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정량을 통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흔들림 스트레스 측정
박경일(군산대학교) pp.1-6 https://doi.org/10.9710/kjm.2013.29.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바지락이 흔들림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산화질소량 (NO) 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흔들림 방지 장치가 없는 그룹,NAME (NO 저해제) 를 주사한 그룹, 나일론 섬유 충전재(밀도 1 kg/m3) 로 흔들림이 방지된 그룹 등 총 3개 그룹으로나눈 후 교반기에서 100 rpm으로 6시간동안 교반 한 후DAF assay와 Griess assay를 이용하여 바지락 혈림프액의NO 농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흔들림 스트레스에 노출된바지락에서 NO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반면 NO 저해제가 주입된 바지락에서는 NO 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흔들림방지 장치가 들어간 그룹에서 NO 농도가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DAF assay와 Griess assay 실험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O 측정은 바지락의 생리적 스트레스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이 확인되었으며, 형망에 의한 바지락 채취시나 수하식으로 양식할 경우 흔들림에의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haking stress in the hemolymph of the Manila clam Ruditapesphilippinarum by quantification of nitric oxide (NO) levels. The clam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follows: clamsplaced in a plain container (control), clams injected with nitro-L-arginine methyl ester (NAME, an NO inhibitor), andclams in a container filled with nylon fiber at a density of 1 kg/m3. Subsequently, each group was placed in seawater and shaken at 100 rpm for 6 h. The concentration of NO was quantified by using DAF assay and Griessassay. Both the assays showed that while shak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O concentration, the NO inhibitorreduced the NO concentration in the hemolymph of the clams tested. In addition, the nylon fiber, which was usedas a filler, effectively prevented the increase in NO concentr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measurement of NOconcentration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on of physiological stress in marine bivalves. In addition, it should beconsidered that a filler is necessary when dredge fishing or the suspended clam culture method is developed.

납(Pb)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물지표 변화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박정준(국립수산과학원) ; 임현식(목포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pp.7-13 https://doi.org/10.9710/kjm.2013.29.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납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물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4주였으며, 실험구는 대조구 1개와 납 노출구 3개 (0.25, 0.50 and1.00 mg/l) 였다. 실험 결과 납은 바지락의 생존율과 산소 소비율의 저하 및 기관계의 조직학적 변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납 노출구에서 산소소비율은 25-72% 감소하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외투막 상피층과 결합조직층의 변성, 아가미 점액세포의 증가와 상피세포의 괴사, 발에서는 상피층의 붕괴, 점액세포의 감소 및 혈림프동의 확장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을 나타냈다.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에서는 호염기성세포와 상피세포의 위축 및 농도 의존적으로 lipofuscin의축적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iological respons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lead(Pb). Experimental period was four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osed of one control condition and threelead exposure conditions (0.25, 0.50 and 1.00 mg/l).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lead induces reductionof survival rate and oxygen consumption rate and histopathology of organ structure of the bivalve. Oxygenconsumption rate was observed exposure groups lower than control decline by 25%-72%. Histological analysis oforgan system illustrated expansion of hemolymph sinus, disappearance of epidermal layer and degeneration ofconnective tissue layer of the mantle. Also, histological degenerations as epithelial necrosis and hyperplasia ofmucous cells are recognized in the gill and it was observed expansion of hemolymph sinus, disruption of epitheliallayer, decrease of mucous cell and degeneration of connective tissue layer in the foot. In the digestivediverticulum, it was showed atrophy of basophilic cell and degeneration of epithelial cell in the digestive tubules,and as the concentration of lead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pofuscin increased.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의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정량
남기웅(군산대학교) ; 양현성(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박경일(군산대학교) pp.15-21 https://doi.org/10.9710/kjm.2013.29.1.15
초록보기
초록

