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Distribu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Protothaca euglypta(Sowerby, 1914)(Bivalvia: Veneridae)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of Russia
Nikolay I. Selin(Institute of Marine Biology, Far East Branch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pp.81-8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Distribu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the bivalve Protothaca euglypta were investigated for clams collected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of Russia. This species is distributed in further northern area than it was found earlier. In the southern area, this clam is found in the intertidal zone, up to 8 m in depth. It is one of the most numerous infaunal species of bivalves, and protected to wave action in the gravel-pebble and sand with rubble biotope. Population density of P. euglypta reaches 500 spc./m², and biomass 2 kg/m². Size and age composition of the local settlements and allometric growth of P. euglypta depend on a biotope. The growth rate of P. euglypta considerably reduces in case of the northern boundary area, whereas life span increases.

Limnoperna coreana n. sp.(Bivalvia: Mytiloidea: Mytilidae) from Baengnyong Cave, Gangweon-do, Korea
박갑만(관동대학교) ; 최용근(제주동굴연구소) pp.89-9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new species of the mytiloidean freshwater bivalve is described from Baengnyong Cave, Pyeongchang-gun, Gangweon-do. Limnoperna coreana n. sp. belongs to the genus Limnoperna Rochebrune, 1882 with the byssus. This species has a small shell with the glossy surface and rounded-triangular and differs morphologically from all of its congeners.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Veneroida: Sphaeriidae)의 재기재
이용석(인제대학교) ; 이준상(강원대학교) pp.93-9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Korean freshwater Sphaeriid clam species,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i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the type locality specimens. Authors considers that original description of this species is by Kwon, Pisidium (Neopisidium) sp. in 1990.

Reproductive Cycle and First Sexual Maturity of Sinonovacula constricta(Lamarck, 1818)(Bivalvia: Pharidae) in Western Korea
김태후(군산대학교) ; 이기영(군산대학교) pp.97-1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gonad index, reproductive cycle and first sexual maturity of Sinonovacula constricta collected from Simpo, Kimje-gun, Korea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analysis. The gonad index (GI) in both sexes of S. constricta increased from April and reached a maximum in July when the water temperature rapidly increased. And then, the GI values gradually decreased by spawning from August through October. Monthly variations in the GI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ovarian development. The reproductive cycle in females and mal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March to June), late active stage (May to July), ripe stage (July to September), partially spawned stage (August to October), spent/inactive stage (October to March). The percentage of first sexual maturations in female and male clams of 50.1-60.0 mm in shell length was over 50%, and for clams over 70.1 mm in shell length, it was 100%. Because harvesting clams < 50.1 mm in shell length could potentially cause a drastic reduction in recruitment, a measure including a prohibitory fishing size should be taken for adequate improved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Two New Records of Trochidae(Gastropoda, Orthogastropoda) in Korea
이준상(강원대학교) ; 민덕기(민패류연구소) pp.105-10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wo trochid shells of the genus Ginebis, G. crumpii (Pilsbry, 1893) and the genus Enida, E. japonica A. Adams, 1860, collected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Korea are reported. Ginebis crumpii and Enida japonica are closely related to Calliostoma Swainson, but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features of the aperture and umbilicus. These species are a new records to the Korean Molluscan fauna. At present, G. crumpii and E. japonica are the only species of the represented in Korean water. Including the new records in this study, the family Trichidae contains 30 genera and 57 species in Korean water.

수하시기에 따른 참굴 인공종묘의 성장 비교
이정미(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 ; 박애전(수산종묘배양연구소) ; 조상만(군산대학교) ; 박경대(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 pp.109-119
초록보기
초록

