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한국심리학회지 보호관찰 관련 연구 동향: 상담 및 치료 효과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이은진(경기대학교) ; 김희주(경기대학교) pp.67-83 https://doi.org/10.53302/kjfp.2016.07.7.2.67
초록보기
초록

보호관찰에 대한 심리학적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2001년부터 시작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들로부터 시작된 보호관찰 영역에서의 심리학자들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학적 연구논문들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심리학회지에 발표된 보호관찰 관련 논문들은 총 42편으로 정리되었으며, 이 중 학술대회 자료집에 발표된 14편을 제외한 28편의 양적연구들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한 보호관찰 관련 연구의 주제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상담 및 치료 효과 관련 연구와 비행이나 재범과 관련된 위험성요인과 보호요인 관련 연구들로 볼 수 있다. 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를 제외한 논문들은 일반청소년이나 비행 청소년과의 비교연구가 7편, 보호관찰대상자를 포함하는 비행청소년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5편, 검사지 타당화 연구가 3편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연구들로는 수사나 분류, 위험유형별 처우 방안에 대한 연구 등으로 보호관찰 분야의 실제로 연구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관찰 대상자들을 포함하는 청소년 대상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은 비행 예방이나 재범방지를 위해, 교정시설이 아닌 학교 내에서의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 근거하여 보호관찰과 관련된 연구 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need of psychological service for probation were discussed from 2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es on probation i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for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Several importan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ere 28 in total, and the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were quantitative. Second, the principal areas of the research and publ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areas; the effects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an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recidivism. Third, the studie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recidivism were divided into ① comparison researches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② researche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juvenile adolescents, ③ researches on the validity and development of scales, ④ probation case classificatioin, legal dispositions for risk types of sex offenders, and investigative interview.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nd recidivism, were discussed. Lastly,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한국 수사기관의 범인음성식별절차 도입을 위한 제언
배민선(한림대학교) ; 이미선(한림대학교) pp.85-107 https://doi.org/10.53302/kjfp.2016.07.7.2.85
초록보기
초록

범인음성식별(voice identification)은 범인과 용의자의 목소리를 대조하여 범인을 식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음성식별과 관련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성식별과정은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 하에서 정확성이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범인음성식별과정에서 제시되는 적성수준의 음성 샘플의 수와 제시된 목소리의 길이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목격 시점과 라인업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길어질수록 정확성은 감소한다. 목격자의 인종이나 연령, 성별 및 확신도 역시 음성식별의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일찍 범인의 목소리에 대한 진술의 중요성과 범인음성식별절차에 대한 공식지침의 필요성을 깨닫고 자세한 공식지침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범인음성식별과 관련된 인식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범인음성식별의 신빙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된 범인음성식별절차의 도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관련 실무자의 관심이 요구된다.

Abstract

Voice identification is the process of comparing a perpetrator’s and suspect’s voice samples in order to determine if the two voices are consistent with one another.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at since it requires remembering and recognizing voices from a past experience, the accuracy of an earwitness’s identification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These include variables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procedures such as line-up size, instruction, delay and so on. Also a witness’s age, gender, race or confidence could affect the accuracy of voice identification results. Recognizing how vulnerable the identification process should be, the governments of England and Wales published the official guidance on voice parades in 2003. However, theoretical findings on voice identific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the legal system in South Korea are still little known. These findings are required to continue with concerns and efforts from both academic and legal experts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guidance for voice identification in South Kore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