일산화질소 (NO) 는 면역계에서 세포내 외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물질로 생물의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바지락 혈구의 NO 농도 측정을 위해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A) 를 이용한 DAF assay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바지락 혈구의 NO 생성을 위해 L-arginine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반대로 NO 저해제인 L-NAME를 첨가한 경우 NO 생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 이용된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 모든 조사 방법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가지 측정 방법 중 유세포 분석법은 측정의 신속성,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NO 측정은 향후 바지락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마커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일산화질소 (NO) 는 면역계에서 세포내·외의 신호전달에관여하는 물질로 생물의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바지락 혈구의 NO 농도 측정을 위해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A) 를 이용한DAF assay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인위적인 바지락 혈구의 NO 생성을 위해 L-arginine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반대로 NO 저해제인 L-NAME를 첨가한 경우 NO 생성은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 이용된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 모든 조사 방법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가지 측정 방법 중 유세포분석법은 측정의 신속성,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NO 측정은 향후 바지락의 생리적·병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유용한 마커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toxicity of water-accommodated fraction and chemically enhanced water-accommodated fraction of Hebei Spirit crude oil to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이창훈((주)네오엔비즈) ; 성찬경(㈜네오엔비즈) ; 문성대((주)네오엔비즈) ; 이지혜((주)네오엔비즈) ; 이종현(㈜네오엔비즈) pp.23-32 https://doi.org/10.9710/kjm.2013.29.1.2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il dispersant and ultraviolet (UV) radiation on the toxicity of crude oil. The toxicity of water-accommodated fraction (WAF) and chemically enhanced water-accommodated fraction (CEWAF) of Hebei Spirit crude oil was investigated in the embryo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ith- and without ultraviolet radiation. The WAF and CEWAF with- and without UV radiation affected significantly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R. philippinarum. The EC50s of WAF without UV, WAF with UV, CEWAF without UV, and CEWAF with UV were 2.82, 0.79, 1.60, and 0.45 g/L, respectively. CEWAF was 1.6 times more toxic than WAF. UV radiation increased crude oil toxicity to 3.6 times for both WAF and CEWAF. The oil dispersant and UV radiation did not affect the acute toxicity to the embryo but retarded the period of embryonic development up to 26%. R. philippinarum proved to be a sensitive species to reflect the toxic effects of oil spill combined with oil dispersant and UV radi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hemical analyses on the WAF and CEWAF is important for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explanation of the phototoxic compounds in crude oil.

한국 남해안 가막만에서 채집된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체내 중금속 농도와 생식 및 조직학적 지표 변화
전미애(전남대학교) ; 강주찬(부경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pp.33-41 https://doi.org/10.9710/kjm.2013.29.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체내중금속 농도, 이성생식세포 발현과 소화선의 조직학적 지표 변화를 이용하여 이들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는2010년 5월 한국 남해안의 가막만 2곳에서 채집하였다. 금속이온의 체내 축적 농도는 분석된 10가지 금속 이온 가운데 Al이 가장 높았으며, 두번째로 Zn이 높았다. 그리고 Co가 가장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26.4%로 나타났으며, 수컷에서 더 높았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형태는 네 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지표는 소화선의 조직학적 변화, 호염기성세포와 지방갈색소의 분포비율을 이용하였다. 소화선에서는 소화선세관 상피층의 파괴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호염기성세포의 분포 비율은 6.1%로 나타났고, 지방갈색소 분포 비율은 1.5%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tersexuality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of digestive gland inMytilus galloprovinciali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o areas of Gamak Bay in May, 2010. The concentration ofmetal ions showed that Al (366.5 ± 249.7 mg/kg) was highest and Zn (179.5 ± 67.8 mg/kg) was second highconcentration. Co (1.0 ± 0.2 mg/kg) was lowest. The intersexuality was 26.4% and males (38.8%) was higher thanthe females (12.9%). Intersex type was observed four types. Destruction of digestive tubule epithelium was highestamong other biomarker in digestive gland. Distribution of basophilic cell and lipofuscin was 6.1% and 1.5%,respectively.

Study on Optimal Condition for Oyster Rack Culture in terms of tidal exposure and rack height in Wando Coast, Korea
한현섭(국립수산과학원) ; 조상만(군산대학교) pp.43-50 https://doi.org/10.9710/kjm.2013.29.1.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growth performance of oysters (initial shell height 57.5 ± 8.5 mm) under differing conditions of tidal exposure time and culture rack height in an experiment that commenced in April, 201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hell height from June 2011, in total weight from August, and in meat weight from September. Fatness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were mainly observed from June to August. After September, further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any experimental treatment group.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L∞) and survival rate were observed at a sea level of approximately 116 c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study area the use of oyster culture conditions involving 1 or 2 h of tidal exposure and 6070 cm rack height could result in oysters reaching the favored commercial half shell size within 14 months, with > 80% survival.

태안 남해포 갯벌 패류양식해역의 환경특성
최윤석(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박광재(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윤상필(국립수산과학원) ; 정상옥(국립수산과학원) ; 안경호(국립수산과학원) ;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pp.51-63 https://doi.org/10.9710/kjm.2013.29.1.51
초록보기
초록