봄철 실내에서 조기 생산된 인공종묘가 수하시기를 달리하여 양성 시 당년에 수확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인공종묘의 각장, 육중 및 비만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경남수산자원연구소에서 생산된 인공종묘는 각각 4월, 5월 그리고 6월에 통영, 거제 그리고 고성의 굴 양성해역에 수하를 하였다. 각장의 성장은 6월부터 8월경까지 빠르게 이루어졌고, 10월 이후 각장의 성장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4월과 5월 수하한 종묘의 각고 성장은 양성기간동안 해역별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육중의 성장은 수하초기부터 9월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10월부터는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해역별 육중량의 차이가 10월경부터 나타났고, 이 후 고성 양성장이 통영 양성장과 거제 양성장에 비해 육질의 증육이 다소 늦은 경향을 보였다. 비만지수는 4-5월에 수하한 경우 통영 양성장과 거제 양성장에서는 8월에, 고성 양성장에 수하한 종묘는 9월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6월수하구 경우 정확한 산란기 추정이 어려웠다. 인공종묘의 수확시기는 양성 해역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평균 각고 80 mm 기준 시 9월부터, 습중량 5 g으로 기준 시에는 10월부터 당년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월에 수하한 종묘는 수확시기까지 4-5개월 소요되고, 4월과 5월에 수하한 인공 종묘는 6-7개월 소요되어 6월에 수하하면 양성일수를 줄 일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yearly-harvest, we carried out growth experiment (shell height, meat weight and condition index) for of the artificial oyster spat, which suspended in three different times before the season for natural spat around coastal waters of Gyeongnam Province. Shell growth of spats suspended in June showed higher than those in April and May. In meat weight, the growth of spats was significantly elevated from October, of which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epending on growing farms (Gosung<Tongyeong and Koje). Using condition index, we found that the spat deployed in April and May were spawned on August or September, however, could not that in June. The estimated yield time were accounted for September on the shell height level (≥ 80 mm) and October on the meat weight level (≥ 5 g).

다형질 Animal Model에 의한 12개월령 한국산 전복 2 아종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최미경(국립수산과학원) ; 한석중(국립수산과학원) ; 양상근(국립수산과학원) ; 원승환(국립수산과학원) ;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여인규(제주대학교) pp.121-130
초록보기
초록

양식 대상 종들에 있어 성장형질에 대한 개량은 선발 육종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아시아에서는 매우 중요한 전복종이 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이들 전복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가 신중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12개월 령의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에 대한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유전력, 유전상관 및 표형형상관 등 유전모수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산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및 제주연안의 전국 11개소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여 수집한 후, DNA 분석에 의한 원거리 유연관계를 기초로 F1세대의 전형매 혹은 반형매군을 각각 생산하고 1년간 사육을 실시하였다. 이중 임의로 추출한 북방전복 26가계(1,509 마리), 둥근전복 6가계(297 마리)에 대해 각장(mm), 각폭(mm) 및 중량(g)에 대해 개체별 측정하고, 유전모수 추정은 성장관련형질인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개체의 성장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분석을 위해 animal model에 의한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SAS 통계 프로그램 package(ver. 9.1)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서는 EL-REML(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Misztal, 2001)을 이용하여 다형질 혼합모형으로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에서 교배 sire와 dam의 자연산 혹은 양식산에 의한 교배타입을 고정효과로 하였다. 분석결과 12개월 령에서의 성장관련 형질은 북방전복에서 평균<TEX>$\pm$</TEX>표준편차가 각장 <TEX>$29.86{\pm}5.89$</TEX> mm, 각폭 <TEX>$20.70{\pm}4.09$</TEX> mm 및 중량 <TEX>$3.47{\pm}2.05$</TEX> g, 둥근전복은 각장 <TEX>$31.80{\pm}6.15$</TEX> mm, 각폭 <TEX>$21.97{\pm}4.13$</TEX> mm 및 중량 <TEX>$4.23{\pm}2.42$</TEX> g으로 각각 성장하였다. 12개월 령 북방전복의 유전율은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서 각각 0.43, 0.43, 0.40, 0.19, 0.09로 추정되었다. 12개월 령 둥근전복의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한 유전율은 각각 0.33, 0.26, 0.51, 0.23, 0.10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북방전복과 둥근전복 모두 각장, 각폭 및 중량에서 중고도의 유전율이 추정되어 높은 육종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은 각장과 각폭, 각장과 중량 및 각폭과 중량 간에 각각 0.92-0.97, 0.96-0.99로 추정되어 두 종 모두에서 형질들 간의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장관련 형질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선발을 실시하여도 다른 관련형질에 대한 높은 개량효과가 추정되어졌다.

