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A. Adams) 의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남명모(국립수산과학원) ; 이주(국립수산과학원) ; 김미경(국립수산과학원) ; 김재원(강원도립대학) ; 김영대(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pp.303-309 https://doi.org/10.9710/kjm.2014.30.4.303
초록보기
초록

코끼리조개의 대량 인공종묘생산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정란, 유생 및 치패의 발달을 조사하였다. 생식체는잘 성숙한 어미에서 추출하여 희석 정자 용액으로 수정하였으며, 발생유생은 수온 19 ± 1℃로 유지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평균 81.6 μm 이었으며, 수정 후 14시간 만에 담륜자유생이 되어 부상하고, 27시간 만에 D상 유생 (각장 116 μm) 으로 발달하고, 20일 후에는 각장 311.2 μm로 성장하여 바닥에 안착하였다. 18.5-21.5℃에서 정상적으로 부화 및 유생사육이 가능하였으며, 채묘기질은 모래가 우수하였으나 캐시미론도 양호하였다. 부유유생이 착저한 후 108일간 사육한결과 각장 13 mm, 전중량 0.4 g으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각장 117.5 μm 이었으며, 자연해수로 연중 실내육성이 가능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Japanese geoduck, Panopea japonica, grown under culture conditions,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fertilized egg, larvae and juvenile. Gametes were stripped from ripe broodstock and placed into two separate containers. Eggs were washed through a 40 μm sieve and fertilized with dilute sperm solution. Developing larvae were maintained at 19 ± 1℃. Fertilized eggs with 81.6 μm diameter developed to trochophores within 14 h and to D-stage larvae (116 μm shell length) within 27 h. Larvae were spontaneously settled at shell length of 311 μm after 20 days. The hatching from fertilized eggs and larval rearing were normally available in 18.5-21.5℃, and the growth was good in a cashmilon substrate, as well as sand. After rearing of day 108 from metamorphosis, the shell length of juvenile P. japonica reached 13 mm, and growth rate of shel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17.5 μm/d.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의 수온 자극에 의한 조기 성성숙 유도와 발생
김영대(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이주(국립수산과학원) ; 민병화(국립수산과학원) ; 김미경(국립수산과학원) ; 김기승(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최재석(신라대학교) ; 안원근(부산대학교) ; 남명모(동해수산연구소) pp.311-319 https://doi.org/10.9710/kjm.2014.30.4.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결과인 수온조절에 의한 큰가리비의 생식소 발달을 조사한 결과, 암컷 샌식소지수 (GSI) 경우 1월에 실험구Ⅰ 가 9.12 ± 2.9, 2월에 14.89 ± 2.9, 3월에 21.3 ± 1.4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2월에 실험구 Ⅰ,Ⅱ, Ⅲ과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P > 0.05), 실험구와 대조구와는 유의가 있었다 (P < 0.05). 실험구 Ⅰ은 지속적으로 성숙하여 산란 가능한 범위로성성숙 및 산란하여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타 시험구와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생식소 발달을 조사한 결과, 1월에는 모든 실험구의 큰가리비 난소가 성장기 (growing stage) 단계로 확인되었다. 2월의 대조규 난소는 성장후기 단계였으며, 실험구Ⅰ, Ⅱ 및 Ⅲ은 모두 성숙기(mature stage) 로 확인되었다. 어미의 실내 성성숙 유도를위하여 수온 12℃를 유지한 결과, 11월에 생식소 지수 및 생식소 중량은 각각 4.4 ± 0.88, 2.8 g 이였으나 1월에 15.1 ±2.8, 11.7 g, 2월에 21.7 ± 5.4, 19.4 g으로 급격히 생식소지수가 증가되어 2월에 방란, 방정이 가능하여 자연 산란군보다2-3개월의 조기 산란 유도가 가능하였다. 수온 약 16℃에서 수정란은 나선상 난할 (spiral cleavage) 을 시작하여 낭배기(gastrula stage) 를 거쳐 약 1.5일 후에는 담륜자(trochophore) 유생이 되어 부상하여 유영하였다. 약 10일 후에는 초기원각 (prodissoconch shell) 을 형성하여 각정기 유생기 (umbo stage larva) 가 시작되며 각정 (umbones) 이형성되었다. 이후 각정기 유생은 성숙하여 수정 후 20-23일 후에는 팜사나 경심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패가 되어 조기 종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Abstract

