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대기에 대한 심리적인 영향이 서비스 품질 이미지-광고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모델 상에 서비스 이미지-광고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대기시간에 대한 기대불일치, 거래의 중요성, 대기비용, 통제가능성, 안정성, 대기환경)의 조절효과와 매개변수(부정적 정서, 수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심리적 대기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부정적 정서가 심적 대기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가 서비스 이미지-광고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이미지-광고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35개의 호텔레스토랑에서 실재 대기상황에 있는 고객으로부터 수집하였고 잠재변인들의 인과적 관계성을 검증하는 복합적인 통계기법(LISREL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정적 정서와 수용가능성이 서비스 이미지-광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며, 조절변수 중 일부는 조절효과를 보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iting in a service queue on the evaluation of the re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its overall process, mediators(negative affect and acceptability) and moderators(disconfirmation of wait time expectation, transaction importance, waiting cost, controllability, stability, and waiting environment) Possible hypotheses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waiting and negative affection, carrying possibility, between negative affection and service evaluation, between carrying possibility and service evaluation, and between service quality and repurchase behavior. Data obtained from actual customers in service queue at 35 hotel restaurants. Lisrel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perceived waiting and negative affection, carrying possibility and service evaluation, and service evaluation and repurchasing behavior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hile perceived waiting and carrying possibility, and negative affection and service evaluation have negative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광고모델의 매력성에 대한 소비자의 단순한 긍정적 동일시와 긍정적 감정을 다루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감정 속에 가지는 부정적 요인을 심층면접을 통해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광고모델의 매력성에 관한 연구에 대해 실험, 설문지 등 여러 가지 연구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연구인 심층면접을 통해 선행연구와의 관계를 찾아보고 부정적 감정 요인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요인은 질투, 시기, 그리고 심리적 거리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현재까지는 소비자가 단순히 매력적인 광고모델을 보고 매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신과 제3자인 이성친구간의 관계, 혹은 미래의 이성에 대한 가상적인 관계를 통해 질투라는 감정을 가진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보다 우월한 美를 가진 모델을 통한 불신, 의심, 열등감, 좌절, 불운, 감정부인 등을 가지는 시기라는 감정도 확인하였다. 아울러 나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치부하는 소외, 무의미, 비현실성과 같은 심리적 거리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정적 감정이 반드시 부정적 매출결과라는 단순선형 관계가 아니라 소비자의 심리적 방어를 통해 다시 그 모델을 추구하는 이중적인 심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성적 분석결과 나타난 광고모델의 매력성에 대한 부정적 감정 확인을 통해 화장품 산업 및 광고업계의 마케터나 관리자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추출된 부정적 감정요인을 토대로 소비자집단을 세분화할 수 있는 실증적이고도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논문의 결과를 통해 마케팅관리자가 목표소비자층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he practice of highly attractive models(HAM) may be effective from a marketing standpoint, physical attractiveness and the “thin ideal” is a very sensitive issue for many women. The self-concepts of many female adolescents stem primarily from their senses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a woman's global self-esteem also seems to be related to her own physical attractiveness. The importance of physical attractiveness prompts many women to compare themselves with the images of physical perfection, thinness, and beauty found in advertising. Researchers have established that some women compare themselves with the idealized images in advertising and that some women who compare themselves with these HAMs may experience negative feelings as a result. This study tries to extract negative emotion in consumer's response about HAMs. Until now, main research findings of advertisement are that HAMs, such as, ultra-thin, beauty, ideal models, have best effects in ads. But there are no effects in many studies, even several studies have negative emotions about HAM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tract negative emotions through FGI and depth interviews. As a result, first, consumers have negative emotions, such as envy, jealousy, psychological distance. Second, this negative emotions are not necessary to have no sales amounts. Though consumers have negative emotions, they want to follow or imitate the attractive models to cover psychological costs. An objection to the psychology of envy, jealousy, psychological distance might state that we have taken three common words, envy, jealousy, psychological distance, given them idiosyncratic meaning, and proceeded to weave a general psychology around them. When a person experiences envy, jealousy, psychological distance, these functions are cued to advantage seeking or advantage preservation. To take note of a lack of, or to seek to preserve, advantage in life are prime organismic motives. If we have prime organismic motives, then there might be a psychology reflective of them. Vignette methodology was used that, for the first time, manipulated envy, jealousy, and psychological distance factorially, a technique designed to overcome insensitivity caused by the frequent co-occurrence of those kinds of emotions. This technique also permitted manipulation of these affective states while avoiding any use of their semantic imprecise verbal labels.
