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수온과 염분 조건에 따른 동죽의 여수율과 먹이섭취
강종욱(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한경남(인하대학교) ; 이선식(인천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pp.101-106 https://doi.org/10.9710/kjm.2014.30.2.101
초록보기
초록

인공종묘로 생산된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크기, 수온, 염분 변화에 대한 여수율과 먹이섭이량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수온의 경우 소형, 대형그룹의 여수율은 5℃에서 최소값을보였으며 2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25℃에서 급격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대한 소형그룹의 여수율은 26 ‰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8 ‰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대형그룹은 32 ‰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8 ‰에서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죽의 최적 수온,염분환경은 20℃, 27-32 ‰이며, 10℃ 이하 또는 25℃ 이상의 수온과 20 ‰ 이하의 저염분에서 여수율이 낮아진다는 사실을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Clearance rate and feeding of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were determined for 5 different water temperature regime (5, 10, 15, 20, 25℃) and salinity regime (8, 14, 20, 26, 32 ‰) with small group (86.62 ± 7.10 mm in shell length) and large group (147.99 ± 10.83 mm in shell length). Clearance rate and feeding increased with water temperature up to 20℃, but rapidly decreased at 25℃. The minimal clearance rate and feedign was recorded at 5℃. surf clam showed low clearance rate and feeding at low salinity (below 20 ‰) and maximum values at high salinity (26-32 ‰).

북한강 엷은재첩, Corbicula papyracea (Heude) 의 번식생태
김대희(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이완옥(국립수산과학원) ; 이준상(강원대학교) pp.107-116 https://doi.org/10.9710/kjm.2014.30.2.107
초록보기
초록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엷은재첩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 난경의 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 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TEX>$R^2$</TEX>) 는 0.921-0.98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엷은재첩은 기수재첩 보다는 소형종이었으며, 동시자웅동체로서 체내에서 수정되어 아가미 보육낭에서 부화되어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월별 비만도는 0.14-0.21 범위로 동계인 12월-2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2월부터 서서히 높아지기 시작하여 5월에 0.21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5.9-38.7%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의 정점이 생식세포의 최성숙기와 1-2개월 차이가 있었다. 생식소의 조직상, 비만도 및 생식세포의 월별 변화를 종합하면 북한강산 엷은재첩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12-2월), 성장기(2-5월), 성숙기(6-8월), 완숙 및 발생기(8-11월), 회복기(11-12월) 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군성숙 각장은 12.6 mm 였으며, 16 mm 이상의 개체는 모두 성숙하여 아가미에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Abstract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엷은재첩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 난경의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921-0.98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엷은재첩은 기수재첩 보다는 소형종이었으며, 동시자웅동체로서 체내에서 수정되어 아가미 보육낭에서부화되어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월별 비만도는0.14-0.21 범위로 동계인 12월-2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2월부터 서서히 높아지기 시작하여 5월에 0.21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5.9-38.7%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의 정점이 생식세포의최성숙기와 1-2개월 차이가 있었다. 생식소의 조직상, 비만도및 생식세포의 월별 변화를 종합하면 북한강산 엷은재첩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12-2월), 성장기(2-5월), 성숙기(6-8월), 완숙 및 발생기(8-11월), 회복기(11-12월) 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군성숙 각장은 12.6 mm 였으며, 16 mm 이상의개체는 모두 성숙하여 아가미에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서해 연안 황도와 정산포 바지락 양식장의 환경특성
최윤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윤상필(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정상옥(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안경호(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박광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pp.117-126 https://doi.org/10.9710/kjm.2014.30.2.117
초록보기
초록