Early sexual maturation through temperature stimulation was induced in female and male of yezo scallop. Gonadosomatic index (GSI) in female showed 9.12 ± 2.9 in January, 14.89 ± 2.9 in February and 21.3 ± 1.4 in March in experimentⅠ. GSI in experimentⅠ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 < 0.05) and in experiments Ⅱ and Ⅲ were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s (P > 0.05). It also showed significa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s Ⅰ, Ⅱ, and Ⅲ in February (P < 0.05) measurements. Experiment Ⅰ has showed good results in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when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s Ⅱ and Ⅲ and the control.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ed that ovary condition was in a growing stage in all the experiments Ⅰ, Ⅱ, and Ⅲ. In February, ovary condition through histological observation was a late mature stage in all the experiments Ⅰ, Ⅱ, and Ⅲ except the control of a growing stage. GSI and gonad weight were 4.4 ± 0.88 and 2.8 g, respectively in November whereas it was 15.1 ± 2.8, and 11.7 g, respectively in January and 21.7 ± 5.4, and 19.4 g, respectively in February after rearing at a water bath of 12 ℃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experiment I. It was possible early releasing of eggs and sperms of yezo scallop in February instead of the middle of April to the end of May being spawning period. Fertilized eggs have become a gastrula stage through a spiral cleavage and then become a trochophore larvae after 36 hours. After 10 days, D-shaped larvae have changed into an umbo stage larvae and attached to juveniles in the post larvae after 20-23 days.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치패의 양성지역에 따른 성장 특성 연구
김영대(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이주(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심정민(국립수산과학원) ; 김미경(국립수산과학원) ; 김기승(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최재석(신라대학교) ; 안원근(부산대학교) ; 남명모(국립수산과학원) pp.321-331 https://doi.org/10.9710/kjm.2014.30.4.321
초록보기
초록

