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한국 남해안에 분포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김영혜(국립수산과학원) ; 강현정(국립수산과학원) ; 이은희(국립수산과학원) ; 이동우(국립수산과학원) ; 장대수(국립수산과학원) ; 곽우석(경상대학교) pp.161-1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남 통영과 사천지역의 연안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매월 1회 연안통발어업에 의해 채집된 참문어를 대상으로 참문어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10월과 12월을 제외하고 연중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방정이 가능한 성숙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다. 난소의 성숙발달에 따른 난경크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난소 내 난경조성의 월 변화를 조사한 결과 9월에 1.1-1.2 mm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암수의 비율은 약 0.48:0.52로 나타났지만 암수의 성비(1:1)에 대한 유의한 차는 없었다(p > 0.05).

Abstract

Samplings have been monthly collected in Tongyeong and Sacheon of Gyeongsangnam-do, using traps. A total of 748 individuals were sampled from February 2007 to January 2008.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and sex ratio. Mean biomass (total wet weight) of the female specimens ranged from 129.8 to 3,381.4 g and that of the male specimens ranged from 128.6 and 2,378.4 g. The spawning periods were May to June and September. The fecundity ranged from 5,715 eggs at 252.0 g to 240,990 eggs at 3,381.4 g of total wet we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t weight (TW) and fecundity (F) was F = 26.539 TW1.1548 (r2 = 0.8199) and fecundity increased with total wet weight. Sex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1:1 (p > 0.05).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didyma (Gastropoda: Naticidae)의 수온과 염분 및 먹이에 따른 생존율과 성장
황규(군산대학교) ; 류동기(군산대학교) pp.167-17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수온과 염분 및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과 성장을 실내 수조에서 실험한 결과이다. 30일동안 사육한 수온별 생존율은 <TEX>$15^{\circ}C$</TEX>(50%)와 <TEX>$20^{\circ}C$</TEX>(60%)의 수조에서 <TEX>$25^{\circ}C$</TEX>(50%)와 <TEX>$30^{\circ}C$</TEX>(0%) 수조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TEX>$20^{\circ}C$</TEX>에서 3.79 g, <TEX>$15^{\circ}C$</TEX>에서 3.13 g, <TEX>$25^{\circ}C$</TEX>와 <TEX>$30^{\circ}C$</TEX>에서는 모두 폐사하였다. 증중률은 <TEX>$20^{\circ}C$</TEX>에서 12.20%, <TEX>$15^{\circ}C$</TEX>에서 9.95%였으며, 일간 증중율은 <TEX>$20^{\circ}C$</TEX>에서 0.407%, <TEX>$15^{\circ}C$</TEX>에서 0.332%였다. 염분별 생존율은 30 psu(70%)와 35 psu(70%)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20 psu에서는 10%로 낮게 나타났으며, 10 psu와 15 psu에서는 실험시작 10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 동안의 증중률은 35 psu에서 11.641%, 30 psu에서 9.766%, 25 psu에서 1.437%, 20 psu에서 0.896%였으며, 일간증중율은 35 psu에서 0.388%, 30 psu에서 0.326%, 25 psu에서 0.048%, 20 psu에서 0.030%였다. 총 60일간 사육한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은 새우류를 먹인 실험구가 62.5%,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87.5%, 어류를 먹인 실험구가 75.0%로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6.63 g, 어류 급이군에서 1.68 g, 새우류 급이군에서 1.50 g의 순이었으며, 성장률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15.001%, 어류 급이군에서 3.934%, 새우류 급이군에서 3.567%를 나타내었으며, 일?lt;봉揚껨 조개류 급이군에서 0.250%, 어류 급이군에서 0.066%, 새우류 급이군에서 0.059% 순으로, 조개류 급이군에서의 성장이 가장 좋았으나, 어류와 새우류 급이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The survival and growth of Glossaulax didyma didyma (Röding) were measured in the laboratory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G. didyma didyma was examin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5, 20, 25 and 30℃) with 30 psu for 30 day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15℃ and 20℃ than other temperatures. The effect of salinity on G. didyma didyma was also examined at six different salinities (10, 15, 20, 25, 30 and 35 psu) with 20℃ for 40 day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30 psu and 35 psu than other salinities. Finally, the effect of diets on G. didyma didyma was examined with three single-component diets (prawn, shellfish and fish) at 20℃ and 30 psu for 60 day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fed on shell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on prawn and fish.

