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정신감정이 의뢰된 범죄자의 꾀병평가: M-FAST와 PAI중심으로

Study of Pre-trial Forensic Offenders with Malingering Based on PAI and M-FAS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감정에서 꾀병이 의심되는 범죄자의 PAI 프로파일 양상과 꾀병관련 척도(NIM, RDF, MAL)의 꾀병 변별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립법무병원에 정신감정이 의뢰된 범죄자 64명을 꾀병의심 집단(n=17)과 비꾀병 집단(n=47)으로 분류하였다. 꾀병의심 집단은 정신감정 결과 ‘진단없음’으로 판정된 범죄자 중 M-FAST에서 6점 이상인 범죄자 17명을 꾀병의심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비꾀병 집단은 정신감정 결과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범죄자 25명과 ‘진단없음’ 판정을 받은 범죄자 중 M-FAST에서 6점 미만인 범죄자 22명을 비꾀병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꾀병의심 집단과 비꾀병 집단 간 PAI 임상척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꾀병의심 집단이 비꾀병 집단에 비해 거의 대부분의 임상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꾀병의심 집단은 실제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집단 보다 정신분열병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특징을 보였다. PAI의 꾀병관련 세 척도의 꾀병 변별력을 알아보기 위해 ROC분석을 실시한 결과, NIM척도의 AUC가 .856으로 세 척도 중 가장 높았으며 NIM척도의 최적 꾀병 변별기준점은 76T로 확인되었다(민감도=.765, 특이도=.851, PPP=.650, NPP=.909).

keywords
꾀병, M-FAST, PAI, malingering, M-FAST, PAI.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rive some PAI profile patterns of the malingering offender in forensic setting and in detail the detection of malingering(NIM, RDF, MAL) of PAI. For this study, we divide 64 pre-trial forensic offender sent in national forensic hospital into the probable malingering group(n=17) and the non-malingering group(n=47). The probable malingering group is classified as those who get above 6 of M-FAST among offenders judged as normality by psychiatric evaluation. The non-malinger group is classified as those who get under 6 of M-FAST among offenders judged as normality and schizophrenia(n=25) by psychiatric evaluation. The result of analytical researches on the difference of clinical scales of PAI between the probable malingering group and the non-malinger group shows that the former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atter in most clinical scales. Especially, it is reported that the probable malinger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in schizophrenia scale than the non-malinger group with schizophrenia. On inquiry on the assessment of three related malingering scales of PAI, the result of ROC analysis shows that AUC .856 of NIM scale is the highest in 3 scales. Finally, the optimum NIM scale cutoff score was revealed as 76T(sensitivity=.765, specificity=.851, PPP=.650, NPP=.909).

keywords
꾀병, M-FAST, PAI, malingering, M-FAST, PAI.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