의류제품은 소비자 감정의 몰입이 높고 소비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제품으로 체험 마케팅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선도매장에서 발생하는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의류 선도매장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체험유형과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의류 선도매장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험 마케팅에 있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을 높이는데 있어 어떤 체험 유형이 중요한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factors of experience type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at consumers recognize from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and to identify influence of experience type of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equity. Based on answers from total 342 persons, we identified experience type of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and consumer-brand relational dimension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dentified which factors out of experience types of a brand prove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better and also how it influences brand equit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이 논문에서는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유형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대학생들의 수용 유형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된 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9): 적극적 호감형(Active good-feeling Type), 제 2유형(N=4): 부정적 역할형(Negative role Type), 제 3유형(N=6): 긍정적 선호형(Positive Preference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간의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겟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 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패러디광고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용자들의 구체적인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청된다.
This study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Reception Type on effect of parody-advertising in purchase decision-making of customer. In conclusi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s that divided ‘1(N=9): Active good-feeling Type, 2(N=4): (Negative role Type), 3(N=6): Positive Preference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Reception Type on effect of parody-advertising in purchase decision-making of customer, 21th;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본 연구에서는 현대 소비자들이 외모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가꾸는 현상에 내재된 심리적 요인으로서 문화적 자기개념(self-construals)을 중심으로 20대 남녀의 외모중시 가치관과 외모관리행동을 비교하였다. 한국인 203명과 미국을 비롯한 영국, 독일 등 서구권 응답자 176명의 자료를 문화적 자기개념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interdependent self-construal)개념을 가진 사람이 독립적 자기(independent self-construal)개념을 가진 사람보다 외모중시 가치관이 더 강하고,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과 서구인 각 표본에 대하여 문화적 자기개념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표본에서는 의존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이 독립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보다 외모를 중시하는 가치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구인 집단에서는 의존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이 독립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보다 외모중시 가치관과 외모관리행동이 모두 높게 나타나서,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중시가치관이 자기개념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저원인으로 문화적 자기개념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Korean and Westerners. The survey data drawn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of Korean and American, 203 Korean and 176 American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s designed to measure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body valu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is conducted mor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have higher body values than Westerns. More important findings are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self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 body valu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hows significant higher beliefs in appearance importance(that is, body value) and mor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an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both samples. Overall, these results revealed that cultural self-construal is important factor to explain why Asians, especially Korean,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appearance than Westerns.
본 연구는 유머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유머의 반복적 노출과 개인 특성인 유머 민감성이 유머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신경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20장의 유머러스한 카툰을 3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보여주고 카툰을 보는 동안의 뇌 반응을 촬영하였다. 연구 결과 카툰이 재미있을수록 중경의지핵(Nacc)의 활성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카툰이 반복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중경의지핵의 활성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전두이랑(Inferior fontal gyrus)과 상전두이랑(Sup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는 카툰이 반복제시 됨에 따라 재미 정도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머가 반복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재미에 대한 행동적 반응은 동일하더라도 심리, 정서적 반응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한편, 유머에 민감한 사람일수록 유머 자극을 봤을 때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섬엽(Insula) 영역과 해마(Hippocampus)의 활성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머의 반복성과 유머 민감성이 유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살펴봄으로써 행동적 지표로는 드러나지 않는 심리 정서적 변화를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used an event-related fMRI study. Here we demonstrate that humor repetition and sensitiveness modulate activity in subcortical several cortical regions. In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in seventeen college students. 20 humorous cartoons were presented in random order for 3 times. These findings offer funny rating increase with activation of NACC. However, funny cartoons were related with deactivation of NACC when cartoons repetition. On the other hand, inferior frontal gyrus and superior frontal gyrus correlated with funny rating when cartoons repet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ough behavioral response were the same, it different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 when humor repetition. When humor cartoons we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increased with the orbitofrontal cortex/insula hippocampus for sensitiveness person of humor. We evidence that humor repetition and sensitivity inference with unconsciousness humor reponses.
