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보호관찰 청소년의 환경요인 및 보호관찰 개입과 재범과의관계성 연구 -비재범자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Study about environmental factor for youth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and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supervision and second conviction

초록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의 다양한 가정․사회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보호관찰 사건관련 요인, 보호관찰 부과요인, 보호관찰 지도감독 관련 요인, 보호관찰 개입요인, 범죄경력관련 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여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재범방지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8년 소년법 개정 이후 소년에 대한 병합, 부과처분의 다양화와 소년법 적용 연령의 하향으로 청소년 보호관찰 대상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범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년의 경우, 2008년 재범율이 9%에서 2009년 11.3%, 2010년 10.6%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보호관찰 대상자의 재범율이 성인에 비해 약 2.5배 이상 높아 소년 재범자의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소년 재범방지대책 추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이다. 기존의 재범분석은 비교집단을 설정하지 않았거나, 비재범자의 자료 수집 시 표본 추출 상의 적정성 및 신뢰성이 문제로 노출되었다. 이러한 재범분석 결과의 신뢰성 부족으로 재범방지대책 등 효과적인 보호관찰 정책수립․시행을 위한 근거자료로서의 활용도가 떨어졌다.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에 대한 환경특성, 보호관찰 개입정도 등 비재범자군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재범자 특성 및 재범요인을 규명하고, 재범자 특성을 반영한 보호관찰 지도감독 실시 및 효과적인 재범방지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keywords
보호관찰 청소년의 환경요인 보호관찰 개입과 재범 비재범자와 재범자 Environmental Factor for Probation Youths Protective Supervision and Second Conviction Conviction and Second Conviction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variety of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f youth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and compare main causes for cases that ended up with protective supervision, added factors for protective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to protective supervisor, intervention to protective supervision and factors for criminal records and thereby find out most suitable plans to prevent second offense. After reenactment of juvenile law in 2008, the subjects for protective supervision are in increase due to merging of youths, diverse added legal disposition and declining of age for application of juvenile law, and due to such factors, second offense is also in increase. For boys, second offense was at 9% in 2008 but it increased to 11.3% in 2009 and 10.6% in 2010. Also, because second offense among youth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is higher than the adults by factor of 2.5, the need for study to systematically analyze characteristics of second offenders and establish plans to prevent such second offenses. Tradition studies in second offenses either did not establish groups for comparison nor had credibility or suitability issues when extracting samples while collecting information on non-second offenders. So their usage as supporting information was low in terms of establishing plans to prevent second offence etc.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against non-second offenders in term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outh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level of intervention in protective supervision etc, this study was prepared to define factors behind second offenses, start protective supervision programs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second offenders and establish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second offenses.

keywords
보호관찰 청소년의 환경요인 보호관찰 개입과 재범 비재범자와 재범자 Environmental Factor for Probation Youths Protective Supervision and Second Conviction Conviction and Second Convic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