말백합의 연령별 여과율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임경훈(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장규상(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김인수(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정호(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신현출(전남대학교) pp.175-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의 기초 생리, 생태학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온 및 염분의 변화가 이들의 여과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말백합은 전라북도 김제시 거전리 갯벌에서 채집하였고, 먹이생물은 Phaeodactylum tricornutum(KMCC B-128)을 실내에서 단일종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과율 측정은 Coughlan(1969)의 간접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먹이생물의 농도는 혈구계산판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직접 계수하였다. 전체적인 실험과정은 Shin and Lim(2003)과 동일하였다. 수온별 말백합의 여과율 변동의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TEX>$25-30^{\circ}C$</TEX>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여과율을 나타내었고, 전반적으로 <TEX>$5^{\circ}C$</TEX>에서 최소 여과율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염분별 말백합의 여과율 변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20-35 psu의 염분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여과율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연령별 여과율 변동의 경우 대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건중량당 여과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TEX>$Q_{10}$</TEX> 값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수온 구간(<TEX>$5-15^{\circ}C$</TEX>)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filtration rate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The filtration rates of hard cla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oth water temperature and age class (two-way ANOVA, p<0.001). The filtration rate was generally reduced in low temperature range (5-15℃) for all hard clams in 1, 2, 3, and 4 year classes.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filtration rate increased exponentially. The filtr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the water temperature range 20-30℃, but rapidly decreased again at around 35℃. Variations in the data for filtration rates of hard clams, relative to age and changing water temperature, were us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coefficient Q10 at each water temperature range. In the 5-15℃ range, every age clas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Q10. It was found that on the whole, the higher the water temperature, the lower the value of Q10. Regardless of age, the value of Q10 was higher in the lower water temperature range. In the 25-35℃ range, the value of Q10 was less than 1.00 in all age classes, implying that this is the range in which the filtration rate decreased. Variations in the filtration rate, according to changing salinity and age, also showed very clear differences (two-way ANOVA, p<0.001). Hard clams in the 1, 2, 3,and 4 year classes all showed low filtration rates at low salinity (10-15 psu) and high salinity (40 psu). The highest filtration rates were found at 30 psu, and relatively high filtration rates were found around 30 psu. However, the S-N-K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test found that the hard clams in the 1-year class showed high filtration rates in the relatively narrower salinity range compared to those in the 2, 3, and 4 year classes. In other words, hard clams in the 2, 3, and 4 year classes showed high filtration rates at higher levels of salinity.

통영 연기해역의 바지락자원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조상만(군산대학교) ; 정우건(경상대학교) ; 이상준(경상대학교) pp.189-19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the sustainable ecological management,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are collected from Yoengi coast at Tongyoeng, Korea. The growth of clam was estimated as: Lf = 68.08·(1-e-0.145(t+0.324)) from ring radius composition of shell.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were calculated as: 0.991/year and 0.494/year, respectively.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3.28 year. The total biomass was estimated to 212 MT in the fisheries area (6.4 ha). Applied by these parameters, the annual recruit biomass and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Y/R) was corresponded to 649.5 individuals/m2 and 0.7 g/m2, respectively. Although the current fishing intensity was much lower than that for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and acceptable biological catch (ABC) and higher yield per recruit could be achieved by increase fishing intensity, it is favorable to retain the current fishing intensity becauseof the unique fishing attitude on Yeongi coast at Tongyoeng, Korea.

독도 연체동물상에 대한 추가 종 보고
홍병규(국립수산과학원) ; 손민호(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서인수(해양생태기술연구소) ; 김미향(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이해원(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최영민(국립수산과학원) ; 전영렬(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pp.199-203
초록보기
초록

독도에 서식하고 있는 연체동물 중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31 종을 2006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국립수산과학원 '탐구5호'를 이용한 독도 수중생태계 잠수조사 과정에서 확인하여 이들이 독도의 연체동물상에 추가됨을 보고 한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독도 서식 연체동물은 총 106 종이 된다.

Abstract

Thirty one marine molluscan species were added to the malacofauna of Dokdo Island, Korea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from April 2006 to August 2008 with SCUBA diving. As a result, one hundred six marine molluscan species were recorded from Dokdo Island hitherto.