Abstract

In other aquaculture species, large improvements in growth have been achieved through selective breeding. Ezo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disk abalone (H. discus discus) are major aquatic animals cultured in Asia, but selective breeding for the promotion of growth with these abalones has not been actively pursued. Recently significant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production of these species through selective breeding in Korea. The aims of this work were to estimate the general genetic parameters, heritabilitie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on growth-related traits at 1-year old in two Korean abalone subspecies, H.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using multiple trait animal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1,504 individuals produced from 22 sires and 26 dams in H. discus hannai and 297 individuals produced from 5 sires and 6 dams in H. discus discus, which evaluated by the Genetics and Breeding Research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for these abalone subspecies raised in Bukjeju branch, NFRDI, from May 20, 2004 to May 16, 2005,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obtained from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REML) were higher than expected, ranging from 0.40 to 0.43 for growth traits shell length, shell width and body weight in H. discus hannai and from 0.26 to 0.51 in H. discus discus, respectively. The heritabilities for shell shape and condition factor were lower than others of growth traits such as ranging from 0.09 to 0.19 in H. discus hannai and from 0.10 to 0.23 in H. discus discus, respectively. Genetic and phenotypic were > 0.93 between shell parameters and weight in two abalone speci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breeding for weight gains could be successfully achieved by selecting for shell length.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 형태와 유실방지망 종류에 따른 성장과 생존
김병학(국립수산과학원) ;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박기열(국립수산과학원) ; 최낙중(국립수산과학원) ; 오봉세(국립수산과학원) ; 민병희(국립수산과학원) pp.131-136
초록보기
초록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망의 형태 및 유실 방지망의 종류에 따른 부착치패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보호망의 형태별로 60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노출형이 평균 각장 <TEX>$12.8{\pm}3.2$</TEX> mm로 가장 빨랐으며(P<0.05), 통발형이 <TEX>$12.2{\pm}3.5$</TEX> mm, 원통형이 <TEX>$11.9{\pm}3.8$</TEX> mm, 직사각형이 <TEX>$10.9{\pm}3.7$</TEX> mm순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존율은 통발형이 43.7%, 원통형이 41.2%, 직사각형이 31.6%로 보호망의 형태에 따라 통발형 및 원통형이 직사각형보다 높았으며, 노출형이 5.4%로 매우 낮았다(P<0.05). 유실 방지망 종류별로 163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차광막이 평균 각장 <TEX>$13.9{\pm}3.1$</TEX> mm로 가장 빨랐고(P<0.05), 여자망이 <TEX>$12.9{\pm}3.0$</TEX> mm, PE망이 <TEX>$11.8{\pm}3.1$</TEX> mm 및 대조구가 <TEX>$12.6{\pm}3.3$</TEX> mm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차광막이 91.5%, PB망이 90.1%, 여자망이 8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실 방지망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61.5%로 설치한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은 통발형 및 원통형을 사용하면 채묘망과 보호망 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마찰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고, 해수의 소통이 원활하여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보호망목의 크기는 2 mm 내외를 사용하여 해수의 유통이 비교적 원활히 되도록 하였으며, 일시적으로 탈락하는 개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치패 채묘망과 직각으로 설치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유실 방지망 종류별 중간양성시험 결과는 시험기간이 겨울철이여서 태풍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고, 보호망에 부착물질이 거의 없어 생존율이 매우 높았다. 겨울철 중간양성이 여름철 중간양성 보다 생존율에서는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산업화를 위해서는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피조개 부착치패 중간양성 시기는 태풍 등의 위험한 시기를 피하여 조절하고,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통발형 및 원통형의 보호망과 유실 방지망을 병행하여 사용하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Growth and survival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were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survival in intermediate culture with different shape of protective net and type of preventive net of spat loss.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spat of arkshell was observed for 60 days by using different forms of protective net, as the exposure form with an average shell length of 12.8±3.2 ㎜ (P<0.05), the fish pot form with 12.2±3.5 ㎜, the cylinder form with 11.9±3.8 ㎜ and the last one is the rectangular form with 10.9±3.7 ㎜. Their numerical value did not show any marked difference with each other. But in case of survival rate, the fish pot form showed highest survival rate which is 43.7% and the significantly lowest was showed by the exposure form, which is 5.4% (P<0.05). The cylinder form and rectangular form showed 41.2 and 31.6% respectively. And then the growth of the spat of arkshell was observed for 163 days by rearing in a sort of preventive net, the first group was in a blackout curtain with average shell length of 13.9±3.1 ㎜, the next group was in a balsam pear net with 12.9±3.0 ㎜, in a polyethylene net with 11.8±3.1 ㎜ and the control with 12.6±3.3 ㎜ which was not installed by preventive net of spat loss. The survival rate was 91.5% in a blackout curtain, 90.1% in a polyethylene net, 88.5% in a balsam pear net and 61.5% in a controlled group. It is seen that the highest growth and survival rate were observed in a fish pot form and cylinder form. These results were a little bit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spat of arkshell cultured in the form of different preventive ne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in relation to the sorts of preventive net against carrying-away,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y more than 30% as against the non-installed controlled group. We expect that survival rate would be highly improved in intermediate culture carried out with fish pot form and cylinder form of protective net and preventive net of spat loss.

