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2435
본 연구는 국내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직협회의 역할 조사 후, 공통된 역할 추출 및 이를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한 후 MLA와 KMLA의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여섯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의학사서를 공식적․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계속)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영역에서 의학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영역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IRB 위원회 역할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 셋째, 연구 및 출판 지원에 있어서 연구비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에 있어서 멘토링, 리더십․펠로우십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외 파트너십에 대한 개선과 다양한 수상 지원도 계획도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자격증 및 각종 인증서 제도에 있어서 관련 분야의 학위 취득 지원, 다양한 강좌 지원을 통한 인증서 발급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부금 유치를 위한 KMLA의 적극적인 대내외적 홍보 및 활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ways to improve KMLA’s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domestic medical librarians. To this end, after investigating the roles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common role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five areas, and then the support programs of MLA and KML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six suggestions can be made as ways to improve KMLA’s support program. First, policy development is needed to officially and continuously support medical librarians. Second, in the area of (continu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educational support in professional areas required in the medical field is needed, as well as education for the role of the IRB committee. Third, in terms of research and publication support, various support for research funds and training programs is required. Fourth, in terms of network and cooperation support, mentoring, leadership, and fellowship programs are needed, and improvement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tnerships and support for various awards should also be planned. Fifth, in terms of professional certification and various certificate syst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obtaining degrees in related fields and to issue certificates through support for various courses. Sixth, KMLA’s active internal and external promotion and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o attract do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