현 시점에서 동해 북부에 한정되어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큰가리비 양식생산량 확대를 위하여 동부 북부에서 남부까지양식시험을 통하여 성장 특성을 분석하여 생식생산량 확대를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조기 종묘의 성장 특성으로2014년 2월에 채란 및 채묘한 치패의 평균 각장, 각고는 0.23 ± 0.002 mm이였다. 고성장군의 경우, 6월에 평균 각장, 각고는 각각 4.11 ± 0.08 mm, 4.28 ± 0.09 mm이였다. 10월에는23.63 ± 3.4 mm, 24.19 ± 4.5 mm이었다. 저성장군의 경우, 6월에 평균 각장, 각고는 각각 2.23 ± 0.7 mm, 1.99 ± 0.9 mm이였고, 10월에 17.06 ± 3.4 mm, 17.59 ± 4.5 mm로 성장하였다. 일간성장률은 고성장군은 0.037 mm/day, 저성장군은 0.027 mm/day 이었다. 8월에 지역별로 큰가리비의 성장을 보면 양양군, 강릉시, 영덕군, 포항시의 평균각장은 7.93 ± 0.2 mm으로 지역별로 큰가리비를 양성 시험한 결과, 포항 지역에서 각장 26.90 ± 3.6 mm로 가장 성장이 양호하였다. 이어서 영덕 지역이 23.56 ± 3.4 mm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는 포항, 영덕 해수온과 식물플랑크톤이 큰가리비 성장에적합하게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Patinopecten yessoensis is known to be farmed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today. In an attempt to extend its production area, we have conducted experiments both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East Sea and studied on their growth in an aim to use the results for increasing overall productivity of the species. Early juvenile scallops producted in February 2014 showed an average shell length of 0.23 ± 0.002. The high growth group showed an averag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of 4.11 ± 0.08 mm and 4.28 ± 0.09 mm, respectively, in June while they were 23.63 ± 3.4 mm and 24.19 ± 4.5 mm in October. The low growth group showed an averag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of 2.23 ± 0.7 mm and 1.99 ± 0.9 mm, respectively, in June while they were 17.06 ± 3.4 mm and 17.59 ± 4.5 mm in October. The daily growth rate of the high growth group was 0.037 mm/day and 0.027 mm/day for the low growth group. In August, we measured the shell length of Patinopecten yessoensis from Yangyang-gun, Gangneung-si, Yeongdeok-gun, and Pohang-si. Patinopecten yessoensis from Pohang-si showed the best growth performance with its shell length of 26.90 ± 3.6 mm. Patinopecten yessoensis from Yeongdeok was the second largest with its shell length of 23.56 ± 3.4 mm. We presume that optimal water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abundance of the two regions have contributed to the good growth performance of the species.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in Coecella chinensis (Bivalvia: Mesodesmatidae)
김성한(군산대학교) ; 정의영(군산대학교) pp.333-342 https://doi.org/10.9710/kjm.2014.30.4.33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Ultrastructural studies of oogenesis in oocytes,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the follicle cells in female Coecella chinensis were investigated for clams collected from Namhae, Geongsangnam-do, Korea. In this study,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in the oocytes occured by way of endogenous autosynthesis and exogenous heterosynthesis. Of two processes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the process of endogenous autosynthesis involved the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hereas the process of exogenous heterosynthesis involved endocytotic incorporation of extraovarian precursors at the basal region of the oolema of the early vitellogenic oocytes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vitelline coat. It is assumed that the follicle cells we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previtellogenic and early vitellogenic oocytes and appear to play an integral role in vitellogenesis in the early and late vitellogenic oocytes by endocytosis of yolk precursors, and also they were involved in oocyte degeneration by assimilating products originating from the degenerated oocytes, thus allowed the transfer of york precursors needed for vitellogenesis (through phagocytosis by phagolysosomes after spawning). Follicle cells presumably have a lysosomal system for breakdown products of oocyte degeneration. and for reabsorption of various phagosomes (phagolysosomes) in the cytoplasm for nutrient storage during the period of oocyte degeneration.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조규태(국립수산과학원) ; 변순규(국립수산과학원) ; 문태석(국립수산과학원) pp.343-351 https://doi.org/10.9710/kjm.2014.30.4.343
초록보기
초록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serotonin, γ-amino butyric acid, L-3,4-dihydroxyphenylalan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 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 ± 2.2%, 35.4 ± 2.0%, 19.2 ± 2.1%, 11.0 ± 1.2%, 15.2 ± 0.9% 및 42.7 ± 2.7%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γ -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1.97 ± 1.42 및 2.37 ± 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γ-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γ-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 ± 2.7%, followed by GABA (35.4 ± 2.0%), 5-HT (29.1 ± 2.2%), L-DOPA (19.2 ± 2.1%), epinephrine (15.2 ± 0.9%), and norepinephrine (11.0 ± 1.2%). The chemicals γ-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 ± 1.42 and 2.37 ± 1.86 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동합금 조성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생존, 호흡 및 중금속 축적률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전제천(국립수산과학원) ; 명정인(국립수산과학원) ; 양성진(국립수산과학원) pp.353-361 https://doi.org/10.9710/kjm.2014.30.4.353
초록보기
초록