득량만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양성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
최상덕(전남대학교) ; 김대홍(수산기술관리소) ; 윤호섭(전남대학교) ; 안윤근(전남대학교) ; 이사동(수산기술관리소) pp.137-1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를 위하여 득량만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양성밀도별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중 이식해역의 수질환경을 살펴보면 수온은 <TEX>$14.5-28.0^{\circ}C$</TEX>였으며, 염분농도는 27.98-31.89 psu로 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pH)는 7.78-8.35 범위였으며, 용존산소는(DO) 7.07-7.90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1.20-1.70 mg/L로 나타났다. 용존 무기질소(DIN)는 2.88-6.02 mg/L였으며, 인산염인(<TEX>$PO_4-P$</TEX>) 0.06-2.09 mg/L, Chlorophyll-a는 0.20-0.79 mg/L, 부유입자물질(SPM) 은 10.8-21.4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질 환경을 살펴보면 총강열감량(IL)은 4.0-4.6%, 저질COD는 7.28-10.76 mg/L, 황화물(AVS)은 0.03-0.05 mg/L의 범위를 나타냈다. 밀도에 따른 키조개의 성장을 살펴보면, 저밀도의 시험구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5 indiv./<TEX>$m^2$</TEX> 시험구가 0.27%이었고, 10 indiv./<TEX>$m^2$</TEX>는 0.26%, 35 indiv./<TEX>$m^2$</TEX> 시험구는 0.21%이었다.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5 indiv./<TEX>$m^2$</TEX> 시험구가 0.33%이었고, 10 indiv./<TEX>$m^2$</TEX>는 0.29%, 35 indiv./<TEX>$m^2$</TEX> 시험구는 0.20%이었다. 생존율은 5 indiv./<TEX>$m^2$</TEX>와 10 indiv./<TEX>$m^2$</TEX> 시험구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Abstract

Growth and survival rates dependent on the density of a pen sell, Atrina pectinata were measured from Duekryang bay in Korea. Annual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study area were ranged from 14.5 to 28.0℃ and from 27.98 to 31.89 psu, respectively. The pH, DO, COD, DIN, Chl-a and SPM in the study area ranged from 7.78-8.35 mg/L, 7.07-7.90 mg/L, 1.20-1.70 mg/L, 2.88-6.02 mg/L, 0.20-0.79 mg/L and 10.8-21.4 mg/L. The IL, COD and AVS in sediments ranged from 4.0-4.6%, 7.28-10.76 mg/L and 0.03-0.05 mg/L respectively. The daily growth rate of shell height and total weight were 0.27%, 0.33% (5 indiv./m²), 0.26, 0.29% (10 indiv./m²) and 0.21, 0.20% (35 indiv./m2). The survival rate also decreased along the density gradient; highest at the lowest density of 5 indiv./m² and lowest at the maximum density of 35 indiv./m².

가입당생산량 (yield-per-recruit) 모델을 이용한 제주 동부연안 오분자기류 (Haliotis diversicolor)의 어업관리
고준철(국립수산과학원) ; 유준택(국립수산과학원) ; 최영민(국립수산과학원) ; 김재우(국립수산과학원) ; 임양재(국립수산과학원) pp.143-151
초록보기
초록

조사기간 동안 오분자기류의 각장조성은 2004년 이후 소형개체의 어획비율이 증가하였고, 연도별로 어획개시연령(<TEX>$t_c$</TEX>) 및 순간어획사망계수(F)를 추정한 결과, <TEX>$t_c$</TEX>r는 2006년에 1.926세로 2004년에 비해 약 0.09세 낮아진 반면, F는 2006년에 1.088/year로 2004년에 0.574/year보다 크게 높았다. 가입당생산량(Yield-per-recruit)모델을 사용하여 <TEX>$t_c$</TEX>와 F의 변화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4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4/year을 유지하면서 <TEX>$t_c$</TEX>를 2.7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EX>$t_c$</TEX>값인 2.01 세에서 F를 0.800/year로 높이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고, 2005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8/year에서 <TEX>$t_c$</TEX>를 2.5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EX>$t_c$</TEX>값인 1.946세에서 F를 0.880/year으로 높일 때 최대의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2006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1.088/fear에서 <TEX>$t_c$</TEX>를 3.1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EX>$t_c$</TEX>값인 1.926세에서 F를 0.810/year로 낮추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도별 <TEX>$F_{0.1}$</TEX>와 <TEX>$F_{MAX}$</TEX>를 추정해 본 결과, 2004년과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추정된 <TEX>$F_{0.1}$</TEX>(0.427/year)과 <TEX>$F_{MAX}$</TEX>(0.804/year) 모두 현재의 F(1.088/year)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2006년에 들어 성장남획의 징후는 뚜렷하였고, F와 관련된 조업 해녀수의 인위적 감소는 힘들기 때문에 <TEX>$t_c$</TEX>를 3.1세(각장 4.2 cm) 로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We studied the management policy for Haliotis diversicolor fisheries in the coastal area of Sungsanpo using Yield-per-recruit model from 2004 to 2006. The age at first capture (tc) and fishing mortality (F) annually estimated during the study period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The maximum yield-per-recruit in 2004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c from the 2.012 year of current tc to 2.7 year or increasing F from the 0.574/year of current F to 0.800/year, and that in 2005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c from the 1.946 year of current tc to 2.5 year or increasing F from the 0.578/year of current F to 0.880/year. In 2006, the maximum yield-per-recrui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c from the 1.926year of current tc to 3.1year or decreasing F from the 1.088/year of current F to 0.810/year. Further, although the current F in 2004 and 2005 was lower than the estimated FMAX, that in 2006 was higher than the estimated FMA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ikelihood of growth overfishing with increasing catch of smaller H. diversicolor in 2006 was greater than in 2004 and 2005. As action that could prevent growth overfishing in fisheries management of H. diversicolor, increasing for the current tc could be a more appropriate policy because the artificial decrease of the number of woman divers related F is actually difficult.

