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5-3480
남해포 갯벌은 반폐쇄적인 만형 갯벌로 퇴적지형은 단조로운 사질 위주의 퇴적상과 조위에 따른 군집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는 비교적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갯벌어장의 노출시간은 상부에서 380분-430분, 중부에서 390분-450분, 하부에서 290분-340분으로 동일 지점에서는 주간에 비해 야간 노출시간이 50분-1시간이 더 길었고, 정점별로는 St. 1과 St. 2는 10분-20분의 차이밖에 없었으나, St. 3은 St. 1과 St. 2에 비해 노출시간이 각각 90분, 100분-110분이 더 적게 나타났다. 갯벌어장의 영양염류는 아질산성 질소, 인산인의 변동이 적고 강우량이 많았던 7월에 비하여 8월에 암모니아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변동이 나타나고, 저질에서 COD는 3개 정점에서 양식장 오염니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AVS는 3개 정점 모두에서 기준을 초과하였다. 저질의 입도는 니질사 또는 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여 바지락이 서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으며, 동죽과 백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 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C/N 비는 St. 1, St. 2에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 의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C/S 비는 조사정점 세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 해양환경으로 조사 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조사정점에서 1 보다 크게 나타나 대기나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어 중금속이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 약간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Cd, AS, Hg는 Igeo class가 2로 오염되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갯벌 미세조류의 정규식생지수는 월 평균 0.06이었으며, 엽록소 a 농도는 월 평균 <TEX>$91.42mg/m^2$</TEX>로 10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 조위별로는 St. 2 (중부), St. 1 (상부), St. 3 (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규조류는 총 152종이었으며 동죽의 먹이생물은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 하였다. 유용패류의 출현량은 동죽 성패의 서식밀도는 St. 2 (중부)에서 가장 높았으며, 치패는 St. 3 (하부) 에서 가장 높았고 말백합 성패와 치패는 St. 2 (중부) 지점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월에 남해포 갯벌 11개 정점에서 유용패류 서식실태를 조사결과 동죽 성패는 St. 1, St. 5 지점에서만 20마리/<TEX>$m^2$</TEX> 이상의 밀도로 서식하였다. 동죽이 대부분을 차지한 이매 패류의 치패는 St. 6, St. 7, St. 10 지점에서 128-288마리/<TEX>$m^2$</TEX> 의 비교적 높은 밀도로 서식하였다. 조위가 다른 세 정점에서 2010년 가을에 늦게 가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죽 치패들은 2월 (평균각장 2.16-3.84 mm) 부터 7월 (7.21-14.41 mm) 까지 정상적인 성장 특성을 보였으며, 2011년 7-8월에 착저했던 동죽 치패들은 9월에 어떤 원인으로 서식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관찰되고 있어, 9월경 늦게 산란 착저한 그룹의 치패들이 이듬해 남해포 동죽 자원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월부터 8월 사이에 단기간 집중 강우 현상과 무더위는 태안 남해포 갯벌에서 동죽, 말백합, 가무락 등 유용패류의 안정적 생산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하절기 어장관리 및 자연산 모패 자원 관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포 갯벌은 반폐쇄적인 만형 갯벌로 퇴적지형은 단조로운 사질 위주의 퇴적상과 조위에 따른 군집분포 특성을 가지고있는 비교적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갯벌어장의 노출시간은 상부에서 380분-430분, 중부에서390분-450분, 하부에서 290분-340분으로 동일 지점에서는주간에 비해 야간 노출시간이 50분-1시간이 더 길었고, 정점별로는 St. 1과 St. 2는 10분-20분의 차이밖에 없었으나, St. 3은 St. 1과 St. 2에 비해 노출시간이 각각 90분, 100분-110분이 더 적게 나타났다. 갯벌어장의 영양염류는 아질산성 질소, 인산인의 변동이 적고 강우량이 많았던 7월에 비하여 8월에 암모니아성 질소와질산성 질소의 변동이 나타나고, 저질에서 COD는 3개 정점에서 양식장 오염니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AVS는 3개 정점 모두에서 기준을 초과하였다. 