흔한가리비, Chlamys nobilis의 치패성장 및 중간육성
원승환(국립수산과학원) ; 조규태(국립수산과학원) ; 한석중(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김재우(국립수산과학원) pp.205-214
초록보기
초록

흔한가리비 종묘생산시 부화 유생사육시 파판에 부착 후 60일째까지의 경과일수(X)에 따른 자패의 각장(SL) 성장은 <TEX>$SL=0.1664e^{0.0579x}$</TEX>(<TEX>$r^2=0.924$</TEX>)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지귀도에서 사육한 각장 1 mm 치패는 1개월후에 <TEX>$4.1{\pm}0.8\;mm$</TEX>로 성장하였고 2, 3, 4 및 5개월째에는 각각 각장 <TEX>$13.0{\pm}1.9$</TEX>, <TEX>$23.1{\pm}3.1$</TEX>, <TEX>$30.3{\pm}4.3$</TEX>, <TEX>$33.6{\pm}5.2\;mm$</TEX>로 성장 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지귀도 연안에서 흔한가리비의 수심별 일간 각장 성장량은 165.6, 154.0 140.0, <TEX>$137.4{\mu}m/day$</TEX> 순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성장량은 낮았고(p < 0.05), 사육밀도별에서는 각각 168.3, 145.8, 115.2, <TEX>$101.8{\mu}m/day$</TEX>로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성장이 느렸다(p < 0.05). 제주연안에서의 흔한가리비 치패의 중간육성은 제주시 옹포리연안보다는 서귀포시 지귀도 연안이 성장 및 생존율에서 높아서 양식가능성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와 비교해서는 성패까지 사육할 경우, 3-6개월 정도 더디었지만 양식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양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름철 태풍 내습에 대한 시설물의 안정성이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o evaluate the aquaculture potential of a subtrophic scallop Chlamys nobilis in Korean waters, nursery growth of the species was studied on two remote Jeju coasts, Jigwi and Ongpo.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early life for 60 days from just settled stage was expressed as: SL = 0.1664e0.0579x(r2 = 0.924), where x stands for day after settlement and SL for shell length. The early spats sized 1mm on average shell length became 4.1±0.8 mm in a month nursery culture, thereafter 13.0 Received October 6, 2008; Accepted December 6, 2008 Corresponding author: Won, seung-hwan Tel: (82) 51-720-2363 e-mail: wsh@nfrdi.go.kr 1225-3480/24306 ± 1.9, 23.1 ± 3.1, 30.3 ± 4.3, and 33.6 ± 5.2 mm for consecutive 4 months on Jigwi coast. Depth-dependent growth gains with daily gains in parenthesis were 76.7 ± 7.7 (165.6 μm), 73.3 ± 7.3 (154.0 μm), 69.4±8.4 (140.0 μm), and 68.7±8.5mm (137.4 μm) for depths of 5, 10, 15, and 20 m, respectively. The growth difference by water depth was significant (P<0.05). Culture density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fluencing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species in both locations. Overall, in our preliminary study, the growth performance of scallop in Korean waters was not as good as that in Japan, but it appeared to be worth doing further study for successful introduction to Korean waters.

제주도 문섬 주변해역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고준철(국립수산과학원) ; 구준호(국립수산과학원) ; 양문호(제주수산연구소) pp.215-228
초록보기
초록

