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실험실에서 사육된 고랑가리비 Chlamys swiftii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이주(국립수산과학원) ; 김이청(국립수산과학원) ; 김기승(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남명모(국립수산과학원) pp.263-272 https://doi.org/10.9710/kjm.2013.29.4.263
초록보기
초록

고랑가리비의 산란을 유도하고 수정난의 발생과 유생의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산란자극 방법으로 광 자극, 간출 자극,온도 자극, 그리고 간출 후 온도자극을 수온 16 ± 0.5℃에서각각 실시하였다.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00-900천개, 온도자극은 700-800천개로 적은 산란량을 보인 반면 간출 자극은700-1,200천개로 높았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이1,000-1,500천개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였다. 수정율에 있어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1.7%, 온도자극은 73.4%, 간출자극이 73.6%이었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은 76.3%로 가장 높았으나 자극방법에 따른 수정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부터 D상 유생으로의 수온별 발생과정을 조사하기위하여 비이커에 ml당 1,000개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각각8℃, 12℃, 16℃, 20℃ 및 24℃에서 D상 유생으로 발생하는생존율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관찰한 결과,8℃와 24℃의 실험군이 4.1%와 3.2%로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16℃에서 32.7%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수정란의 크기는 72 ± 2.1 μm, 담륜자 유생은 103 ± 3.8 μm,D상 유생은 129 ± 10.4 μm, 각정기 유생은 145 ± 16.8 μm, 후기 유생은 197 ± 13.6 μm이었으며 528시간 후에 각장245 ± 15.8 μm의 초기 부착종묘로 성장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fertilized egg, larvae and juvenile. Eggs were fertilized with a dilute sperm solution to improve the survival of fertilized eggs. Developing larvae wer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6 ± 0.5℃ and salinity concentration of 33 ppt. We have investigated the fertilization rates and egg number spawned at several stimulating conditions such as sunlight exposure, air dry, seawater temperature rise (5℃) and seawater temperature rise (5℃) after exposure of air dry for spawning induction of swift's scallop Chamys swiftii. Stimulation treated with sunlight exposure and seawater temperature rise (5℃) have shown the spawning number of 700,000-900,000 and 700,000-800,000 per individual, respectively while stimulation treated with seawater temperature rise (5℃) after exposure of air dry have shown the high spawning number of 1,000,000-1,500,000 per individual. Survival rate of D-shaped larvae of swift's scallop put into the different seawater temperatures of 8℃, 12℃, 16℃, 20℃ and 24℃ has been 4.1%, 11.6%, 32.7%, 18.6% and 3.2%, respectively. Fertilized eggs with the diameter of 72 μm developed into trochophore larvae of 103 ± 3.8 μm shortly after 35 hours and to D larvae of 129 ± 10.4 μm shell length within 72 hours. It took 336 hours to become initial Umbo-stage larva of 145 ± 16.8 μm shell length. Post larvae, which have been 197 ± 13.6 μm shell length, spontaneously have settled in the attachment substances. It have required 528 hours from fertilized eggs to early attached juvenile to become initial juvenile size of 245 ± 15.8 μm shell length.

양식장 환경이 갯벌양식 굴 (Crassostrea gigas) 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영향
박상우(인하대학교) ; 김용(인하대학교) ; 김지혜(인하대학교) ; 정수환(인하대학교) ; 한경남(인하대학교) pp.273-281 https://doi.org/10.9710/kjm.2013.29.4.273
초록보기
초록

갯벌양식 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어장환경이 서로 상이한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성장과 폐사를 비교하고 2012년 1월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하여 7월까지 조간대 노출시간 별 갯벌양식 굴의 순응 결과를 조사하였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경우 각 양식장간에 수온과 영양 염류를 제외한 환경요소가 뚜렷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참굴의 성장에 차이가 있었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수온은 원산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염분은 세 지역 모두 안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벌지역의 수온은 해면지역에 비해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 갯벌 양식 굴의 성장은 원산도리, 창리, 파도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이 감소하였다.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 갯벌양식 굴의 성장은 3시간, 1시간, 5시간 대기노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온이 <TEX>$5^{\circ}C$</TEX> 이하로 내려간 1월에는 성장이 크게 낮아졌으나 폐사율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고, 수온이 올라가는 3월부터 성장률이 증가하였으나 월평균 수온의 변동폭이 높았던 4-6월에 폐사율이 급증하였다. 한편,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수용한 참굴은 각장 대비 각고가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시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 후 수용하면서 각고 대비 각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Abstract