저질의 입도는 니질사 또는 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여 바지락이 서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으며, 동죽과 백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C/N 비는 St. 1, St. 2에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의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C/S 비는 조사정점세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 해양환경으로 조사 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조사정점에서 1 보다 크게나타나 대기나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어 중금속이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 약간 오염되었거나오염되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Cd, AS, Hg는 Igeoclass가 2로 오염되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갯벌 미세조류의 정규식생지수는 월 평균 0.06이었으며, 엽록소 a 농도는 월 평균 91.42 mg/m2로 10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 조위별로는 St. 2 (중부), St. 1 (상부), St. 3 (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규조류는 총 152종이었으며 동죽의 먹이생물은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하였다. 유용패류의 출현량은 동죽 성패의 서식밀도는 St. 2 (중부)에서 가장 높았으며, 치패는 St. 3 (하부) 에서 가장 높았고말백합 성패와 치패는 St. 2 (중부) 지점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월에 남해포 갯벌 11개 정점에서 유용패류 서식실태를 조사결과 동죽 성패는 St. 1, St. 5 지점에서만 20마리/m2 이상의 밀도로 서식하였다. 동죽이 대부분을 차지한 이매패류의 치패는 St. 6, St. 7, St. 10 지점에서 128-288마리/m2 의 비교적 높은 밀도로 서식하였다. 조위가 다른 세 정점에서 2010년 가을에 늦게 가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죽 치패들은 2월 (평균각장 2.16-3.84 mm) 부터 7월 (7.21-14.41 mm) 까지 정상적인 성장 특성을 보였으며, 2011년 7-8월에 착저했던 동죽 치패들은 9월에 어떤 원인으로 서식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관찰되고 있어, 9월경 늦게 산란·착저한 그룹의 치패들이 이듬해 남해포 동죽 자원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월부터 8월 사이에 단기간 집중 강우 현상과 무더위는 태안 남해포 갯벌에서 동죽,말백합, 가무락 등 유용패류의 안정적 생산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하절기 어장관리 및 자연산 모패 자원 관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n, S. M. and Koh, C. H., (1992)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on the Mangyung- 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 27 (1): 78-90.
Cho, S. M., Kim, Y. H., and Jeong, W. G. (2009) The study on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cultur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long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Korean J. Malacol., 25 (3): 213-222.
Cho, Y. G., Ryu, S. O., Khu, Y. K. and Kim, J. Y. (2001) Geochemical composi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 6 (1): 27-34.
Chung, E. Y., Kim, S. Y. and Lee, T. Y. (1988) A studies on sexual maturation of Mactra veneriformis Reeve. Korean J. Malacol., 4 (1): 30-40.
Flint, R. W. and J. S. Holland (1980) Benthic infaunal variability on a transect in the Gulf of Mexico. Estuar. J. Coast. Mar. Sci., 10 (1): 1-14.
Fork, R. 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pp.170. Hemphill Publishing Co., Austin TX, U.S.A.
Hwang, D. W., Jin, H. G., Kim, S. S., Kim, J. D., Park, J. S. and Kim, S. G. (2006)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surface of Masan harbor, Korea. J. Korean Fish. Soc., 39 (2): 106-117.
Hyun, S. M., Lee, T. H., Choi, J. S., Choi, D. L. and Woo, H. J. (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 8 (4): 380-391.
Jeon, S. G. and Cho, Y. G. (2002) 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J. Environmental Sci., 11 (12): 1299-1305.
Jeong, W. G. and Cho, S. M. (2003)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 of marine shellfish farm in Jindong Bay. Korean J. Malacol., 19 (2): 161-169.