제주도 문섬 주변해역에서 2007년 6월부터 12월까지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 하였다. 평균 수온과 염분은 각각 <TEX>$19.6^{\circ}C$</TEX>, 34.03 psu로써 비교적 안정된 수괴를 형성하고 있었다. DO는 6.42-8.14 mg/L(평균 7.37 mg/L), COD는 0.27-0.64 mg/L(평균 0.44 mg/L), SPM은 1.98-6.86 mg/L(평균 3.07 mg/L)의 범위를 나타내어 환경기준 중 해역환경 I 등급 이내의 양호한 환경을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 chlorophyll a량의 분포는 0.40-1.09 mg/L(평균 0.69 mg/L)의 범위로써 6월에 비해 12월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평균 농도는 DTN의 경우 0.073-0.264 mg/L(평균 0.15 mg/L), DTP의 경우 0.004-0.011 mg/L(평균 0.01 mg/L), <TEX>$SiO_2$</TEX>의 경우 0.039-0.464 mg/L(평균 0.23 mg/L)의 범위로 육상 유입에 의해 문섬 주변에서의 농도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 총 112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는데, 연체동물이 40 종(36.0%)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19.8%로 가장 우점하였고, 자포동물은 33 종(28.8%), 해면동물은 13 종(11.7%), 절지동물은 8 종(7.2%)이 나타났고, 기타 동물은 17 종(15.3%)으로 조사되었다. 조사해역의 개체 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340 개체/<TEX>$m^2$</TEX>, <TEX>$53,107.8\;gwwt/m^2$</TEX>로 자포동물 중 산호충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Dendronephthya gigantea, Scleronephthya gracillimum, Anthoplexaura dimorpha, Dendronephthya castanea, Thecocarpus niger, Dendronephthya spinulosa, Dendronephthya putteri, Acabaria bicolor로 주로 산호충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계절별 출현양상의 경우 자포동물 및 연체동물의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점별 종다양도(H'), 균등도(E') 및 풍부도(R) 지수의 범위는 각각 2.715-3.413, 0.758-0.851, 5.202-8.720 로 M1에서 가장 낮았고, M2에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each 4 stations and 9 stations around Munseom coastal water in Jeju Island from June to December, 2007. Mean temperature and mean salinity were 19.6℃, 34.03 psu which shows stable water masses. Concentrations of DO, COD and SS were as low as those in the standard sea-water-quality classes I.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0.40 to 1.09 mg/l (0.69 mg/l), showing higher December than June with a blooming in winter. The mean concentration values (the ranges in parentheses) of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were 0.07-0.26 mg/l (0.15 mg/l), 0.04-0.01 mg/l (0.01 mg/l), 0.01-0.46 mg/l (0.23 mg/l), respectively. However, the values higher near the Munseom due to influxes from the land. A total of 112 species was identified. of these mollusca comprised 40 species (36.0%); Cnidaria 33 (28.8%); Porifera 13 (11.7%); arthropoda 8 (7.2%) and others including Echinodermata, 17 (15.3%). density and biomass were estimated to be 4,340 individual/㎡ and 53,107.8 gwwt/m², respectively. Anthozoa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abundance (2,132 individual/m²) and number of species as well, whereas Cnidaria was predominant in biomass (37,630.9 gwwt/m²). The dominant species were Dendronephthya gigantea, Scleronephthya gracillimum, Anthoplexaura dimorpha, Dendronephthya castanea, Thecocarpus niger, Dendronephthya spinulosa, Dendronephthya putteri, Acabaria bicolor in 10-30 m.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number of individual and biomass Cnidaria and Mollusca was observed. There was a slow increase in June, a decrease in October, and a highest increase in December. The biodiversity, evenness richness index were appeared 2.715-3.413 (H'), 0.758-0.851(E'), 5.202-8.720 (R) in each stations. The dominace index were appeared highest in M2 and lowest in M1.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 구조에 미치는 TBTCl의 독성
박정준(국립수산과학원) ; 이정식(전남대학교) pp.229-241
초록보기
초록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복의 성장은 모든 실험구의 개체들이 12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 < 0.05). 대복의 외투막은 가장자리에 4 개의 주름 (내부 안쪽, 외부 안쪽, 가운데, 바깥쪽)을 가지며, 단층의 원주형 상피층이 결합조직층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였다. 대복의 외투막은 TBTCl 노출 12주 이후부터 혈림프동이 확장과 근섬유 다발의 분절이 관찰되었다. 노출 20주에는 내부상피층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지만(p < 0.05),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에서는 노출 12주까지 감소하였던 점액세포가 증가하면서 AB-PAS (pH 2.5) 반응시 보라색 (2587c)으로 관찰되는 점액물질이 관찰되었다. 이후 노출 28주에는 가운데 주름 부위의 안쪽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이 관찰되었고, 외부 상피층에서는 상피세포의 부분적인 파괴가 관찰되었다. 실험 종료시기인 36주에는 바깥쪽 주름 부위에 호산성 과립들이 관찰되었으며, 가운데 주름부위의 바깥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과 파괴로 인한 상피층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또한 외부 상피층의 상피세포들은 입방형 또는 편평형으로의 변화와 함께 부분적인 상피층의 붕괴가 나타났고, 그로 인하여 상피층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섬모의 탈락과 점액세포의 감소 그리고 상피층의 파괴는 외투강 정화 기능의 장애로 인한 먹이 섭식의 장애를 유발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의 구조적인 변화는 각피층 형성을 억제하여 패각 성장 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생각되어진다.

