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5-3480
3종의 복족류(Rapana venosa, Reishia bronni, Anthosiphonaria sirius)와 1종의 다판류, Lepidosona(Lepidosona) coreanica에 대한 18S ribosomal DNA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이들을 이미 보고된 18종의 이매패류, 2종의 복족류 그리고 1종의 다판류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셜과 복족류는 V4 region에서 다른 연체동물과 구별되는 독특한 inseerted sequinces를 가지고 있었으며, V2 region에서 복족류(Prosobranchia와 Pulmonata)와 이매패류(Pteriomorphia 와Heteerodonta) 각각의 두 아강들이 서로 다른 특징적인 insertions 또는 deletions으로 구분되었다.
바윗굴의 산란유발 및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극방법별 효과와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자극방법별 산란유발은 정자현탁액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산란량과 높은 수정률을 나타냈고, 난발생 및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TEX>$^{\circ}C$</TEX>)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 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담륜자기 :1/h= 0.0069T - 0.0950(r=0.9447)D형 유생 :1/h= 0.0006T - 0.0045(r=0.9288)초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19(r=0.9358)후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22(r=0.9868)부착기 유생:1/h= 0.0001T - 0.0013(r=0.9897)또한 바윗굴의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96<TEX>$^{\circ}C$</TEX>였으며, 수온별 유생사육시 바윗굴의 생존율은 24<TEX>$^{\circ}C$</TEX>에서 6.8%로 가장 좋았다.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주요 양식대상종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리비의 산란유발은 종묘생산시 생산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극방법에 따른 가리비의 산란유발 효과와 유생사육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가리비의 생식소 지수는 4월에 암수 각각 32.4와 33.2로 최고치를 보였고, 정자현탁액 첨가구에서 개체당 백만개 이상과 80%이상으로 가장 좋았다.
In archaeology, oxygen isotope analysis using marine shells has been used to reconstruct past environment and determine the season of shellfish-gathering activities in the past. Modern oysters(Crassostrea gigas) from Solsum ao the mouth of Chonsu Bay were anayzed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e species for determining seasonality by oxygin isotope analysis.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specie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Histochemical experiment was carry out respectively to confirm the properties of the sali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SDS-PAGE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invertigate the distribution aspects of protein patterns between the two species. Five types(A, B, F, H and I)of gland cells with four neutral mucopolysaccharide cells and one acid mucopolysaccharide cells and one acid mucopolysaccharide cell were observed in acinous of Achatina fulica, while six types were observed in acinous of Incilaria fruhstorferi: ond acid mucopolysaccharide cell(type-A) and four neutral mucopolysaccharide cells(type-B, C, D and F) and one cell that acid mucopolysaccharide is only mimbrane that surrounded granule(type-E). The results are follows:The thpe-A fland cell is commonly observed between the two species. The type-A gland cell in Achatina fulica possesses a nucleus with a developed heterdchromatin, and the cytoplasm was filled with round granules. The granules were surrounded with an uncertain boundary mimbrane and confirmed with neutral mucopolysaccharides, but is confirmed acid mucopolysaccharide in Incilaria fruhstorferi.The type-B gland cell is obwerved in the two species, too. The type-B gland cell in Achatina fulica was round shaped, and included an evenly alrge nucleus. The uncleoplasm included granules that were confirmed in the neutral mucopolysaccharides of the two species. The type-C and D gland cells exist only in Incilaria fruhstorferi, nucleoplasm was well developed heterochromatins. The type-E gland cell appears in the acinous surrounded the salivary gland of Incilaria fruhstorferi. Thdse granules appear irregular irregular shape and size and the cytoplasm is formed in alveolar. The type-F gland cell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salivary glands of the two species. They are similar with the type-B gland cell, but the granular shape is comparatively small and irregular, and possess the neutral mucos granules. The type-H gland cells are mainly seen in only Achatina, and in nucleus is a well developed heterochromatin. The cytoplasm is filled with round small granules with acid mucopolysaccharide for alcianophilia observed. The type-I cell was small cell with an irregular shape and only observed in the gland cells of Achatina fulica. The heterochromatins were developed in the nucleus and the granules are not observed in cytoplasm.Secretory ducts of saliva are composed of the interlobular duct and interlobar secretory duct. In Achatina fulica the interlobular duct consists of a simple cuboidal epithelium, while the endothelium of intralobar secretory duct of Incilaria fruhstorferi consists of a simple squamous epithelium and in the cytoplasm is filled with granules(type-G secretory cell). A SDS-PAGE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at the protein band pattern consist of salivary gland. In conclusions, five more bands in Achatina fulica and three bands in Incilaria fruhstorferi were confirmed in MW<29 kDa. one main band coincides comparatively with both and is between 29-45 kDa. There are four main bands in Achatina fulica and two main bands in Incilaria fruhstorferi between 45-66.5 kDa respectively. The bands in Achatina fulica seem more complex than in incilaria fruhstorferi.
진해만 바위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뿔소라과 2종, 대수리(Thais clavigera)와 뿔두드럭고둥(T. luteostoma), 에서 수컷의 성징이 암컷에게서 발현되는 임포섹스 현상을 조사하였다. 임포섹스는 전 조사정점에서 100% 나타나고 있었으므로 본 조사에서 수컷의 성징을 보이지 않은 암컷은 발견할 수 없었다. 임포섹스의 강도를 나타내는 상대 성기 길이 지수(relative penislength index: RPL)는 34.7%에서 81.1%의 범위에 있었다. 특히 마산만 안쪽의 조사정점에서는 암컷의 구성비가 크게 감소하고 어린 개체를 거의 발견할 수 없는 등 개체군이 임포섹스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종의 체내에 함유된 트리부틸주석(TBT)과 트리페닐주석(TPT)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각각 0.18-1.45 <TEX>$\mu\textrm{g}$</TEX>/g, 0.42-6.30 <TEX>$\mu\textrm{g}$</TEX>/g의 범위에 있었으며, 임포섹스의 정도는 트리부틸주석과 트리페닐주석의 체내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s 대수리와 뿔두드럭고등의 임포섹스는 우리 나라에서 유기주석 화합물의 오염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TBT의 사용 규제이후 그 효과를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국산 다판류 4종의 정소를 재료로 warm drying method를 이용하여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두군부과 (Ischnochitonidae)에 속하는 북방줄군부(Lepidezona albrechtii)의 염색체, 그리고 한쌍의 차중부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으며,줄군부(Lepidozona coreanica)의 염색체는 2n
1996년 8월 춘천 의암호에서 채집한 긴애기물달팽이(Fossaria truncatula)를 재료로 공기건조법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색체를 관찰하고 핵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긴애기물달팽이의 염색체 수는 2n=31, 32이었으며 15쌍의 배수체와 1개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었다. 핵형은 3쌍의 metacentric과 13쌍의 sub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