동합금이 사육 생물에게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화학적 조성이 다른 5종류의 금속판을 넣은 수조에서 사육한 북방전복을 대상으로 성패와 치패의 생존율, 호흡 및 배설률 그리고 기관별 중금속 축적률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치패와 성패가 각각 27-60% 와 63-83%로 성패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합금 조성에 따른 생존율의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으나 중금속 축적률 그리고 영양적인 스트레스 등을 고려하면 동합금망은 전복 양성을 위한 가두리로서는 적합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pper alloy on abalone physiology, we studied survival rate, respiration, excretion rate,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in each organ of adults and spats. The survival rate of spats and adults showed 27-60% and 63-83% respectively, higher survival rate in adults. In particular, 100% of copper panel led to lowest survival rate and there was no sharp distinction according to copper alloy composition. The respira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ammonia nitrogen was 1.81 mg O2/g D.W./h and 0.43 mg NH4-N/g D.W./h respectively at 100% of copper panel. In other words,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other test levels (P < 0.05). The atomic ratio (0: N) hit the lowest at the 100% of copper panel showing 3.79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among other test groups with 6.57- 7.18 of a very low range. This means that the species might have undergone nutritional stress. In case of copper accumulation, the 100% copper pane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hepatopancreas and muscle showing 6.91 mg/kg and 1.60 mg/kg respectively but the rest of groups showed similar levels. Zinc accumulation raised at Cu-Zn alloy panel had high significance showing 18.50 mg/kg and 1.10 mg/kg in hepatopancreas and muscle respectively (P < 0.05). To sum up, a cage net made of 100% pure copper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balone in light of survival rate, heavy metal accumulation, and atomic ratio (0: N). Moreover, given that the substratum used for the high adhesive species and nutritious stress that is represented through the atomic ratio need to be considered, the copper alloy net is thought not to be suitable for abalone aquaculture.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적정 수온 및 염분 조건
양성진(국립수산과학원) ; 명정인(국립수산과학원) ; 박정준(국립수산과학원) ;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pp.363-370 https://doi.org/10.9710/kjm.2014.30.4.363
초록보기
초록

북방전복을 활어상태로 장거리 수송에 적합한 수온 및 염분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온 및 염분 별 생존율, 산소소비율의 생리적리듬 및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TEX>$10^{\circ}C$</TEX>와 <TEX>$8^{\circ}C$</TEX>에서는 모든 염분에서 생존율이 96-100%로 폐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TEX>$6^{\circ}C$</TEX>와 <TEX>$4^{\circ}C$</TEX>의 경우 염분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북방전복의 염분내성농도는 24.9 psu (Shin et al., 2011) 으로 염분 25 psu 이하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염분이므로 저수온과의 복합 영향을 고려해볼 때 수송조건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북방전복의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의 일주리듬은 일반해수와 염분 <TEX>$30{\pm}0.5psu$</TEX>에서 수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염분 및 수온 별 산소소비율은 모든 염분에서 수온이 하강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일반해수에 비해 <TEX>$30{\pm}0.5psu$</TEX>에서 산소소비율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북방전복 발상피와 근육의 조직학적 지표는 염분 <TEX>$30{\pm}0.5psu$</TEX>이하와 수온 <TEX>$6^{\circ}C$</TEX>이하의 복합구에서 상피층의 두께 감소 또는 혈림프동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전복의 장거리수송을 위한 수온의 적정범위는 <TEX>$8-10^{\circ}C$</TEX>, 염분은 <TEX>$30{\pm}0.5psu$</TEX>이상으로 여겨진다.

Abstract

북방전복을 활어상태로 장거리 수송에 적합한 수온 및 염분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온 및 염분 별 생존율, 산소소비율의 생리적리듬 및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10℃ 와8℃에서는 모든 염분에서 생존율이 96-100%로 폐사가 거의발생하지 않았다. 6℃와 4℃의 경우 염분의 영향이 뚜렷하게나타났으며 북방전복의 염분내성농도는 24.9 psu (Shin et al., 2011) 으로 염분 25 psu 이하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염분이므로 저수온과의 복합 영향을 고려해볼 때 수송조건에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북방전복의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의 일주리듬은 일반해수와 염분30 ± 0.5 psu에서 수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않았다. 염분 및 수온 별 산소소비율은 모든 염분에서 수온이하강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일반해수에 비해 30 ± 0.5 psu에서산소소비율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북방전복 발상피와 근육의조직학적 지표는 염분 30 ± 0.5 psu이하와 수온 6℃이하의 복합구에서 상피층의 두께 감소 또는 혈림프동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전복의 장거리수송을 위한 수온의 적정범위는 8-10℃, 염분은 30 ± 0.5 psu이상으로 여겨진다.