Abstra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firmed that tribultyltin chloride (TBTCl) induce reduction of growth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in the mantle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The experiments were taken for 36 weeks, commencing on October 25, 2005. Exposure concentrations consisted of 4 TBTCl exposure groups (0, 0.4, 0.6, 0.8 μg L-1). In this study, a regression analysis by power function on SPSS was applied to the shell length data in all experimental groups. For histological analysis, mantle tissues were characterized using H-E stain, AB-PAS (pH 2.5) reactio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and epidermal layer thickness and mucous cell distribution were analysed using the image analyser. The shell length grow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rol and TBTCl exposure groups from 12 weeks (P<0.05). The mantle had 4-folds (inner-inner, inner-outer, middle, outer) which epidermal layer consisted simple epithlia. A periostracum was originated in the periostracal groove where between the middle fold and the outer fold. The inner epidermal layer consisted simple ciliated columnar epithelia, but the outer epidermal layer consisted simple non-ciliated columnar epithelia. The mucous cell was observed alcian blue positive (7462c, 653c) and violet (2583c) in folds and alcian blue positive (647c, 7455c) in inner epidermal layer. After 12 weeks, mantle showe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and increased blue (7455c) and violet (2587c) mucous cells in inner plica of the middle fold. Cilia and striated border was disappeared and mucous cell in inner epidermal layer was reduced. Especially, at 36 weeks, a serous histopathological problem in middle and outer fold near the periostracum was observed. Moreover, epidermal layer thickness and mucous cell distribution illustrated an a tendency to be decreased as TBTCl exposure time increase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BTCl induce growth disorder with histopathological changes.

UV-vis와 ED-XRF를 이용한 내츄럴 컬러의 담수흑양식진주 분석
김혜연(한양대학교) ; 박종완(한양대학교) pp.243-251
초록보기
초록

진주의 감별기법상 UV-Vis의 흡수 스펙트럼 분석과 반사율 분석은 흑진주의 색깔이 자연 그대로인지 아니면 처리에 의한 결과인지를 구별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ED-XRF을 이용한 미량 원소 분석은 진주가 해수산인지 담수산인지 여부와 은염 또는 염색 처리 유무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염 또는 염색 처리되지 않은 여러 종류(담수양식진주, 아코야양식진주, 타히티흑양식진주)의 진주에 은염처리를 한 결과, 은 이온 고유의 스펙트럼이 진주 고유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주어 UV-Vis흡수 스펙트럼이 변화되었다. 또한 반사율도 은염처리하기 전보다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연 색상의 타히티흑양식진주의 경우 400 nm, 500nm, 700 nm의 고유 흡수 스펙트럼을 갖고 있었으며, 자연색상의 담수흑양식진주의 경우 380-400 nm, 480-500 nm 두 개의 특징적인 흡수 스펙트럼으로 나타났다. 자연 색상의 담수흑진주에서는 자연 색상의 타히티흑진주와는 달리 700nm의 흡수 스펙트럼이 관찰되지 않았다. 직접 은염처리한 진주 9 개를 ED-XRF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진주 층에 침투된 은의 함량이 점차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중에서 구입한 흑진주 18 개를 분석한 결과, 은 이온의 상대 함유량이 약 0.1%를 경계로 은염 또는 염색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Freshwater cultured pearls show generally white, orange pink and purple series. This study suggests the identification point of freshwater black cultured pearl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a rare freshwater cultured pearl of natural black color which is produced less than 0.1% from freshwater cultured pearl production. Various identification methods has somehow been established for other black cultured pearls (treated Akoya black cultured pearl, natural Tahiti black cultured pearl, treated Tahiti black cultured pearl and treated Freshwater black cultured pearl). Naturally colored Freshwater black cultured pearl has two characteristic absorption patterns in UV-Vis spectra, which are 380 nm-400 nm and 480 nm-500 nm. Unlike naturally colored Tahiti black cultured pearl, the absorption spectrum at 700 nm cannot be found from freshwater black cultured pear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lor was not processed due to its very high reflective Index (70%). Judging from the contents of Mn and Sr elements found from ED-XRF analys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is as freshwater cultured pearl. Since the content of Ag is ranged under 0.1%, it seems to be that the possibility of silver nitrate treatment is very low. Moreover, by conducting silver nitrate treatment on series of white Akoya cultured pearl, freshwater cultured pearl and Tahiti black cultured pearl of light black or gray colo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identify whether black color pearls of any origin found in marketplace are treated or not.