갯벌참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어장환경이 서로 상이한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성장과 폐사를 비교하고 2012년 1월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하여 7월까지 조간대 노출시간 별 갯벌참굴의 순응결과를조사하였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경우 각 양식장간에 수온과 영양염류를 제외한 환경요소가 뚜렷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참굴의 성장에 차이가 있었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수온은 원산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염분은 세 지역 모두 안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과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벌지역의 수온은 해면지역에 비해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 갯벌참굴의 성장은 원산도리, 창리, 파도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이 감소하였다.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 갯벌참굴의 성장은 3시간, 1시간, 5시간 대기노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온이5℃ 이하로 내려간 1월에는 성장이 크게 낮아졌으나 폐사율의 뚜렷한 경향은보이지 않았고, 수온이 올라가는 3월부터 성장률이 증가하였으나 월평균 수온의 변동폭이 높았던 4-6월에 폐사율이 급증하였다. 한편,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수용한 참굴은 각장 대비 각고가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시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 후 수용하면서 각고 대비 각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서산웅도해역 굴양식장의 여름철 먹이가용성
조상만(군산대학교) pp.283-289 https://doi.org/10.9710/kjm.2013.29.4.28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oyster farming condition, Estimation of food availability (FA) was carried out in Garorim Bay, Seosan, Korea.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waters were ranged from 0.07 to 0.26 gC/m2/day. A strong tendency was observed that the inner side of the bay was higher at primary production. Estimated food availability was ranged from 0.0424 to 1.655. Temporal shortage in food supply was observed at April with about 15% less than the oysters’ requirement, which may be causative of spat mortality after introducing into the farms. Food availability was met the food demand during summer but significant shortage was also observed at after August, which may main causative of retarded oyster fattening in the wat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adjustment of cultural density may be necessary for the improved harvesting of the oyster.

패류 양식장 퇴적물의 광합성색소 분포 특성
김숙양(국립수산과학원) ; 최민규(국립수산과학원) ; 황동운(국립수산과학원) ; 이인석(국립수산과학원) ; 남명모(국립수산과학원) pp.291-301 https://doi.org/10.9710/kjm.2013.29.4.29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and compared the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photosynthetic pigments at Gomso (GS) -bay, Yoja (YJ) -bay and KangJin (KJ) -bay in May, 2012. YJ-bay. It was shown that KJ-bay consist of C (clay) and M (mud), and GS-bay consists of Zs (silty sand) and Sz (sandy silt). Averagely, IL of YJ-bay was 4.98%, KJ-bay 6.10%, and GS-bay 1.45%. As for COD concentration, there were no places that exceeded Japanese sediment contamination standard 20 mg/g-dry. As for AVS concentration, in case of KJ-bay, two places exceeded Japanese sediment contamination standard 0.2 mg/g-dry (Lee and Yu, 2000). If we look into the average C/N ratio of bays, YJ-bay showed 8.50, KJ-bay 6.60, and GS-bay 5.52, thus all of them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oceanic origin. As for the plankton make-up classified by photosynthetic pigments, diatom was dominant, and both ratios of pigment and C/chlorophyll. a showed the relatively lower distribution at GS-bay than at KJ-bay and YJ-bay. It is judged that thi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flow-in, and it implies that predation process and decomposition by organic matters actively occurs at YJ-bay and KJ-bay.