Bioaccumul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crude oil-contaminated sediments
이창훈((주)네오엔비즈) ; 이지혜((주)네오엔비즈) ; 성찬경(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 문성대((주)네오엔비즈) ; 강신길((주)네오엔비즈 환경안전연구소) ; 이종현((주)네오엔비즈) ; 임운혁(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심원준(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하상용(한국해양과학기술원) pp.371-381 https://doi.org/10.9710/kjm.2014.30.4.37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bioaccumulation of 16 United S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priorit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alkylated PAHs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sediments artificially contaminated by Iranian Heavy Crude Oil was measured and biota-sediment accumulation factor (BSAF) was estimat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The proportion of 16 PAHs accumulated in the tissue of R. philippinarum was only from 3 to 7% of total PAHs. Among 16 PAHs, the concentration of naphthalene was highest in the tissue. Alkylated PAHs were highly accumulated more than 93% of total PAHs. The C3 dibenzothiophene was most highly accumulated. The relative composition of alkylated naphthalenes in the tissue of R. philippinarum was lower than in the sediments. In contrast, those of alkylated compounds of fluorenes, phenanthrenes, dibenzothiophenes were higher in the tissue than the sediments. The BSAF for sum of 16 PAHs was 0.11 to 0.13 g carbon/g lipid and that for alkylated PAHs was 0.05 to 0.06 g carbon/g lipid. Naphthalene showed the highest BSAF value. Alkylated PAHs with the same parent compound, BSAF tended to increase with the number of alkylated branch increased, except for alkylated chrysenes. BSAF of total PAHs lies between that of field-based values, and are also similar to those of othe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CBs, DDTs, HCHs). This study provides the BSAF values of individual alkylated PAHs accumulated in R. philippinarum for the first time and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bioaccumul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the marine benthic organisms.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선발육종 연구를 위한 microsatellite multiplex PCR법 개발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남원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이명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강지윤(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김경길(국립수산과학원) pp.383-390 https://doi.org/10.9710/kjm.2014.30.4.383
초록보기
초록

북방전복 선발육종에 필요한 친자확인 및 가계분석을 효율적으로 실험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mutiplex PCR 기술은 6개microsatellite locus Hdh145, Hdh512, Hdh1321, Awb017, Awb083 및 Awb098을 한번의 PCR 증폭으로 다중분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높은 친자확인 성공률 및 가계분석에 있어서도 모두 멘델의 분리법칙을 따르고 있다. 더욱이대량의 시료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간절약 및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샘플 처리과정의 간소화가 가능하여handling errors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multiplex PCR은 친자확인, 가계분석, 집단유전학 및 계통분류학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The multiplex PCR system including six microsatellite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consisting of dinucleotide and trinucleotide repeat units, is developed. The six loci were coamplified in a single reaction employing dye-labeled primers. Alleles from these loci were sized using an internal standard by automated sample processing in an ABI3100 Genetic Analyser. Amplified alleles in profiles containing selected microsatellites were typed clearly, providing easily interpretable results. I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ted multiplex PCR system may be a useful tool in a selective breeding program of H. discus hannai in which genetic identification will allow different genotypes to be reared together from fertilization. This should have a great impact as it will make selective breeding more efficient. Moreover, it will be useful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strain and hybrid identification, parentage assignment, pedigree reconstruction, estimating genetic diversity and/or inbreeding.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의 CO-I 유전자를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방인석(호서대학교)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pp.391-397 https://doi.org/10.9710/kjm.2014.30.4.391
초록보기
초록