바지락 양식장의 해수 수온은 황도가 정산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염분은 황도가 낮았으며 용존산소와 pH는 비슷한 값을 나타났다. 그리고 엽록소 a 와 규산염은 황도가 높았으며 무기질소와 무기인은 비슷한 농도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입도는 황도가 세립질이고 분급이 양호하며, 정산포는 조립질이고 분급이 불량하였고, 유기물은 황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C/N 비는 황도와 정산포에서 10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 의한 오염보다는 해양기원의 유기물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C/S 비는 두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 해양환경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두 지역에서 1 보다 크게 나타나 중금속이 유입 또는 금속황화물 형성과 관련된 축적현상으로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 (Igeo)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 약간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지 않은 수준 (practically unpolluted / moderately polluted) 으로 나타났다. 조석에 따른 1차 생산력에서 황도가 정산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황도에서는 2월과 8월에 높고 5월에 낮은 반면 정산포에서는 8월만 높게 나타났다. 생산성 평가를 위하여 채집한 바지락의 비만도는 황도가 높았지만 크기와 서식밀도는 정산포가 크게 나타났다. 서식밀도의 변화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7월까지 어획, 8월부터 종패의 가입 그리고 9월에는 폐사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바지락 양식장의 해수 수온은 황도가 정산포에 비하여 높은것으로 나타났지만 염분은 황도가 낮았으며 용존산소와 pH는비슷한 값을 나타났다. 그리고 엽록소 a 와 규산염은 황도가높았으며 무기질소와 무기인은 비슷한 농도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입도는 황도가 세립질이고 분급이 양호하며, 정산포는 조립질이고 분급이 불량하였고, 유기물은 황도에서 높게나타났다. C/N 비는 황도와 정산포에서 10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외부에 의한 오염보다는 해양기원의 유기물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C/S 비는 두 지역에서 2.8 이하로 정상적인해양환경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 (Ef) 는 두 지역에서 1 보다 크게 나타나 중금속이 유입 또는 금속황화물 형성과 관련된 축적현상으로 퇴적물에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농집지수(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1에 집중되어 있어약간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지 않은 수준 (practically unpolluted / moderately polluted) 으로 나타났다. 조석에 따른 1차 생산력에서 황도가 정산포에 비하여 높게나타났으며, 황도에서는 2월과 8월에 높고 5월에 낮은 반면 정산포에서는 8월만 높게 나타났다. 생산성 평가를 위하여 채집한 바지락의 비만도는 황도가 높았지만 크기와 서식밀도는 정산포가 크게 나타났다. 서식밀도의 변화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7월까지 어획, 8월부터 종패의 가입 그리고 9월에는 폐사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의 번식 생리에 관한 연구: Ⅰ. 가온에 의한 성 성숙 유도
이희중(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박경일(군산대학교) ; 최광식(제주대학교) pp.127-134 https://doi.org/10.9710/kjm.2014.30.2.12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Gonad matur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as induced in this study using a recirculation system over 8 weeks in early spring. Clams used in the experiment wre collected in 15th April 2010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as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remained 11°C. To induce gametogenesis and subsequent maturation seawater temperature was elevated 1°C per day over 10 days to reach 20°C. For the experiment, clams were raised in 120 L quadrangle tank maintained with re-circulated seawater system over 57 days.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mmonium ion and nitrate levels in the tanks were monitored daily. Mixture of concentrated microalgae including Tetraselmis, Isochrysis, Pavlova and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supplied to clams twice a day, and quantity of the daily ration was adjusted as 3% of clam body dry weight. Histology was applied to examine gonad maturation. Daily monitoring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indicated that the recirculation system supplied suitable environment to Manila clam; the nitrogenous components stayed below toxic levels (< 0.2 mg/L).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clams were mostly in early developing stage. As the seawater temperature reached 20°C, 10 days after the experiment, 20% of clams reached late development at 12 days. First ripe clams were observed at 42 days and 40% of clams were in ripe and ready for spawning at the end of study, 57 days after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gametogenesis of Manila clam was successfully induced by elevating water temperature and supplying commercially produced microalgae in a recirculation tank system.

Two Unrecorded Veneroid species (Bivalvia, Heterodonta) from Korean Waters
이준상(강원대학교)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 민덕기(민패류연구소) pp.135-138 https://doi.org/10.9710/kjm.2014.30.2.13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e report two new records Korean marine bivalves. The new record species are Siliqua albida (Adams & Reeve, 1850) and Macoma (Macoma) middendorffi Dall, 1884. As a result, the family Pharidae in Korea turned out to be 8 species of 4 genera and Tellinidae are 37 species of 15 genera.

