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이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들이 동등한 수준으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고,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즉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 본원, 대통령기록관, 서울 대전 부산기록관(분원)의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계측하여 평가하고; 셋째, 그 평가 결과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새로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실제로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계측한 결과, 일반적이고도 간접적인 서비스 환경 공간인 진입영역과 공용영역에서의 서비스 환경은 우수한 반면, 이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정보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인 일반서비스 영역과 확장(부가가치)서비스 영역의 환경은 낮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인과 장애인 모두 어떠한 장애물 없이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 and scale for evaluating the service environments of archives and to assess the physical service environment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and then to suggest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designed three research phases: first, to develop the indicator and scale to measur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by merging universal design indicators and various standards of NAK for establish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second, to evaluate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f NAK with the newly developed scale; finally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current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findings. The study found that current service environments of NAK have critical limits on the areas and facilities to provide direc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such as reference service desks, showrooms, education rooms, seminar rooms, et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and further studies for making barrier-free service environments of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