동양달팽이의 EST 서열 4개의 클론을 어셈블리하여 추출되어진 NsCO-I (partial)서열의 코딩 영역은 852 bp, 284개의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BLAST 결과를 토대로 하여유사도가 높은 68개의 서열을 추출 하였으며 MEGA6 프로그램을 통해 clustalW 엔진을 통해 다중서열정열을 수행하고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를 수행한 결과Heterobranchia, Nudibranchia, Cephalaspidea, Sacoglossa, Pulmonata 등의 카테고리별로 잘 분류 되었으며 Mastigeulota kiangsinensis, Helix aspersa, Cepaea nemoralis, Elona quimperiana, Camaena cicatricosa, Cylindrus obtusus 등 육산패류들과 잘 묶인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Previously, we have reported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analysis on the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Ns). Of these ESTs, we have identified four partial fragments of N. samarangae cytochrome oxydase I (NsCO-I) gene which lead to obtain an 852 bp partial cDNA. Since NsCO-I is one of the best-known molecular phylogenetic markers, we have attempted to conduct comparative in silico analysis by using the NsCO-I gene. The combined results from BLAST analyse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NsCO-I cDNA indicate that N. samarangae has similarity to three land snails such as Elona quimperiana, Euhadra herklotsi and Euhadra idzumonis.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에서 분리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고찰 및 발현분석
문지영(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 연구소 생명공학과) ; 박은희(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 연구소 생명공학과) ; 공희정(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 연구소 생명공학과) ; 김동균(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 연구소 생명공학과) ; 김영옥(국립수산과학원) ; 김우진(국립수산과학원) ; 안철민(국립수산과학원) ; 남보혜(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 연구소 생명공학과) pp.399-408 https://doi.org/10.9710/kjm.2014.30.4.3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GST유전자의 전장 cDNA를 동정하였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총 길이는 1669 bp로 672 bp의 ORF는 총 223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고 있으며 등전점은 5.69, 분자량은 25.8 kDa으로 예측되었다. 북방전복 GST 아미노산 서열은 둥근전복과 지중해 담치와 같은 패류의GSTA와 가장 유사성이 높았으며 계통수 분석을 통해 GSTA 와 하나의 그룹을 이루었다. 북방전복 GST에는 GSTA의 특징을 갖는 두 site (N- 말단의 G-site, C-말단의 H-site)가 보존되어 있었고 효소활성과 구조 유지에 중요한 잔기가 종간에매우 보존되어 있었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mRNA는 관찰된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투막, 아가미, 간췌장, 소화관에서 높은 발현이 확인되었다. 북방전복의 GST 는 비브리오균을 인위감염 시킨 전복의 간췌장에서 감염 후 1 시간 뒤 발현이 급격히 증가했다가 3시간까지 증가한 뒤 감소하였고, 혈구세포에서는 감염 3시간 경과 후 발현 정도가 최고로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북방전복 GST는 alpha class GST의 특징을 가지며 병원체 감염에 따른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생각되며 병원균 감염에 따른 바이오마커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 예상된다.

Abstract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s) are a superfamily of detoxification enzymes that primarily catalyze the nucleophilic addition of reduced glutathione to both endogenous and exogenous electrophiles.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 full-length of alpha class GST cDNA from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The abalone GST cDNA encodes a 223-amino acid polypeptide with a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25.8 kDa and isoelectric point of 5.69. Multiple alignments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the deduced abalone GST protein revealed that it belongs to the alpha class GSTs and showed strong homology with disk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putative alpha class GST. Abalone GST mRNA was ubiquitously detected in all tested tissues. GST mRNA expression was comparatively high in the mantle, gill, liver, and digestive duct, however, lowest in the hemocytes. Expression level of abalone GST mRNA in the mantle, gill, liver, and digestive duct was 182.7-fold, 114.8-fold, 4675.8-fold, 406.1-fold higher than in the hemocytes, respectively. Expression level of abalone GST mRNA in the liver was peaked at 6 h post-infection with Vibrio parahemolyticus and decreased at 12 h post-infection. While the expression level of abalone GST mRNA in the hemocytes was drastically increased at 3 h post-infection with Vibrio parahemolytic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balone GST is conserved through evolution and may play roles similar to its mammalian counterparts.