수온 및 염분농도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2) 의 생존율, 탈락율 및 발의 조직학적 변화
박민우(국립수산과학원) ; 김혜진(전남대학교) ; 김병학(국립수산과학원) ; 손맹현(국립수산과학원) ; 전미애(전남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pp.303-311 https://doi.org/10.9710/kjm.2013.29.4.3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온과 염분농도의 변화에 따른 Haliotis discushannai의 생존, 탈락 및 발의 구조적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노출조건은 대조구 (20℃/33.5 psu), 고수온 4조건 (23,26, 29, 32℃), 저수온 4조건 (3, 6, 9, 12℃), 염분농도 6조건(33.5, 26.8, 20.1, 13.4, 6.7, 3.3 psu) 이었다. 실험기간은 7일이었다. 대조구와 12℃ 및 23℃/33.5 psu 조건에 7일간 노출된 북방전복의 생존율과 탈락률은 각각 100%와 0%였다. 다양한 수온 및 염분농도 조건에 노출된 북방전복의 사망률과 탈락률은 농도의존적 이었다. 북방전복 발의 상피층과 근육층의조직학적 변화는 수온의 변화 보다 염분농도의 감소 조건에서더욱 뚜렷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urvival, falling and structural changes of foot in Haliotis discus hannai with variou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mposed of control with 20℃/33.5 psu, higher temperature group with 23, 26, 29 and 32℃, lower temperature group with 3, 6, 9 and 12℃, and different salinities group with 33.5, 26.8, 20.1, 13.4, 6.7 and 3.3 psu. Experimental period was 7 days. Survival and falling rate of the abalone exposed to 7 days at control and experimental condition of 12℃ and 23℃/33.5 psu were 100% and 0%, respectively. Mortality and falling rate of the abalone exposed to the different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dose dependent by experimental condition.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epithelial and muscular layer of foot showed more obvious with experimental condition of salinity decrease tha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

Gomphina (Macridiscus) veneriformis (Lamark, 1818) (Bivalvia: Veneridae) in the East Sea of Korea
김용호(군산대학교) ; 김성한(군산대학교) ; 정의영(한국해양환경생태연구소) ; 이창훈((주)네오엔비즈) ; 곽철우(한국해양환경생태연구소) pp.313-323 https://doi.org/10.9710/kjm.2013.29.4.31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Gonad development, the reproductive cycle, first sexual maturty and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the biological minimum size) of Gomphina (Macridiscus) veneriformis were investigated for clam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Donghae City, the East Sea of Korea by histological, and morphometric analysis. Monthly variations of the gonad index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reproductive cycle. The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 developmental stages in female and male G. (M.) veneriformi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December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June), ripe stage (June to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August), and spent / inactive stage (September to December). The spawning period continued from June to August, with a peak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exceeds 20°C. The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ies of female and male clams ranging from 25.1 to 30.0 mm were 56.3% in females and 61.1% in males, and for clams over 30.1 mm shell length, it was 100%. Shell length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biological minimum size, RM50) were 27.71 mm in females and 26.31 mm in males. Because harvesting clams < 26.31 mm in shell length could potentially cause a drastic reduction in recruitment, a measure indicating a prohibitory fishing size should be taken for adequate fisheries management.