굴, 김 및 조피볼락에서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잔류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김강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최상훈(군산대학교) ; 박관하(군산대학교) pp.253-260
초록보기
초록

각각 20 시료씩 최대한 다양한 산지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 참굴, 김 및 조피볼락을 시중에서 수집하여 이들 수산 식품에 존재하는 15 종의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종의 PAHs라도 발견되는 시료의 비율은 참굴 전육질부(75%), 조피볼락 간췌장(35%), 조피볼락 근육(0%), 건조 김(0%) 순이었다. 이런 차이가 나타나도록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대표적 PAHs의 하나인 phenanthrene을 이 세 종의 생물에 0.01 및 <TEX>$0.1{\mu}g/mL$</TEX>의 농도로 2주간 노출시켰다. 참굴의 소화선, 김, 조피볼락의 간췌장에서 높은 축적성이 관찰되었지만 굴의 전 육질부(소화선 포함)나 조피볼락의 근육에서는 낮은 축적성이 관찰되었다. 생물 종간의 실험실 노출에서의 축적성 차이와 시중 시료에서 발견된 잔류성 차이는 관련성이 거의 없었다. PAHs는 소수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생물 종간 지방 함량을 분석하여 지방함량이 PAHs 축적성에 관련되는 지를 평가하였다. 조피볼락의 간췌장이 근육에 비해 지질 함량이 높았고 phenanthrene 축적성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조피볼락에서 지질 함량이 간췌장으로의 PAHs의 축적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다른 생물에서는 지질 함량에 따른 phenanthrene 축적성 차이가 없었다. 또한 PAHs 대사를 통한 배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cytochrome <TEX>$P_{450}$</TEX> 효소의 하나인 7-ethyoxyresorufin-O-deethylase(EROD)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 조피볼락에서는 참굴 보다 EROD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나 조피볼락에서 참굴보다 PAHs의 제거가 더 활발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그 결과로 인해 조피볼락에서 상대적으로 PAHs 검출 빈도를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은 인자들 예를 들면, 생물간 노출 조건의 차이, 도피 능력, 섭이를 통한 축적 및 가공 과정에서의 소실 등에 대한 평가는 더 조사해야 할 부분이다.

Abstract

A total of 15 different residu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analyzed in 20 samples each of Pacific oysters, dried laver and rockfish obtained from seafood markets. The prevalence of samples in which more than one PAH residues were found ranked as oyster (75%) > rock fish hepatopancreas (35%) > rockfish muscle = laver (0%). To estimat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residue level difference among organisms, at first the three organisms were exposed to phenanthrene, a representative PAH, in the laboratory experiments at 0.01 or 0.1 μg/ml for 2 weeks and tissu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Phenanthrene levels after exposure were higher in the oyster digestive gland, laver and rockfish hepatopancreas, and in contrast they were lower in the oyster whole meat or rockfish muscle. This finding disproves an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e difference observed in market samples and concentrating properties of PAHs. The second possible factor analyzed was total lipid contents in the three organisms. The higher lipid levels in rockfish hepatopancreas may partially explain higher PAH residues in this organ compared to its muscle, however, such lipid factor does not seem to be important in other organism samples. The third factor estimated was the assessment of cytochrome P450 enzyme activity by measuring 7-ethyoxyresorufin-O-deethylase (EROD) activity. Higher EROD activity in rockfish is likely to contribute to lower PAH residue levels in market rockfish samples, in particular when compared to oyster samples. Factors other than examined in this study, e.g., different exposure history, organisms' ability to escape, ingestion through prey organisms, and post-harvest loss should be the research in the future studies. In summary,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author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o assess factors contributing to residence of PAHs in three major seafoods consumed by Koreans.

참굴, Crassostrea gigas의 대사율에 미치는 수온 및 개체크기의 영향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허영백(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센터) ; 명정인(국립수산과학원) ; 이식(전남대학교) pp.261-267
초록보기
초록

수온 및 염분에 따른 굴의 일반적인 대사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과 개체크기에 따른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을 측정하였으며, O:N원자비를 산출하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률은 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으며, 수온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O:N 원자비는 일반해수에서 8-40의 범위에 있었으며, 수온 <TEX>$25^{\circ}C$</TEX>에서 O:N 원자비는 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산란기에 주요 대사기질로서 단백질을 이용하며, 단백질의 요구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는 굴양식장의 지속적인 관리 및 적정 수용력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were measured and O:N ratio were calculated from February 2007 to September 2008 to investigate tendency of metabolism in oyster, Crassostrea gigas with temperature and body 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body weight has been examined in C. gigas. The weight-specific oxygen consumption rate (mg O2/g/h) varied inversely with size.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O:N ratio measured in this study ranged from 8 to 40 under ordinary sea water and O:N ratio showed 8 at 25℃ and 16 at 10℃. This indicates that oyster mainly use the protein as the primary catabolic substrate during gametogenesis. The lower O:N ratio in winter suggest that oysters have to meet their energy demand by metabolizing protein to survive in stressful conditions such as low temperature and lack of sufficient food supply. This studie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assessment of carrying capac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oyster culture farm.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