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 항체 검사에 대한 일반인/의료진의 사용 후 반응도 연구

Response of ordinary person/medical team after using of rapid oral HIV screening test

Abstract

1981년 처음으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가 보고된 이후 HIV 감염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9년 국제보건기구 (WHO)와 유엔에이즈계획(UNAIDS)의 발표에 따르면 2008년 세계 HIV 감염인 수는 총 3,340만명으로 2008년 한 해 동안 새로이 발견된 HIV 감염인 수는 총 270만명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HIV 감염인 수는 2008년 12월 말 누적 6,120명(사망 1,084명, 생존 5,036명)에서 2009년 12월 말 누적 6,888명(사망 1,217명, 생존 5,671명)으로 크게 증가 추세에 있고 곧 누적 감염인 수 7,000명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국내의 HIV 검사가 보편화되지 않은 실정을 고려한다면 실제 HIV 감염인 수는 보건 당국에 보고된 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3년 Hellinger 등에 따르면 HIV 감염인의 기대수명은 6.8년에 불과했으나 효과적인 치료법의 등장으로 조기 치료 시 HIV감염인의 기대수명은 감염 후 32.1년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에 감염인의 삶의 질의 향상과 이차감염 예방을 위해 HIV 감염의 조기발견이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최근 개발된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 항체 검사는 채혈이 필요 없고, 치과의사에게 친숙한 구강점막에서 채취한 구강액으로 쉽고 빠르게 검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치과에서 HIV 항체 검사를 도입하는 것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다 폭넓게 HIV 항체 검사를 제공하는 기회가 되며, HIV 감염인의 조기발견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에서 HIV 감염인 조기 발견을 위한 국외 현황을 살펴보면 Patton 등은 모든 치과대학에서 HIV에 대한 위험행동, 구강질환, 의학적 소견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며 HIV 상담과 검사가 치과의사의 역할 중의 하나라고 인식하였고, Villo 등은 치과에서 HIV 항체검사를 일상적으로 실시하여 HIV 감염인들에게 검사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고 안전한 치과치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또한 Scully와 Greenspan은 치과에서 HIV 검사는 통계적 수치나 위험 여부에 관계없이 자연적인 감염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국내에서는 박 등에 의해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 항체 검사에 대한 치과의사와 환자의 태도 및 지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 항체 검사를 시행한 후의 일반인과 의료진의 반응도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 논문의 목적은 치과병원/치과의원에서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 항체 검사를 시행한 환자 및 의료인에서 검사 후 반응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keywords
HIV, AIDS, Rapid oral HIV screeing

참고문헌

1.

1. Hellinger FJ. The lifetime cost of treating a person with HIV. JAMA 1993;270(4):474-478.

2.

2. Schackman BR, Gebo KA, Walensky RP, et al. The lifetime cost of curren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re in the United States. Med Care 2006;44(11):990-997.

3.

3. Patton LL, Santos VA, McKaig RG, et al. Education in HIV risk screening, counseling, testing, and referral: survey of U.S. dental schools. J Dent Educ 2002;66(10):1169-1177.

4.

4. Vernillo AT, Caplan AL. Routine HIV testing in dental practice: can we cross the Rubicon? J Dent Educ 2007;71(12):1534-1539.

5.

5. Scully C, Greenspan J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transmission in dentistry. J Dent Res 2006;85(9):794-800.

6.

6. 박정철, 김용태, 정임희, et al. 치과 진료실에서의 신속 구강 점막 도말 HIV항체 검사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09;47(5):291-296.

7.

7. Eller LA, Eller MA, Ouma BJ, et al. Large-scal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rapid test evaluation in a lowprevalence ugandan blood bank population. J Clin Microbiol 2007;45(10):3281-3285.

8.

8. Branson BM, Handsfield HH, Lampe MA, et al. Revised recommendations for HIV testing of adults, adolescents, and pregnant women in health-care settings. MMWR Recomm Rep 2006;55(RR-14):1-17; quiz CE11-14.

9.

9. Qaseem A, Snow V, Shekelle P, et al. Screening for HIV in health care settings: a guidance statemen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HIV Medicine Association. Ann Intern Med 2009;150(2):125-131.

10.

10. 김소영, 이진석, 박수경, 김용익. 일반인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8;25(4):13-28.

11.

11. 이진석, 윤호제, 김형수. 에이즈 감염인의 인권에 대한 공중보건의사 인식 조사.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March 2005;15(1):57-7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