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 Construction of "Reading Education" Course in LI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7, v.18 no.1, pp.23-44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양성 과정과 관련한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19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내용 구성과 전국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관련 과목들은 주로 독서지도(론) 또는 독서교육(론) 등의 명칭으로 32개교 중 28개교에서 개설되어 있었으며, 과목수는 45과목이었다. 각 대학에서 개설된 과목의 수를 살펴보면, 독서지도 관련 과목이 한 과목 이상 개설된 28개 학교 중 가장 많은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공주대 5개 과목, 계명대와 청주대가 각각 3과목씩 개설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하여 13주 강의로 구성된 독서교육 강의계획서의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강조점인 다양한 독서자료의 구성, 독서교육방법, 독서치료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keywords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교과목, 교육과정, 교육내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Reading Education" course in LIS in terms of objects, teaching methods and problems. 19 similar courses to "Reading Education" provided by LIS in the US and 32 similar courses to "Reading Education" provided by LI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Most courses provided by the US graduate schools emphasized specific teaching techniques. However. most courses provided by Korean departments stressed general objects and goals. The suggested syllabus of 'Reading Education' course, composed of 13 weeks, was constructed focusing on 3 parts, various reading materials, teaching methods and bibliotherapy.

keywords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교과목, 교육과정, 교육내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