남해포 갯벌은 반폐쇄적인 만형 갯벌로 퇴적지형은 단조로운 사질 위주의 퇴적상과 조위에 따른 군집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는 비교적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갯벌어장의 노출시간은 상부에서 380분-430분, 중부에서 390분-450분, 하부에서 290분-340분으로 동일 지점에서는 주간에 비해 야간 노출시간이 50분-1시간이 더 길었고, 정점별로는 St. 1과 St. 2는 10분-20분의 차이밖에 없었으나, St. 3은 St. 1과 St. 2에 비해 노출시간이 각각 90분, 100분-110분이 더 적게 나타났다. 갯벌어장의 영양염류는 아질산성 질소, 인산인의 변동이 적고 강우량이 많았던 7월에 비하여 8월에 암모니아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변동이 나타나고, 저질에서 COD는 3개 정점에서 양식장 오염니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AVS는 3개 정점 모두에서 기준을 초과하였다. 저질의 입도는 니질사 또는 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여 바지락이 서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으며, 동죽과 백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 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C/N 비는 St. 1, St. 2에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 의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C/S 비는 조사정점 세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 해양환경으로 조사 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조사정점에서 1 보다 크게 나타나 대기나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어 중금속이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 약간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Cd, AS, Hg는 Igeo class가 2로 오염되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갯벌 미세조류의 정규식생지수는 월 평균 0.06이었으며, 엽록소 a 농도는 월 평균 <TEX>$91.42mg/m^2$</TEX>로 10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 조위별로는 St. 2 (중부), St. 1 (상부), St. 3 (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규조류는 총 152종이었으며 동죽의 먹이생물은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 하였다. 유용패류의 출현량은 동죽 성패의 서식밀도는 St. 2 (중부)에서 가장 높았으며, 치패는 St. 3 (하부) 에서 가장 높았고 말백합 성패와 치패는 St. 2 (중부) 지점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월에 남해포 갯벌 11개 정점에서 유용패류 서식실태를 조사결과 동죽 성패는 St. 1, St. 5 지점에서만 20마리/<TEX>$m^2$</TEX> 이상의 밀도로 서식하였다. 동죽이 대부분을 차지한 이매 패류의 치패는 St. 6, St. 7, St. 10 지점에서 128-288마리/<TEX>$m^2$</TEX> 의 비교적 높은 밀도로 서식하였다. 조위가 다른 세 정점에서 2010년 가을에 늦게 가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죽 치패들은 2월 (평균각장 2.16-3.84 mm) 부터 7월 (7.21-14.41 mm) 까지 정상적인 성장 특성을 보였으며, 2011년 7-8월에 착저했던 동죽 치패들은 9월에 어떤 원인으로 서식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관찰되고 있어, 9월경 늦게 산란 착저한 그룹의 치패들이 이듬해 남해포 동죽 자원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월부터 8월 사이에 단기간 집중 강우 현상과 무더위는 태안 남해포 갯벌에서 동죽, 말백합, 가무락 등 유용패류의 안정적 생산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하절기 어장관리 및 자연산 모패 자원 관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남해포 갯벌은 반폐쇄적인 만형 갯벌로 퇴적지형은 단조로운 사질 위주의 퇴적상과 조위에 따른 군집분포 특성을 가지고있는 비교적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갯벌어장의 노출시간은 상부에서 380분-430분, 중부에서390분-450분, 하부에서 290분-340분으로 동일 지점에서는주간에 비해 야간 노출시간이 50분-1시간이 더 길었고, 정점별로는 St. 1과 St. 2는 10분-20분의 차이밖에 없었으나, St. 3은 St. 1과 St. 2에 비해 노출시간이 각각 90분, 100분-110분이 더 적게 나타났다. 갯벌어장의 영양염류는 아질산성 질소, 인산인의 변동이 적고 강우량이 많았던 7월에 비하여 8월에 암모니아성 질소와질산성 질소의 변동이 나타나고, 저질에서 COD는 3개 정점에서 양식장 오염니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AVS는 3개 정점 모두에서 기준을 초과하였다. 저질의 입도는 니질사 또는 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여 바지락이 서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으며, 동죽과 백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C/N 비는 St. 1, St. 2에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의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C/S 비는 조사정점세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 해양환경으로 조사 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조사정점에서 1 보다 크게나타나 대기나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어 중금속이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 약간 오염되었거나오염되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Cd, AS, Hg는 Igeoclass가 2로 오염되어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갯벌 미세조류의 정규식생지수는 월 평균 0.06이었으며, 엽록소 a 농도는 월 평균 91.42 mg/m2로 10월에 최대이고 8월에 최소로 조위별로는 St. 2 (중부), St. 1 (상부), St. 3 (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규조류는 총 152종이었으며 동죽의 먹이생물은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하였다. 유용패류의 출현량은 동죽 성패의 서식밀도는 St. 2 (중부)에서 가장 높았으며, 치패는 St. 3 (하부) 에서 가장 높았고말백합 성패와 치패는 St. 2 (중부) 지점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월에 남해포 갯벌 11개 정점에서 유용패류 서식실태를 조사결과 동죽 성패는 St. 1, St. 5 지점에서만 20마리/m2 이상의 밀도로 서식하였다. 동죽이 대부분을 차지한 이매패류의 치패는 St. 6, St. 7, St. 10 지점에서 128-288마리/m2 의 비교적 높은 밀도로 서식하였다. 조위가 다른 세 정점에서 2010년 가을에 늦게 가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죽 치패들은 2월 (평균각장 2.16-3.84 mm) 부터 7월 (7.21-14.41 mm) 까지 정상적인 성장 특성을 보였으며, 2011년 7-8월에 착저했던 동죽 치패들은 9월에 어떤 원인으로 서식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관찰되고 있어, 9월경 늦게 산란·착저한 그룹의 치패들이 이듬해 남해포 동죽 자원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7월부터 8월 사이에 단기간 집중 강우 현상과 무더위는 태안 남해포 갯벌에서 동죽,말백합, 가무락 등 유용패류의 안정적 생산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하절기 어장관리 및 자연산 모패 자원 관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ametogenic Cycle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Kuroda, 1932) (Bivalv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박기열(국립수산과학원) ; 정의영(군산대학교) ; 이기영(군산대학교) ; 박관하(군산대학교) pp.65-76 https://doi.org/10.9710/kjm.2013.29.1.6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gametogenic cycle and spawning seasons of the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and also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was calculated by the data of first sexual maturity. In this study, the male gametogenic cycle of this species by qualitative analysis was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The male gametogenic cycle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and condition index. Particularly, spawning in male scallop occurred once a year from July to September, unlike the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from June to August) re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s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June, and then sharply dropped from July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A.) farreri nipponensi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ly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RM50)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estimated to be 49.90 m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and it was 100% for male scallops over 61.0 mm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서산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을 이용한 패류 채집의 계절성 연구
안덕임(한서대학교) ; 류동기(군산대학교) pp.77-82 https://doi.org/10.9710/kjm.2013.29.1.77
초록보기
초록