선발 3세대 북방전복의 성장형질에 대한 가계변이 및 유전모수 추정
박종원(국립수산과학원) ;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이정호(국립수산과학원) ; 노재구(국립수산과학원) ; 김현철(국립수산과학원) ; 황인준(국립수산과학원) ; 김성연(국립수산과학원) pp.325-334 https://doi.org/10.9710/kjm.2013.29.4.3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복의 성장형질에 대한 가계변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1년에 생산된 선발 3세대 북방전복 5,334마리에 대한 18개월령 성장형질인 각장, 각폭 및 중량의 전체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가 많은 상위 10가계의 865마리 대한 가계변이를 조사하였다. 가계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개체모형에 근거한 선형모형을 이용하였고, 유전모수 및 육종가는 생산시기를 고정 효과로 처리하고, EM-REML algorithm을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을 이용하여 최적선형불편예측법에 의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18개월령 북방전복의 표현형에 있어 각장, 각폭 및 중량의 전체평균은 각각 54.5 mm, 36.8 mm 및 21.3 g로 나타났고, 중량의 변이계수가 51.0%로 나타나 각장의 21.1% 및 각폭의 20.7% 보다 자료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개체수가 많은 상위 10가계를 대상으로 각장과 중량의 관계를 산점도로 표시한 결과 상관관계식이 TW = <TEX>$0.0002SL^{2.8796}$</TEX> (<TEX>$R^2$</TEX> = 0.9864) 과 같이 지수곡선식으로 추정되었다. 가계효과에 있어서는 각 가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 < 0.05), 각장, 각폭 및 중량의 유전력은 각각 0.370, 0.382 및 0.367로 중도의 유전력을 보여 개체선발 보다는 가계선발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각 형질 간 상관계수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한 형질만의 개량으로 다른 형질의 개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각장 및 중량의 육종가를 토대로 개체수가 많은 상위 10가계에 대한 각 개체별 분포와 순위를 조사하기 위해 표준화육종가로 변환하여 이용하였으며, 각장을 기준으로 상위 5.4%의 개체 수는 152마리, 하위 5.4%의 개체 수는 8마리로 조사되었고, 중량의 경우 상위 5.4%의 개체 수는 164마리, 하위 5.4%의 개체 수는 1마리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가계간의 표현형 및 유전적인 다양한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다음 세대 생산을 위한 모집단의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여 선발과 교배에 적절히 이용한다면 보다 나은 육종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복의 성장형질에 대한 가계변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1년에 생산된 선발 3세대 북방전복5,334마리에 대한 18개월령 성장형질인 각장, 각폭 및 중량의전체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였으며,그 중 개체수가 많은 상위 10가계의 865마리 대한 가계변이를조사하였다. 가계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개체모형에 근거한 선형모형을 이용하였고, 유전모수 및 육종가는 생산시기를 고정효과로 처리하고, EM-REML algorithm을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을 이용하여 최적선형불편예측법에 의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18개월령 북방전복의 표현형에 있어각장, 각폭 및 중량의 전체평균은 각각 54.5 mm, 36.8 mm및 21.3 g로 나타났고, 중량의 변이계수가 51.0%로 나타나 각장의 21.1% 및 각폭의 20.7% 보다 자료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개체수가 많은 상위 10가계를 대상으로 각장과 중량의관계를 산점도로 표시한 결과 상관관계식이 TW =0.0002SL2.8796 (R2 = 0.9864) 과 같이 지수곡선식으로 추정되었다. 가계효과에 있어서는 각 가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 < 0.05), 각장, 각폭 및 중량의 유전력은 각각0.370, 0.382 및 0.367로 중도의 유전력을 보여 개체선발 보다는 가계선발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각 형질 간 상관계수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한 형질만의 개량으로 다른 형질의 개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각장 및 중량의 육종가를 토대로 개체수가 많은 상위10가계에 대한 각 개체별 분포와 순위를 조사하기 위해 표준화육종가로 변환하여 이용하였으며, 각장을 기준으로 상위5.4%의 개체 수는 152마리, 하위 5.4%의 개체 수는 8마리로조사되었고, 중량의 경우 상위 5.4%의 개체 수는 164마리, 하위 5.4%의 개체 수는 1마리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가계간의 표현형 및 유전적인 다양한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다음세대 생산을 위한 모집단의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여 선발과 교배에 적절히 이용한다면 보다 나은 육종효과를 기대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mitochondrial DNA 영역별 유전적 변이성 분석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남원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이정호(국립수산과학원) ; 노재구(국립수산과학원) ; 김현철(국립수산과학원) ; 박종원(국립수산과학원) ; 황인준(국립수산과학원) ; 김성연(국립수산과학원) pp.335-341 https://doi.org/10.9710/kjm.2013.29.4.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양식 품종인 북방전복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전복류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mtDNA의protein coding 영역 ND2, ND5, ND4, ND4L, ND6, ND1의 6개영역과 protein noncoding 영역인 12SrRNA(ribosomal RNA) 을 포함해 총 7개 영역을 이용하여 각 영역의 유전적 변이성 및 개체간 유전적 유연관계 등을 분석하여각 영역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유전학적분석에 적합한 분자유전마커를 개발하였다. 유전적 변이성은ND4 영역 (Haplotype diversity = 1.000, Nucleotidediversity = 0.010823)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간의유전적 차이는 ND2 및 ND1 영역이 각각 90% 및 87%로 유의적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전적 변이성이가장 높은 ND4 영역과 영역내의 클러스터 간의 유전적 차이가 명확한 ND2 및 ND1 영역을 복합적으로 활용할 경우 북방전복의 집단유전학 및 계통분류학 분석에 유용한 분자유전마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The seven mitochondrial DNA regions (ND2, ND5, ND4, ND4L, ND6, ND1 and 12SrRNA) of Haliotis discus hannai were examined to estimate the availability as a genetic marker for the study of population genetic. The region with the highest genetic variation was ND4 (Haplotype diversity = 1.0000, Nucleotide diversity = 0.0108). On the other hand, ND2 and ND1 regions have significantly appeared genetic divergence between clusters (divergence of 90% and 87%). Also, pairwise FST between clusters within ND2 and ND1 regions showed high values; 0.4061 (P = 0.0000), 0.4805 (P = 0.0000) respectively. Therefore we can infer that it is the most efficient and accurate way to analyze the region of ND4 with the highest variation in addition to the regions of ND2 and ND1, which formed clusters with high bootstrap value, for study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this species.

