정상교합자를대상으로 얻은 값인데 부정교합 환자에서도 이러한 비율을 적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으며 많은 이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Crosby와Alexander5)는 109명의 부정교합 환자를 대상으로치아 크기 비율을 측정한 결과 Bolton의 평균과 유의한 차이가 없고 부정교합 군간에도 차이가 없었으나개별군 내에는 표준편차가 높게 나타나 부정교합 군내에서는 치아 크기 부조화의 발생 빈도가 높음을 지적하였다. Freeman 등6) 역시 157명의 교정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평균은 Bolton의 평균과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범위와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부정교합자에서 치아 크기의 이상이 많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비해 Fattahi 등7)은 부정교합군 간의 치아크기 부조화에 대한 비교연구에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군에서 overall ratio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Nie와 Lin8)도부정교합군 간의 악간 치아 크기 부조화 비교연구에서Class III, Class I, Class II 순으로 비율의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고 하였고, 따라서 치아 크기 부조화가 부정교합의 원인요소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등9)은 부정교합자의 전치부 치아 크기 부조화에 관한연구에서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anterior ratio는 평균 78.24%, 표준편차는 2.06%로 Bolton ratio 및한국인 정상교합자 표본10)(77.3%)과 비교해 보았을때 평균, 표준편차, 범위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Crosby와 Alexander5)(77.5%),Freeman 등6)(77.8%), Santoro 등11)(78.1%) 의연구 결과와 비교 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이지 않았고 범위 및 표준편차는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위의 연구는 연구대상만 한국인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뿐 부정교합군에 따라 anterior ratio와 overall ratio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한편 부정교합 환자에서 교정 치료 시에 공간의 문제를 해소하고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발치를 치료계획에 포함시키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특히 소구치를 발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구치 발치 후에 Bolton overall ratio의 변화가 생길 수 있고 발치의 조합에 따라 치아 크기 부조화가 개선될 수도 있고 악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Bolton12)은치아 크기 비율 분석의 임상적용에 대한 그의 논문에서 소구치 발치 후에 overall ratio가 변화하며, 치료방법에 따라 치료 후의 overall ratio가 변화함을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바 있다. 또한 Saatçi 등13)은 50명의 부정교합 환자를 대상으로 소구치 발치의 조합이 치아 크기 부조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서 발치의 조합에따라 overall ratio의 변화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4개의 제1소구치 발치로 인해 치아 크기 부조화가 가장증가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Heusdense 등14)도 소구치 발치 이후 overall ratio는 Bolton overall ratio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4개의 제1소구치발치 시에 가장 큰 치아 크기 부조화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Kayalioglu 등15)도 4개의 소구치 발치 치료 후 이상적인 교합을 보이는 53개의 모형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overall ratio는 89.28%로Bolton의 연구에서 구한 평균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치료 계획 시에 이를 반영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1)한국인 부정교합자의 anterior ratio 및overall ratio를 구 하 고 , 2)부정교합군별로anterior 및 overall ratio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3)소구치 발치 조합별로 overall ratio의 변화를살펴보고, 4)Bolton ratio와 표준편차를 기준으로전체 부정교합자를 3군으로 나누어 각 군별로 발치 전후의 overall ratio를 비교하여 치아 크기 부조화의정도가 발치 후의 overall ratio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1. Bolton WA. Disharmony in tooth size and its relation to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malocclusion. Angle Orthod 1958;28:113-30.
2. Lavelle CLB.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size in different racial group and in different occlusal categories. Am J Orthod 1972;61:29-37.
3. Smith SS, Buschang PH, Watanabe E. Interarch tooth size relationships of 3 populations:“Does Bolton’s analysis appl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169-74.
4. Kim DS, Kim YJ, Choi JH, Han JH. A study of Korean Norm about tooth size and ratio in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Korean J Orthod 2001;31:505-15.
5. Crosby DA, Alexander CG. The occurrence of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5:457-61.
6. Freeman JE, Maskeroni AJ, Lorton L. Frequency of Bolton tooth-size discrepancies among orthodontic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10:24-7.
7. Fattahi HR, Pakshir HR, Hedayati Z. Comparison of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Eur J of Orthod 2006;28:491-5.
8. Nie Q, Lin J. Comparison of intermaxillary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539-44.
9. Kim HS, Shim HY, Nahm DS. A study on the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orthodontic patients with varying malocclusions. Korean J Orthod 2005;35:420-32.
10. Lee YH, Jang YH. Anterior tooth size ratio and anterior overbite in an ethnic Korean population with normal occlus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11. Santoro M, Ayoub ME, Pardi VA, Cangialosi TJ. Mesiodistal crown dimensions and tooth size discrepancy of the permanent dentition of Dominican Americans. Angle Orthod 2000;70:303-7.
12. Bolton WA.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 tooth size analysis. Am J Orthod 1962;48:504-29.
13. Saatçi P, Yukay F. The effect of premolar extractions on tooth-size discrepanc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7;111:428-34.
14. Heusdens M, Dermaut L, Verbeeck R. The effect of tooth size discrepancy on occlusion: an experimental stud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184-91.
15. Kayalioglu M, Toroglu MS, Uzel I. Tooth-size ratio for patients requiring 4 first premolar extract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5;128:78-86.
16. Sim EJ, Hwang HS, Moon JD. A study on the error of tooth size measurements. Korean J Orthod 1999;29:491-501.
17. Shellhart WC, Lange DW, Kluemper GT, Hicks EP, Kaplan AL. Reliability of the Bolton tooth-size analysis when applied to crowded dentitions. Angle Orthod 1995;65:327-34.
18. Bishara SE, Jacobsen JR, Abdullah EM, Garcia AF. Comparisons of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crown dimensions of the permanent teeth in 3 populations from Egypt,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6:416-22.
19. Araujo E, Souki M. Bolton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Angle Orthod 2003;73:307-13.
20. Alkofide E, Hashim H. Intermaxillary tooth-size discrepancy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classes: a comparative study. J Clin Pediatr Dent 2002;24:383-7.
21. Richardson ER, Malhotra SK. Mesiodistal crown dimension of the permanent dentition of American Negroes. Am J Orthod 1975;68:157-64.
22. Al-Tamimi T, Hashim HA. Bolton tooth-size ratio revisited. World J Orthod 2005;6:289-95.
23. Lee SJ, Moon SC, Kim TW, Nahm DS, Chang YI.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largeKorean sample. Korean J Orthod 2004;34:473-80.
24. Tong H, Chen D, Xu L, Liu P. The effect of premolar extractions on tooth size discrepancies. Angle Orthod 2004;74:508-511.
25. Kim EJ, Hwang HS.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tooth size measurements obtained by the use of computer. Korean J Orthod 1999;29:563-73.
26. Paredes V, Gandia JL, Cibrian R. Determination of Bolton tooth-size ratios by digitiza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