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이 논문에서는 올해 창간 10주년을 맞는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 지난 10년 동안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2000년의 창간호부터 2009년의 10권3호까지 게재된 총 171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게재논문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형태, 논문저자, 논문주제, 연구참가자, 연구방법, 참고문헌 등을 분석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연구형태의 경우, 단독논문 50편, 공동논문 121편이었다. 논문저자의 경우, 심리학 관련 소속전공이 21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저자가 학교에 소속되었다. 논문주제의 경우, 소비자심리학 관련 논문 127편, 광고심리학 관련 논문 43편, 통계기법 논문 1편이었다. 연구참가자의 경우, 대학생을 활용한 논문이 115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의 경우, 양적연구 157편, 질적연구 12편, 문헌연구 10편 등이었다. 참고문헌의 경우, 국내문헌에서는 ‘광고학연구’(85편)와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65편)가 많이 인용되었고, 외국문헌에서는 'Journal of Consumer Research'가 모든 논문에서 인용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from 2000 to 2009. During the 10 years, a total of 171 articles were published and analyzed. For a content analysis, the items of the research type, the author, the research topic, the type of participants, method, and the reference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author papers was much more than that of single author papers. Most of authors belonged to university and very few authors belonged to industry.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consumer psychology was 127,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advertising psychology was 43, and 1 for statistical technique article. Most of articles(115) used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case of research method, 157 articles of quantitative study, 12 articles of qualitative study, and 10 articles of theoretical review study were published.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in Korean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전문여성요가인 153명과 여자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신체가치관과 객체화 신체의식, 신체존중감, 성형수술의도 등을 비교하고 신체가치관이 성형수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객체화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매개하는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요가인 집단은 여대생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신체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존중감이 더 높고 주관적 안녕감도 더 높으며 성형수술의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인과적 모형의 적합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요가인 집단과 여대생 집단에서 인과적 관계의 양상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1) compare a yoga group to a student group in terms of body-related values, self-objectification, body esteem and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and 2) examine the causal models in which objectification and self-esteem play mediatory roles between body-related values and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Two groups of women, 153 yoga teachers and 168 undergraduate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body-related values such as operability, inclination, and social instrumentality, objectification variables such as shame and surveillance, body esteem, and body-related behaviors including the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It was revealed that the yoga group had more conservative body values, lower surveillance and shame, higher body-esteem, and low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than the student group.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till valid though the effects of age on those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the yoga grou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ody-related values and self-objectification and body-esteem was low, and the body-esteem had no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the behavioral intension. In cas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the mediatory role of the self-objectification variable and the body-esteem in terms of the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was cleary demonstra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머의 형성 요인과 반복성에 따라 유머 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유머 형성 요인에 따른 반복의 차별적 효과를 신경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유머 형성 요소(각성, 부조화, 우월)의 정도가 각기 다른 유머러스한 카툰 21장을 3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보여주고 카툰을 보는 동안의 뇌 반응을 촬영하였다. 연구 결과 카툰이 반복됨에 따라 보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측핵(Nacc)의 활성화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 형성 요인과 관련해서는 카툰 안에 각성적 요소가 많을수록 편도체(amygdala)의 활성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조화 요소는 전대상회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그리고 우월 요소는 우반구의 측두정엽(temporoparietal junction) 영역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머 형성 요인과 반복의 상호작용 효과는 하후두이랑(inferior occipital gyrus), 측핵(Nacc), 섬엽(inusla)영역에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유머 자극의 반복이 주의, 보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유머 형성 요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법을 이용하여 유머 형성 요인과 반복성이 유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무의식적 수준에서 살펴봄으로써 행동적 지표로 드러나지 않는 심리 정서적 변화를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lements of humor formation and repetition on humor response b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And examining neural correlation with interaction effect. 20 right-handed participants were scanned with 3T MRI machine while they were evaluating 21 sequentially presented cartoon. Then, each cartoon repeated two time. Results from the fMRI data revealed that the activity in Nucleus accumbens decreasing by repetition. And found that the activity of brain areas such as Amygdala, Anterior cingulate cortex, right Temporoparietal jun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humor's elements. Finally, activation of Inferior occipital gyrus, Nucleus accumbens and insula related with the interaction effect of humor's elements and repetition. Present study is frist that conducts psychological response by the effect of elements of humor formation and different effect of repetition using fMRI.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소비행동에 있어서 모방소비가 일반화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차원에서 학문적인 연구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탐색적 연구로서 모방소비를 가속화 시키는 모방구매성향의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우선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논문 설계는 사회심리학에서 심층적으로 거론되는 Bandura(1975)의 사회학습이론의 모방행동을 인용 마케팅 차원에 적용하였다. 