Depositions of Egg Capsules by Female Shell Heights and Comparisons of Size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ies of the Female Rapa Whelk Rapana venosa in Three Different Salinity Concentration Regions
이일호(군산대학교) ; 정의영(군산대학교) ; 손팔원(국립수산과학원) ; 이기영(군산대학교) pp.139-153 https://doi.org/10.9710/kjm.2014.30.2.13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e investigated fecundities in egg capsules and size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ies in female Rapana venosa in three different salinity concentration regions (S-1, S-2, and S-3). In three different salinities, egg capsule heights, the number of egg capsules and the number of eggs and embryos were remarkab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emale shell heights (or ages) and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alinity concentrations. Heights of egg capsules, the number of egg capsules and fecundities (the number of eggs and embryos) were the maximum at S-1 (Gwangyang Bay (average 31.5 psu)) and the minimum at S-3 (the upper reaches of Seomjin River (average 15.5 psu)). Total numbers of fecundities of R. venosa individual-1year-1 were about 1x106 at S-1 region, about 8x105 at S-2 region, and about 2x105 at S-3 region. Rates (50%) of individuals reaching first sexual maturities in three different salinity regions (S-1, S-2 and S-3) were over 50% in females measuring 7.1-8.0 cm in shell height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and 100% in those > 10.1 cm (considered to be five years old). Biological minimum sizes (RM50) in females in three different regions are 72.0 mm SH at S-1 region, 70.9 mm SH at S-2 region, and 74.6 mm SH at S-3 region, respectively. Exceptionally, smaller individual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were participated in reproduction.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의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로부터 분리한 2종류의 Serpin 유전자 분석
박소영(순천향대학교) ; 정지은(동아대학교) ; 황희주(순천향대학교) ; 왕태훈(순천향대학교) ; 박은비(순천향대학교) ; 이준상(강원대학교) ; 한연수(전남대학교) ; 양승하(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 김용민(국립공원관리공단) pp.155-163 https://doi.org/10.9710/kjm.2014.30.2.155
초록보기
초록

동양달팽이의 EST 에서 serpin 유전자는 2가지 type이 추정되었다. Ns-serpin type 1 (partial) 서열의 코딩 영역은 총819 bp 이었으며, 27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Ns-serpin type 2 (partial) 의 코딩영역은 총 555 bp, 18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Laminarin 처리 전에는Ns-serpin type 1 이 2개 발현되었으며 처리 후에는Ns-serpin type 2 가 1개 발현되고 있었다. BLAST 결과를바탕으로 유사도가 높은 17개의 참고 서열과 동양달팽이의Ns-serpin type 1, 2의 아미노산 서열을 MEGA6 프로그램의 clustalW 엔진을 이용하여 multiple sequence alignment 를 수행한 결과, 척색동물의 포유강 9종, 조류강 1 종, 양서강 1종과 척색동물인 해초강, 절지동물의 거미강 1종과 곤충강 1종이 같은 군으로 묶였으며, 연체동물문의 경우 동양달팽이의 두 가지 type 을 포함한 복족강 4종이 같은 군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Psipre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예측한 2D 구조도 multiple align 및 phylodendrogram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를 통해 밝힌 동양달팽이의 두가지 type의 Ns-serpin 서열은 Aplysia californica 등의 근연종들의 서열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척추동물에서의 선천성 면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두 종류의 serpin 유전자 서열을 동양달팽이 EST 결과에서 발굴 하였으며, 동양달팽이에서도 여러 가지 type의serpin 이 존재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Serpins are a group of protein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rine and other type of proteases, and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kinds of organisms from invertebrates to vertebrates. Serpins are known to regulate the proteolytic cascades of the innate immune pathways in addition to their roles in blood coagulation, angiogenesis, fibrinolysis, inflammation and tumor suppression. In this study, we have isolated two partial serpin gene fragments from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of Nesiohelix samarangae. Dotplot analysis indicates that they are of two different types, Ns-serpin type 1 and Ns-serpin type 2. Ns-serpin type 1 has 819 bp coding region (272 amino acids), whereas Ns-serpin type 2 has 555 bp coding region (185 amino acid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shows that the identified serpins have high similarities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California see slug, Aplysia californica. Yet, the precise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roles of these Ns-serpins remain to be further investigated using RNA interference and other molecular techniques.

해역별 굴 패각의 특성비교
강주현(군산대학교) ; 이승우(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조상만(군산대학교) pp.165-168 https://doi.org/10.9710/kjm.2014.30.2.165
초록보기
초록

굴 패각은 외부 침입자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잠재적 성장범위를 의미하므로 패각모니터링은 굴 성장을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서로 다른 3해역 (완도, 한산거제만, 북만) 으로부터 채집한 패각의 성분분석을 통해 양식장 환경모니터링 도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완도해역에서 채집된 굴 패각은 높은 열분해온도로 비교적 안정된 나노구조체 형상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고, 이는상대적으로 진주층이 두터울 경우의 특징이다. 또한 패각중 성분분석결과 황의 함량이 낮고 납이 검출되지 않는 등 비교적안정적인 굴양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Shell of oyster has a function of shelter from predator as well as growth potential.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shells from three difference oyster farms. The shells from Wando waters characterized high stability of nanostructure, ticker nacreous layer, high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and low content of sulphur as well.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Wando coast is pristine water for oyster farming.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