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분원인 서울기록정보센터의 방문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북미에서 수행된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의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이용자와 직원에 대한 면담도 실시하였다. 47명의 설문 데이터와 이용자 1명 및 직원 2명에 대한 면담데이터 분석 결과, 이용자의 방문목적이 조상의 토지소유 확인을 위한 증거자료 수집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용되는 기록의 유형도 토지․임야관련 자료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원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으며 직원이 기꺼이 도움을 제공하고 친절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기록의 소장여부에 있어 직원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직원 역시 기록 부존재에 대한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나라기록포털의 유용성과 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이용자 평가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은 나라기록포털에서의 검색이 매우 불편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용자들은 국가기록원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몇몇 이용자들은 보다 신속한 업무 처리와 비공개자료의 기준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users who visited in Seoul office of the National Archives, a branch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For collecting data, the study utilized the Researcher Survey Toolkit developed by Archival Metrics Project and revised the questionnaire to reflect services of NAK.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7 us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interviews with one survey respondent and two staff were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purpose of the visit is mostly to identify records that prove land ownership of users' ancestors. Types of records frequently used were also those concerning lands and forests. User feedback on the staff was generally positive, and users perceived them to be helpful and kind. However,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staff did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whether NAK hold records that the user wanted to find. The staff also said that it was challenging to confirm where requested records are located when providing services for users. User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and the ease of use of NAK portal services was not very positive, and it was perceived to be very inconvenient to search in the portal. Overall,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f NAK, although some users suggested that services need be provided efficiently, and NAK must clarify the criteria for the non-disclosure of public records.
김은실. (2008).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을 중심으로.
신은영. (2006). 전자기록환경에서의 아키비스트 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13-132.
유지선. (2007). 이용자 세분화의 기록 서비스 전략.
이해영. (2011). 기록관 웹사이트 검색어의 분석과 활용 -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93-112.
정경희. (2006).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83-303.
정경희. (2007). 시장세분화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277-296.
정경희. (2007).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377-396.
조민정. (2001). 한국의 국가기록관리기관 정보조사제공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153-175.
조윤희. (2008). 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선희. (2008). 국가기록포털 이용 분석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최재혁. (2009).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77-98.
황나리. (2005).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Conway, P.. (1994). Partners in research: Improving access to the nation's archives:Archives and Museum Informatics.
Duff, W. M.. (2008). Archivists’views of user-based evaluation: Benefits,barriers and requirements. AmericanArchivist, 71(1), 144-166.
Duff, W.. (2010). The development, testing, and evaluation of the Archival Metrics Toolkits. American Archivist, 73(2), 569-599.
Pugh, M. J.. (2005). Identifying uses and users of archives, In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Yakel. E.. (2000). Thinking inside and outside the Boxes: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Archivaria, 49, 140-160.
Yakel, E.. (2010). Standardized survey tools for assessment in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11(2), 211-222.
Yeo, G.. (2005). Understanding user and use: A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6(1), 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