교배실험을 통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패각색 변이에 대한 유전적 지배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남원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이명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강지윤(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김경길(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pp.409-413 https://doi.org/10.9710/kjm.2014.30.4.4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북방전복의 보라색패각색의 유전적 지배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구는 같은 사료를 공급하여 실험 하였으며, 또한 동시에 생산된 4가계를 혼합사육한후 microsatellite DNA를 이용하여 친자확인으로 가계를 분리하여 가계간의 패각색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배형태가 ♀Gr × ♂Gr (GG type), ♀Pu × ♂Gr (PG type) 및 ♀Gr × ♂Pu (GP type) 의 경우 모든 자식개체의 패각색은 녹색으로 나타난 반면, ♀Pu × ♂Pu (PP type) 의 교배구의 모든 자식개체는 보라색패각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각색 형태는 녹색이 우성, 보라색이 열성형질로 가정할 경우 패각색의 표현형 분리의 설명이 가능하며, 보라색패각색의 유전지배는 1개의 유전자좌에 대하여 2개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Purple-colored shell individuals were discovered among normal green-colored shell individuals in artificial seed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on an ordinary type of diatom and artificial diet. In the present study, factorial mating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clarify the genetic control of the variant (purple type) and normal (green type) of shell color. The parental population of purple type and green type individuals were derived from a single family between a female and male of each type of coloration. The all mating families were reared in same tank for the same breed environment. The individual of 4 type families were distinguished by paternity test using microsatellite DNA. In factorial mating experiments, all individuals offspring of GG (green type female and green type male), GP (green type female and purple type male) and PG (purple type female and green type male) mating types appeared to green type. In only PP (purple type female and purple type male) mating type, all individuals offspring appeared to purple typ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urple shell color is controlled by recessive purple type allele and a dominant green type allele at a single locus.

근친교배에 의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근교약세 현상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남원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이명석(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강지윤(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김경길(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pp.415-419 https://doi.org/10.9710/kjm.2014.30.4.415
초록보기
초록

북방전복의 근친교배로 인한 근교약세현상의 유무를 명확히하기 위하여 근친교배 2가계 (AA 및 BB) 와 비근친교배(ww1 및 ww2) 2가계를 같은날 동시에 생산하여 유생단계부터 동일한 수조에 혼합 사육관리한 후 친자확인 기술을 통하여4개월째 및 10개월째 각각의 가계별 생존율 및 성장을 비교분석하였다. 성장의 경우, 4개월째 근친교배구 AA가계만이 비근친교배구 ww1 및 ww2가계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10개월째는 근친교배구 AA가계 및 BB가계 모두비근친교배구 ww1 및 ww2가계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나타냈다. 또한 생존율에 있어서도 근친교배구가 비근친교배구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한세대의 근친교배(근교계수 : 0.25) 에 있어서도 근교약세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Abstract

Inbreeding depression may be an avoidable phenomenon for abalone culture. However, only a few studies were carried out on inbreeding depression. In the present study, to demonstrate inbreeding depression in growth trait of Pacific abalone, H. discus hannai, inbreeding and outbreeding families were produced in 2010. Inbred and outbred families from each experiment were reared in same tank until 10 month for the same breed environment. The individual of inbred and outbred were distinguished by paternity test using microsatellite DNA. The shell length between inbred and outbred families was compared. At the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shell length was observed in the outbred families at 10 mon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breeding depression is obviously observed in growth traits in the first generation of full-sib family of the H. discus hannai.

안정만 패류양식해역의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특성과 중금속 함량
정우건(경상대학교) ; 조상만(군산대학교) ; 이상준(경상대학교) pp.421-428 https://doi.org/10.9710/kjm.2014.30.4.421
초록보기
초록

굴양식이 성행하는 안정만 해역은 인근 연안에 LNG비축기지, 조선소 등의 공단이 가동되고 있어 일부 양식장은 품종을 전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안정만 해역의 연안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저질환경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회에 걸쳐 20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을 채집, 분석하였다. 안정만 해역의 표층퇴적물의 IL은 6.41-11.68% (평균 <TEX>$9.52{\pm}1.28%$</TEX>)의 범위였고, COD는 17.99-43.84 mg/g (평균 <TEX>$27.53{\pm}6.39mg/g$</TEX>), 그리고 AVS는 0.05-0.61 mg/g (평균 <TEX>$0.17{\pm}0.14mg/g$</TEX>)의 범위였다. 유기물함량은 저질의 수분함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양식품종의 분포 패턴과도 관계가 있어 흰멍게로 양식품종이 변화된 북부해역의 COD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일부 조사정점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금속함량은 NOAA의 ERL 기준치 이하였고, 중금속 부화지수는 0.96-1.12의 범위로 중금속 오염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증가하는 선박 통행량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저질환경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Abstract