중국산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인공종묘 생산 및 부착치패 중간양성에 관한 연구
오봉세(국립수산과학원) ; 이정용(국립수산과학원) ; 박세규(동해수산연구소) ; 이주(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조규태(동해수산연구소) pp.153-159
초록보기
초록

중국산 참가리비 어미패의 GSI 월 변화를 보면 2월 중순 17.2 이었고, 3월 중순에는 중국산은 20.2로 채란 가능한 상태였으나 국내산 참가리비의 GSI는 2월 6.9, 3월 10,8로 미숙상태를 보였다. 어미패를 음건 및 자외선 조사 해수를 이용하여 3월 10일 및 15일 2차례에 걸쳐 채란한 결과 총 22,800만개 수정란을 채란하였고, 이중에서 17,728만마리의 D상 부유유생(부화율 77.8%)을 확보하였으며, 실내에서 25일간 사육한 후 안점이 형성된 유생 4,750만마리를 대상으로 채묘기를 넣어 총 185만마리의 부착치패를 채묘하였다. 부착치패는 강릉시험포에서 5-60일간 5단계로 나누어 실내 사육한 후 양양군 수산항내 부착치패 중간양성장으로 이동하여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실내에서 12일간 사육하여 이동한 부착치패의 생존율이 13.0%로 가장 높았다. 이 기간을 제외하면 실내사육기간이 길수록 생존율이 높았으나 성장차이는 실내사육 기간의 장단과는 상관없이 크지 않았다. 강릉시 사천항 연안에 있는 가리비 양식장에서 인공산 및 자연산 부착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양양 수산항 내에서 중간양성을 거치고 7월 10일에 본 장소에 수하한 부착치패의 경우 평균각고는 0.9 mm에서 12월 16일에 24.7 mm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85.0%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현지에서 채묘하여 수하한 자연산의 경우는 시작시 평균각고는 0.6 mm에서 종료시에는 23.9 mm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은 85.7%로 인공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artificial mass seed production of a Chi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2004. The GSI (gonad somatic index) of the Chinese scallop, P. yessoensis was 17.2 on mid-February, 20.2 on mid-March, while that of Korean scallop, P. yessoensis was 6.9 on mid-February, 10.8 on mid-March. Matured 120 females and 350 males were selected for artificial mass production. They were exposed in air for 1 hr at over 20℃, and placed into a spawning tank (20 ton) containing sea water treated with UV radiation at 12℃. We gained a total of 228,000 thousand scallop embryos between March 10th and 15th, and reared larvae at the indoor tank during 25 days. When the mean shell length of larvae reached 250 ㎛ and they have eye-spots, the number of pre-settling larvae was 47,500 thousand. We gained 1,850 thousand attached scallop spats from two kinds of collectors. Attached spats were reared in indoor tank for different periods from 5 days to 60 days. They were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ared days. Each group of attached spats was moved to intermediate rearing sites at Yangyang fishing port in Gangreung-city for acclimation to ocean environments.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attached spats was 13.0% shown at the group reared for 12 days,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growth was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The shell length of artificial attached spats increased from 0.9 ㎛ on July 10th to 24.7 ㎛ on December 16th with the survival rate of 85.0% while that of natural attached spats increased from 0.6 ㎛ on July 10th to 23.9 ㎛ on December 16th with the survival rate of 85.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