Kang, J. H., Lee, S. J., Jeong, W. G., and Cho, S. M. (2012)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oyster farms in Goseong Bay, Korea. Korean J. Malacol., 28 (3): 233-244.
Kang, C. K., Lee, P. Y., Park, J. S., and Kim, P. J.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 (6): 557-566.
Kim, B. H., Cho, K. C., Byun, S. G., Kim, M. C. and Jee, Y. J. (2012)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tetrix petechialis (LAMARCK). Korean J. Malacol., 28 (2): 125-129.
Kim, S. K., Lee, M. K., Ahn, J. H., Kang, S. W. and Jeon, S. H. (2005) The effects of mean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 sediments on the nutrients and heavy metals concentrations. J. Korean Soc. of Environ. Eng., 27 (9): 923-931.
Kim, K. T., Kim, E. S., Cho, S. R., Kang, S. H., Kim, J. K. and Park, J. K. (2008)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of Gaduk in Jinhae Bay, Korea. J. Korean Soc.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 14 (2): 95-103.
Lee, I. S. and Kim, E. J. (2000)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he Jinhae Bay. Korean Journal of Ecology, 23 (1): 59-64.
Lee, C. K., Chang, N. K. and Choi, S. S. (1969) Studies on environmental factors in marine bivalve culture. Bull. Korean Fish. Soc., 2 (1): 33-40.
Lee, C. K., Chang, N. K. and Lee, J. J. (1968) An attempt to improve tidalands for marine bivalves. Bull. Korean Fish. Soc., 1 (2): 115-119.
Lim, D. I., Choi, J. Y., Choi, H. W. and Kim, Y. O. (2007) Natural background level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Korean coastal sediments. Ocean and Polar Research, 29 (4): 379-389.
Lim, H. S., Park, K. Y., Ihm, B. S., Lee, J. S. and Chu, S. D. (1997) Macrozoobenthic community on the Mud-tidal 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J. Ecology and Field Biology, 20 (5): 355-365.
McBride, E. F., (1971) Mathematical Treatment of Size Distribution Data. In: Procedure in sedimentary Petrology edited by Carver, R. E., 109-127 pp. Wiley-Interscience.
Müller G., (1979) Schwen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 - Verderygen Seit. Umschau 24: 778-783
Na, C. K. (2004)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organisms from tidal flats along the Mokpo coastal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 (3): 335-345.
Ryou. D. K. and Kim, Y. H. (1995) Studies on the organism of bivalve, Mactra veneriformis in shore of Kunsan. Korean J. Aquaculture, 8 (2): 99-115.
Ryou. D. K. and Kim, Y. H. (1997)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Reeve (Bivalvia) in the coast of Kunsan. Korea I. Growth. Korean J. Malacol., 13 (2): 185-192.
Ryou. D. K. (1997)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Reeve (Bivalvia) in the coast of Kunsan. Korea II. Production. Korean J. Malacol., 13 (2): 193-201.
Ryou. D. K. and Chung, S. C. (1995) Settlement and recruitment of Mactra veneriformis R. around the inshore of Kunsan, Korea J. Korean Fish. Soc., 8 (2): 85-89.
Shin, H. C., and Koh, C. H. (1995) Growth and production of Mactra veneriformis (Bivalvia) on the Songdo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 30 (5): 403-412.
Swinbanks, D. D. and Murray, J. W. (1981) Biosedimentological zonation of boundary bay tidal flats, Fraser River Delta, British Columbia. J. Sedimentology, 28: 201-237.
Yang. M. H., Han, C. H., Kim, H. S., and Choi, S. D. (1999)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ditions of the flat oyster, Ostrea denselamellosa in Haechang Bay, Korea. Korean J. Malacol., 15 (2): 105-113.
Yoo, I. S., Yoo, E. J., Lee, J. S., Park, H. and Soh, C. T. (1989)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shellifish along Mangyong River. Korean J. Malacol., 5 (1): 3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