백합류의 패류는 선사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이매패류로서 유적 점유 및 생계활동 연구와 고환경 연구에 좋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이 채집된 계절을 밝히기 위하여 표면 관찰을 바탕으로 한 연령 사정과 연변부지수를 산출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연변부지수 값은 0.13-1.29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현생 말백합의 월별 연변부지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시료 총 206점의 시료 가운데 봄 170점 (82.5%), 여름 18점 (8.7%), 가을 10점 (4.9%), 겨울 8점 (3.9%) 으로 봄에 채집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의 대죽리 패총 지역에서 말백합의 채집은 연중 이루어졌으며, 특히 봄에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죽리 패총은 연중 점유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연변부지수를 이용한 성장선분석은 다량의 패각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분석비에 대한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향후 보다 많은 고고학적 적용을 통하여 고고학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백합류의 패류는 선사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이매패류로서 유적 점유 및 생계활동 연구와 고환경 연구에 좋은정보를 제공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이 채집된 계절을 밝히기 위하여표면 관찰을 바탕으로 한 연령 사정과 연변부지수를 산출하여보았다. 그 결과 연변부지수 값은 0.13-1.29 사이에 분포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현생 말백합의 월별 연변부지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시료 총206점의 시료 가운데 봄 170점 (82.5%), 여름 18점 (8.7%),가을 10점 (4.9%), 겨울 8점 (3.9%) 으로 봄에 채집된 것이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의 대죽리패총 지역에서 말백합의 채집은 연중 이루어졌으며, 특히 봄에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죽리 패총은 연중 점유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연변부지수를 이용한 성장선분석은 다량의 패각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분석비에 대한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향후 보다 많은 고고학적 적용을 통하여고고학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ize-mass relationships for 4 freshwater snails (Gastropoda: Pleuroceridae) from the Guem River in Korea
윤호섭(전남대학교) ; 최상덕(전남대학교) pp.83-85 https://doi.org/10.9710/kjm.2013.29.1.8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ize-mass relationships were estimated for 4 species belonging to genus Semisulcospira from the Guem River,Korea. These 4 freshwater snail species: Semisulcospira libertina, Semisulcospira coreana, Semisulcospiragottschei, and Semisulcospira forticosta. Between June and November 2011, samples were caught by dredge(mesh size 10mm of multifilament nylon, total length 4.35 m) at depths of < 2 m. Estimates of for parameter b ofthe size-mass relationship (W = aSHb) ranged between 2.0072 (Semisulcospira libertina) and 2.3463(Semisulcospira gottschei).

First record of Littorina (Littorina) kasaka (Littorinidae: Sorbeoconcha: Gastropoda) from Korea
이준상(강원대학교) ; 길현종(국립생물자원관) pp.87-89 https://doi.org/10.9710/kjm.2013.29.1.8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Littorinid snail Littorina (Littorina) kasaka Reid, Zaslavskaya & Sergievsky, 1991, from Kandwon-do, Korea was recorded as new to the Korean molluscan fauna. Including the new recorded in this study, the family Littorinidae contained seven genera and 16 species in the Korean water.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