Marine Mollusk Fauna of Kosrae Island,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이상화(충북대학교) ; 박중기(충북대학교) pp.343-376 https://doi.org/10.9710/kjm.2013.29.4.3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consists of four states of Yap, Chuuk, Pohnpei and Kosrae, which are located in the West Pacific Ocean. In order to investigate molluscan fauna of Kosrae Island, field survey was made twice from 21st to 30th of January, 2011 and from 6th to 17th of January, 2012 for four localities including 10 intertidal and 14 subtidal zones of Kosrae Island. The mollusk samples collected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mprising a total of 120 species from 30 families through this survey. In this study, we provided species list and illustrations for 120 species identified, and combined these with the previous record, resulting in a total of 208 species from 47 families in Kosrae Island.

베트남 하롱베이 이매패류 2종의 intersexuality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김수지(전남대학교) ; 전미애(전남대학교) ; 이연규(전남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pp.377-380 https://doi.org/10.9710/kjm.2013.29.4.37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 sediment and intersexuality in Polymesoda erosa and Lutraria lutrari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areas of Ha Long Bay in October, 2012.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showed that Al (37390.0 ± 11816.5 mg/kg) was highest and Mn (360.4 ± 101.4 mg/kg) was second high concentration. Cd (0.04 ± 0.05 mg/kg) was lowest. The intersexuality was 14.3% in P. erosa and 9.1% in L. lutraria that observed only in female.

Chiroteuthis picteti (Teuthoidea: Chiroteuthidae) 의 국내출현
강현정(국립수산과학원) ; 최정화(국립수산과학원) ; 최광호(국립수산과학원) ; 이동우(국립수산과학원) ; 김영혜(국립수산과학원) pp.381-384 https://doi.org/10.9710/kjm.2013.29.4.381
초록보기
초록

표본은 2013년 5월 부산광역시 송정 주변해역의 갯바위에힘없이 파도에 떠밀려 온 것을 뜰채로 채집한 것이다. 몸통길이는 13.4 cm정도이다. 지느러미길이는 몸통길이의 58.2%이고 지느러미폭은 몸통길이의 46.2%다. 촉수는 매우 길고, 촉수주먹은 길고 좁은 편이다. 흡반은 4열로 배열되어 있고 흡반의 모양은 길고 작으며 거의 균일한 크기이다. 팔길이식은 Ⅳ> Ⅲ > Ⅱ > Ⅰ 이다. 각 팔에는 10-20개의 흡반이 있고 흡반둘레의 2/3은 흡반이빨이 차지한다. 촉수에는 38개의 발광기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미기록종의 과명, 속명, 국명은 “긴팔오징어과”, “긴팔오징어속”, 긴팔오징어“로 각각 제안한다.

Abstract

One specimen (13.4 cm ML) of Chiroteuthis picteti belonging to the family Chiroteuthidae, firstly collected from Songjeong, Southeast coastal water of Korea on May 18, 2013. It was identified as C. picteti based on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 mantle slenderly cylindrical; fin oval shape, both lobes having no anterior free lobe, FL 58.2% of ML; arms long with a formula Ⅳ > Ⅲ > Ⅱ > Ⅰ.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Kin-pal-o-jing-eo-gua”, “Kin-pal-o-jing-eo-sok”, and “Kin-pal-o-jing-eo” for the family,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A new record of Turbo (Callopoma) excellens (Turbinidae: Sorbeoconcha: Gastropoda) from Korea
이준상(강원대학교)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pp.385-387 https://doi.org/10.9710/kjm.2013.29.4.38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pecimens of Turbo (Callopoma) excellens were collected from Jejudo Island by scuba diving, and diagnostic characters were analysed. This is the first occurrence report the Turbo (Callopoma) excellens Sowerby III, 1914 from Kore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