1차적으로 FGI 기법을 병행하여 모방행동(Bandura, 1975)과 모방구매행동(Chakravarti & Janiszewski, 2003)을 관찰 하였으며, 2차적으로 결과변수인 모방구매행동을 통하여 역으로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모방구매성향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20개의 모방구매성향의 항목을 통한 분석결과 총 3개의 요인으로 모방구매성향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요인명은 이미지 지향성, 개성 지향성 그리고 브랜드 지향성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 모방구매를 하게 되는 이유가 어떤 특정인의 패션아이템이나 소유물에 대하여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모델과 제품의 속성이 소비자의 소비심리에 시너지 효과로 나타나면서 모방구매성향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sumption of imitative buying behavior is common in modern consumer driven society, however academic research in marketing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consumers' imitative buying tendencies to identify the acceleration of imitative consumption as an exploratory research. Due to the lack of precedence in previous research,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selection of subjects. To design this study, we used “The Social Learning Theory”Bandura, 1975) in social psychology for experiments on imitative behavior, and “Screening process: Procedure at computers”(Chakravarti &Janiszewski, 2003) was also adopted for observation of imitative buying behavior, which were applied to the marketing dimension.Primary research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FGI techniques to observe the imitative behavior and the imitative buying behavior. As a secondary research, the study was designed to elicit the imitative buying tendency using the In-Depth-Interview through the imitative buying behavior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20 item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imitative buying tendency, 3 factors were identified. These factors were named as image orientation, personality orientation, and brand orientati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e reason for imitative buying is not simply imitating a particular model's fashion items or possession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ynergy effect was achieved as a result of the model's attributes and the products' attributes to the consumers' psychology.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뤄왔던 모 브랜드와 확장제품간의 브랜드 확장 범주 유사성과 확장제품의 가격에 더해서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확장제품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3원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2×2×2 요인 설계로 각각의 상황에 참가자들을 할당하여, 가설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설 1-1과 1-2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1-1의 확장제품 평가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유사한 범주로의 확장일 때는 지각위험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즉 이성친구와 같은 친밀한 사람에게 선물을 하는 경우에 저가보다는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가설 1-2의 구매의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유사한 범주로의 확장일 때는 지각위험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고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더 높았으며, 위험이 낮을 때는 저가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Belk가 브랜드 확장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제품구매 상황에서 구매목적(선물 구매 vs. 본인 사용을 위한 구매)에 따라 제품가격의 선호에서 차이를 밝혔던 결과가 브랜드 확장 상황에서도 적용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ension similarity, the price of extension product and perceived risk on extension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sion. Main interest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role of perceived risk. That is, how perceived risk moderate the effect of extension similarity and the price of extension product. Extension similarity(2) X price(2) X perceived risk(2) between subjects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Results supported research hypotheses. In case of high similarity and high perceived risk condition, high priced extension product was preferred to low priced extension product and purchase intension was significantly high.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ice preference caused by perceived risk can be generalized to the situation of brand extension. Research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우리나라 대학시장에 불어 닥친 환경변화로 대학간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과거와 같이 주로 평판이나 구전에 의존하는 수동적 커뮤니케이션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광고집행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대학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집행되는 대학광고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광고물에 표현된 메시지 내용과 표현 양식을 알아보고자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신문에 게재된 신입생 모집광고 161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대학광고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에 표현된 헤드라인 내용의 약 50%는 대학의 ‘미래/발전성’을 강조하였고 ‘글로벌지향성’ 또한 40%에 가깝게 나타나서, 대학광고의 메시지는 특정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학간 메시지의 차별성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비주얼을 분석한 결과 ‘재학생/졸업생 일반인’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가장 많았으며, 메시지와 직접 관련이 없거나 반대로 메시지와 완전히 일치하는 비주얼을 표현한 경향도 높게 나타났다. 표현 수사학 측면에서는 메시지와 비주얼 모두 수사적 표현과 직설적 표현의 비율이 대등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광고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in Korea is becoming fierce du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Recently, universities have attended to advertising activities as one of important solutions to cope with fierce competition. This research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ad. message and creative style of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Korean universities. Specificall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61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university entrants executed from 2004 to August, 2009. Results showed that amount of advertisements have increased steadily. In case of ad. message, 50% of message was on prospect of future/progress and 40% was on global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most of universities employed similar message strategy. Visual analysis showed that image of enrolled or graduating stud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visuals. The considerable portion of using visuals irrelevant of copy was found. Creative style analysis based on rhetorical figures of headline and visual showed that literal and rhetorical figures were used equ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advertising and creative strategies for university advertisement.
본 연구는 구매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과 정보탐색 수준에 자신감과 인지적 종결욕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가상의 디지털 카메라 구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을수록 구매시 지각하는 위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자신감 수준과 위험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정보탐색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위험에 대한 자신감의 영향과 정보탐색에 대한 종결욕구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심리적 확신과 관련된 두 변수 중 종결욕구는 지각된 위험을 매개로 정보탐색에 영향을 미치지만, 소비자 자신감이라는 내적 특성은 지각된 위험을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정보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nsumer self-confidence and cognitive need for closure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information search in purchase situations. Five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he data using scenarios of imagined digital camera purchase was collected from 213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higher need for closure participants perceived higher level of risk in a purchase situation. Also, the higher the participants' consumer self-confidence and the perceived risk, the more information search was found. However,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the effect of consumer self-confidence on the perceived risk and the effect of the need for closure on information search were fou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need for closure was mediated by the perceived risk to affect the information search, while the consumer confidence directly influenced the information search without being mediated by the perceive risk. At the e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