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유형에 관한 연구-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Subjectivity Typology study on effect of parody-advertising in purchase decision-making of customer

초록

이 논문에서는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유형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대학생들의 수용 유형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된 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9): 적극적 호감형(Active good-feeling Type), 제 2유형(N=4): 부정적 역할형(Negative role Type), 제 3유형(N=6): 긍정적 선호형(Positive Preference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간의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겟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 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용자들의 구체적인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청된다.

keywords
Parody-advertising, Q-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패러디광고, Q방법론, 주관성 연구, Parody-advertising, Q-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Abstract

This study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Reception Type on effect of parody-advertising in purchase decision-making of customer. In conclusi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s that divided ‘1(N=9): Active good-feeling Type, 2(N=4): (Negative role Type), 3(N=6): Positive Preference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Reception Type on effect of parody-advertising in purchase decision-making of customer, 21th;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keywords
Parody-advertising, Q-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참고문헌

1.

김덕자 (1998). 텔레비전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나타난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pp.5-136.

2.

김병태 (2003).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패러디 표현기법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TV-CM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pp.7-91.

3.

김영일 (2000). TV 광고의 패러디 표현형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논문. pp.10-129.

4.

김영호 (2000). TV드라마 패러디 광고의 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논문. pp.5-55.

5.

김욱동 (2008).『포스트모더니즘』. 연세대학교출판부. pp.100-212.

6.

김은영 (1999). Parody 광고에 대한 연구: 국내 TV commercial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pp.6-84.

7.

김흥규 (199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p.45.

8.

김흥규 (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 논문집, 6(1). pp.1-11.

9.

김흥규(1993).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 언론학보, 13, pp.5-44.

10.

문선영 (1997). 패러디와 문화비평. 교양논총, pp.151-174.

11.

박광순 (2005). 인터넷의 이미지 패러디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3(1), pp.74-100.

12.

윤재진 (1996). 패러디 광고에 대하여. 상암기획 연구논문집 Ⅱ, pp.297-304.

13.

이나영 (2001). 패러디 광고의 창조성에 관한 연구: 모방광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논문. pp.10-116.

14.

이제영․권수미 (2008). “방송광고의 패러디 소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수용행태 유형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6-3.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pp.53-82.

15.

정재훈 (1998). 패러디광고와 저작권 침해. 광고연구, 여름호(제39호), pp.9-29.

16.

조경섭, 김일철 (2002). TV광고의 패러디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3(2), pp.7-25.

17.

함윤섭 (2003). 디지털패러디의 사회적 의미와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9(4), pp.1-12.

18.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Yale Univ. Press. pp.158-178.

19.

Felthman, T. S. & Stephane, J. A. (1994). Program Involvement and AD/Program Consistency as Moderators of Program Context Effect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3(1). pp.51-77.

20.

Johnson, M. & Spilger, U. (2000). Legal Considerations When Using Parodies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Vol. 29. No. 4. p.154.

21.

Mandler, G. (1986). The Judgement of Previous 0f Occurrence. Psychological Review, 87(3). p.25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