본 연구에서는 분노와 슬픔이라는 두 가지 부정적 감정과 소비자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라 결론이 생략된 광고에 대한 추론시간과 추론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추론시간의 경우 인지욕구와 감정강도가 모두 높은 집단인 복합적 정보처리자와 인지욕구는 낮지만 감정강도는 높은 감정적 정보처리자는 슬픔 조건에 비해 분노 조건에서 추론을 더 빨리 하였다. 반면 인지욕구는 높지만 감정강도는 낮은 인지적 정보처리자와 인지욕구와 감정강도가 모두 낮은 수동적 정보처리자는 분노/슬픔 조건에 따라 추론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추론양의 경우 부정적 감정과 정보처리유형의 주효과만이 유의하였는데, 이는 감정강도는 높지만 인지욕구는 낮은 감정적 정보처리자가 과제난이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부정적 감정들과 정보처리유형이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데 의의를 갖으며, 분노와 슬픔이 같은 부정적 감정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르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소비자와 광고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inferences in the condition of two negative affective states of the same valence(anger/sadness) considering consumer's processing styles. Through this new connec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inference, we have tried to expand studies on affect. In the experiment study, we examined differential impact of two discrete negative affect(anger/ sadness) considering consumer's processing styles(combination/cognitive/feeling/passive) on the inference time and the amount of inference. And 160 subjects took part in the experiment study. In the case of inference time, for the high affect intensity subjects(combination/feeling processors) responded faster in the condition of anger than sadness. On the other hand, for subjects who were low on affect intensity(cognitive/passive process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ger and sadness. In the case of the amount of in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processing styl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gative affect and processing styles. It seems that feeling processors were influenced by task difficulty because they were low on need for cognition but high on affect intensity. This study finds the difference of inferences in the condition of two negative affects of the same val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importance of studies on affect beyond valence, not in valence.
추론 수준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어떤 사건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가 멀어질수록 추상적인 상위의 추론을 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구체적인 하위 추론을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제품 구매 예정 시기와 제품 속성의 추론 수준이 적합할 때 해당 제품을 더 선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기적 적합성이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제품군 분류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각 제품 구매 시기와 추론 수준이 동일한 제품군을 더 선택했고, 더욱이 그것이 광고 메시지의 추론 수준과 일치하는 제품을 더 선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론 수준 이론을 소비자의 감성과 행동에 접목시켜 이론의 범위를 넓히고 현실에의 응용 가능성을 높이는 실용적인 의의를 지닌다.
The construal level theory proposes that a psychological distance has a systematic effect on individuals’ thought and behavior.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pply temporal construal to advertising and consumer behavior.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fit on consumer choice of products. 208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one of the four purchase scenarios, which were either near or far (today vs. December) and either convenience goods or shopping goods (portable multimedia player vs. toothpaste). Then their choices between two products with either feasible or desirable advertising messages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select products of which product category, type of advertising messages and expected purchase time were congruent. It suggests that the fitness of construal level affects consumer behaviors on product choice. Our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y extended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al level theory to the consumer behavior domain.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한 후에 작성하는 구매후기에 대한 신뢰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매후기 내용을 일방 메시지와 양방 메시지 조건으로, 구매후기 내용의 신뢰성을 높이는 조건으로 평점을 제시하는 경우와 제시하지 않는 조건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쇼핑몰 사이트는 신뢰성이 높은 사이트와 낮은 사이트조건으로 구분하여 구매후기 메시지 방향성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매체 수용자의 개혁성 특성에 따른 구매후기 신뢰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이트 신뢰도는 구매후기 내용의 신뢰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방 메시지 구매후기가 신뢰성이 더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사이트에서는 양방 메시지 구매후기 신뢰성 지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구매후기 내용과 함께 상품분석에 대한 평점을 제시하는 것이 구매후기 신뢰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시 형태는 숫자 제시형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매체 수용자의 혁신성 특성은 구매후기 신뢰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종합 쇼핑몰 구매후기 담당자에게 구매후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이트의 신뢰성 및 구매후기 내용의 방향성, 사이트 이용자들의 특성 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구매후기의 관리전략을 제시 하였다.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erceived reliability across the message sideness, online site credibility and user's characterist in online postscript. It classified user's postscript to the one-sided message vs two-sided message. Also,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user's postscript across the type of online site credibility: high or low site. And, it was user's postscript across the information of product's evaluation in online markets.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user's postscript of two-sided message is more effective than one-sided message in the online markets. Second, the user's postscript of high credibility site is more effective than low site. Third, in the case on the two-sided postscript message is high credibility site more effective than one-sided message.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low credibility online markets. At last, when there is information of product's evaluation message has more influence no information does. In conclusion, this thesis is the meaningful attempt to set a basis for combining the word of mouth effects and message sidedness effects on new research context, the online market. It also provided a new approach and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online consumer by focusing on how online consumers are influence by the product eval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o-called postscript.
본 연구는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을 포함한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 유형 (실용재와 쾌락재)에 따라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 자기 확신감,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집단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제품 경험과 자기 확신감이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동일하였으나 객관적 지식,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 관여가 객관적 지식과 제품 경험에 미치는 효과는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하였으나 제품 경험과 객관적 지식간의 관계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달랐다.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와 이것이 소비자 정보 처리에 미치는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knowledge constructs including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how objective knowledge, product experience, self confidenc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are related to subjective knowledge across different product types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s) using structural equationanl model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knowledg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on subjective knowledg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 of products while the effects of product experience and self-confid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In addition, the impacts of product involvement on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while product experience varies its influence on objective knowledge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constructs and their role in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