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범죄현장 행동에 근거한 연쇄 강간범죄자의 유형 분류
고선영(서울지방경찰청) ; 김경옥(서울지방경찰청) ; 정연대(서울지방경찰청) ; 최대호(서울지방경찰청) pp.171-183 https://doi.org/10.53302/kjfp.2010.11.1.3.1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Canter 등(2003)의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연쇄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재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연쇄 성범죄자 유형분류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0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2건 이상의 강간범죄를 저지른 35명의 연쇄 강간범죄자의 수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한 범죄현장 행동의 분석 결과 Canter 등(2003)이 제시한 모형은 한국의 연쇄 강간범죄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연쇄 강간범죄자들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폭력적 상호작용, 도구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프로파일링을 위한 분석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첫째로 각 유형에 해당하는 추가 행동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가능할 것이며, 둘째로 유형별 범죄자의 특징, 전과여부 및 내용, 도주 후 행동 등의 분석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arify the result of Canter(2003)'s research on serial sex offender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to explore for typological model of serial sex offender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teractions between serial offenders and victims were classified into hostile, instrumental, and verbal. This result corresponds with the earlier one of Canter's study and shows that this typology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base to categorize serial sex offen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analytical base on two counts. To begin with, it will be useful as basic material to probe additional behavioral factor that fits to each type and, moreov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criminal record, and behavior after flee of offender according to type. Although the result alone should not be presented as final analysis, it can be used as objective basis to minimize the possible errors of individual analyst.

성피해아동 진술/평가도구로서의 구조화모래상자(SSTA) 특성과 적용 연구
이경하(부산심리치료연구센터) pp.185-203 https://doi.org/10.53302/kjfp.2010.11.1.3.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겅험적 사전연구의 결과에 따라 개발된 구조화 모래상자를 이용하여 성피해아동의 초기면접을 실시하고 진술평가도구로서의 특성과 현실적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피해로 판명된 평균지능 이상의 학령기 아동 39명이고 비교대상은 성피해 경험이 없는 정상지능의 학령기아동 34명으로서 성피해아동은 각 아동이 머물고 있는 시설/기관에서, 일반아동은 학교 상담실에서 개별 실시되었다. 관찰자간 신뢰도 평정을 거친 두 집단의 초기면접 결과물은 모래상자 평가모형에 따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구조화 모래상자를 통한 성피해아동 진술/평가는 피규어, 공간배치, 전체구성, 꾸밈태도의 형식적 분석을 통한 통계적 유의미함으로 도구적 특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성피해아동의 자발적 진술 결과를 통해 구조화모래상자의 현실적 적용성이 탐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피해아동의 진술/평가 상의 현실적 제 문제를 개선하고 피해아동 특성에 맞추어 효과적 진술을 촉진할 수 있는 평가도구적용을 위한 과정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interviewed sexually abused children with a structured sand-tray assessment developed from empirical pre-studies, and then reviewed its efficacy and applicability as an interview/assessment method for actual cases. Study sample was a group of sexually abused, school-aged 39 children with average intelligence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was composed of school-aged 34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no sexual abuse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e-to-one, during 11 months. Initial interviews with each group were verified first by the inter-rater reliability test,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The consequences are follows; First, the instrumental charateristics of the interview/assessment method with structured sandtray technique for sexually abused children was meaningful according to the formal analysis of figures, spatial arrangement, overall composition and attitudes of the decoration. Second, the analysis of spontaneous statements of the sexually abused children confirmed the method's applicability to actual cases.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n improved assessment method which solves some problems in existing statement/assessment methods for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facilatates more effective statements from them.

자백자발성 판단에 대한 용의자의 외현적 정서와 기록매체의 효과: 예비연구
표지민(충북대학교) ; 오영록(독립연구자) ; 박광배(충북대학교) pp.205-219 https://doi.org/10.53302/kjfp.2010.11.1.3.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백의 자발성 판단에 대하여 자백하는 용의자의 외현적 정서(적극 v. 소극)와 기록매체(녹화 v. 녹음)의 종류가 가지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동일한 자백시나리오를 용의자의 외현적 정서 상태를 달리하여 두 편의 자백동영상을 제작하였다. 동영상에서 자백하는 용의자의 행동적이고 감정적인 요소들이 자백자발성 판단을 좌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음성만 녹음된 자백을 청취한 참가자들이, 자백이 녹화된 동영상을 본 참가자들 보다 용의자의 자백을 더 자발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고, 또 그 판단에 대한 확신감도 높은 경향이 있었는데, 이런 결과는 녹화된 자백의 자발성 판단에 대한 카메라 관점 편파와는 다른 유형의 편파가 녹음된 자백의 자발성 판단에 개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spet's demeanor and the type of record medium on the voluntariness judgments. It was suggested that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demeanors of the suspect confessing on the video could influence the voluntariness judgment. The suspect who appeared as relatively active in confessing tended to be judged as more voluntary than the same suspect who appeared as relatively passive on the video.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jects in the audio condition tended to judge the confession as more voluntary and be more confident in their judgments than did the subjects in the video condition. This result implied a possibility that audio-taped confession may also have a potential for bias in voluntariness judgment.

독일 성범죄자에 관한 연구 -독일의 새로운 평가도구 패러다임 중심으로-
윤달님(FernUniv. Hagen) ; Martin Rettenberger(함부르크대학교 의학센터) ; Wolfgang Berner(함부르크대학교 의학센터) ; Peer Briken(함부르크대학교 의학센터) pp.221-249 https://doi.org/10.53302/kjfp.2010.11.1.3.22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n the field of risk assessment in Germany, especially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adult sex offenders. First, the aim of risk assessment in Germany will be shortly presented. Second, the legal framework and role of risk assessment in the field of German criminal law enforcement will be elaborated. Third, mainstream risk assessment methods in German forensic settings are reviewed. Furthermore, description of the instruments and their validation researches are outlined. Finally, critical aspects and problematic issues on these assessment procedure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optimization of the accuracy and comprehensiveness of forensic assessment are mad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