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5-3480
백합류의 패류는 선사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이매패류로서 유적 점유 및 생계활동 연구와 고환경 연구에 좋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이 채집된 계절을 밝히기 위하여 표면 관찰을 바탕으로 한 연령 사정과 연변부지수를 산출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연변부지수 값은 0.13-1.29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현생 말백합의 월별 연변부지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시료 총 206점의 시료 가운데 봄 170점 (82.5%), 여름 18점 (8.7%), 가을 10점 (4.9%), 겨울 8점 (3.9%) 으로 봄에 채집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의 대죽리 패총 지역에서 말백합의 채집은 연중 이루어졌으며, 특히 봄에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죽리 패총은 연중 점유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연변부지수를 이용한 성장선분석은 다량의 패각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분석비에 대한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향후 보다 많은 고고학적 적용을 통하여 고고학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growth-lin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recovered from the Neolithic Age Daejuk-ri Shell Middens, Seosan, Korea, with aim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Growth increments of 206 specimens of the clam were examined.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archaeological specimens was calculated and was compared to the monthly marginal index of modern specim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rowth pattern was the same as it is today. MI of the archaeological specimens ranged from 0.13 to 1.29 and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0.63, spring; 0.63-0.76, summer; 0.76-0.89, fall; <TEX>≥−
(2011). Paleolclimatic reconstruction using bivalves (Veneridae) from the Daejukri (Soesan) and Heohyonri (Gimhae) shell mound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5), 485-497.
Seasonal Dating by Growth-line Counting of the Clam, Meretrix lusoria, The University Museum, The university of Tokyo, Bulletin No.18.
Coloured Shells of Korea.
(2006). Age and Growth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4), 116-121.
(2010). The comparison of shell morphology and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eretrix lusoria and M. petechialis in Japan and Korea. Plankton and Benthos Research, 5(Suppl.), 231-241. 10.3800/pbr.5.231.
Shell formation and regeneration;Physiology of Mollusca, Vol. 1.
대산지역에 위치한 패총의 연대 측정과 서해안의 古水溫 硏究, 瑞山 大竹里 貝塚.
서산 대죽리 패총의 패각층 분석, 瑞山 大竹里 貝塚.
서산 대죽리 패총의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瑞山 大竹里 貝塚.
瑞山 大竹里 貝塚.
第7節 貝殼成長線分析 環境考古學マニュアル.
(2001). Seasonality of mollusk collecting at Daejuk-ri shell midden using oxygen isoto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Neolithic Society, 2, 13-20.
(2010).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based on growth increment analysis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covered from the Konam-ri shell middens.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69, 5-18.
Shells, Cambridge Manuals in Archaeology.
(2012).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8(2), 125-129. 10.9710/kjm.2012.28.2.125.
The Excavation Report of Daejukri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