굴양식이 성행하는 안정만 해역은 인근 연안에 LNG비축기지, 조선소 등의 공단이 가동되고 있어 일부 양식장은 품종을전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안정만 해역의 연안생태계에 영향을미치는 저질환경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회에 걸쳐 20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을 채집, 분석하였다. 안정만 해역의 표층퇴적물의 IL은 6.41-11.68% (평균 9.52 ± 1.28%) 의 범위였고, COD는 17.99-43.84 mg/g (평균27.53 ± 6.39 mg/g), 그리고 AVS는 0.05-0.61 mg/g (평균0.17 ± 0.14 mg/g) 의 범위였다. 유기물함량은 저질의 수분함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양식품종의 분포 패턴과도 관계가 있어 흰멍게로 양식품종이 변화된 북부해역의 COD 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일부 조사정점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금속함량은 NOAA 의 ERL 기준치 이하였고, 중금속 부화지수는 0.96-1.12의 범위로 중금속 오염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증가하는 선박 통행량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저질환경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연체동물 전용 BLAST 서버 업데이트 (Version II)
강세원(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황희주(순천향대학교) ; 박소영(순천향대학교) ; 왕태훈(순천향대학교) ; 박은비(순천향대학교) ; 이태희(순천향대학교) ; 황의욱(경북대학교) ; 이준상(강원대학교) ; 박홍석(지앤시바이오) ; 한연수(전남대학교) ; 임채은(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김순옥(국립생물자원관)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pp.429-431 https://doi.org/10.9710/kjm.2014.30.4.4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를 통하여 연체동물 전용 BLAST 서버 (Version II) 가 웹주소 http://www.malacol.or.kr/blast 에 구축되었다.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매우 빠르게 얻을 수 있었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길 바라며, 아울러 많은 연체동물 연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Abstract

Since we reported a BLAST server for the mollusk in 2004, no work has reported the usability or modification of the server. To improve its usability, the BLAST server for the mollusk has been updated as version II (http://www.malacol.or.kr/blast) in the present study.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Intel server Platform ZSS130 dual Xeon 3.20 GHz CPU and Linux CentOS system and with NCBI WebBLAST package. We downloaded the mollusk nucleotide, amino acid, EST, GSS and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which can be opened through NCBI web BLAST and used them to build up the database. The updated database consists of 520,977 nucleotide sequences, 229,857 amino acid sequences, 586,498 EST sequences, 23,112 GSS and 565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Total database size is 1.2 GB. Furthermore, we have added repeat sequences, Escherichia coli sequences and vector sequences to facilitate data validation. The newly updated BLAST server for the mollusk will be useful for many malacological researchers as it will save time to identify and study various molluscan genes.

Report on new record of sea slug nudibranch species Cadlinella subornatissima (Gastropoda: Chromodorididae) from Korean waters
정대위(충북대학교) ; Mohiuddin Gazi(충북대학교) ; 박중기(충북대학교) pp.433-435 https://doi.org/10.9710/kjm.2014.30.4.43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chromodorid nudibranch species Cadlinella subornatissima Baba, 1996 (Gastropoda: Nudibranchia: Chromodorididae) is newly recorded from Korean water. In this report, detailed external morphology is provided with its colored illustrations.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ngeneric species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tip of dorsal papillae is pointed with pink pigment; yellow dorsal marking on central dorsum without mantle margin. The Korean chromodorid nudibranchs are composed of 19 species of 10 genera, including Cadlinella subornatissima which is firstly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조개낙지 Argonauta argo Linnaeus, 1758의 형태 및 포란 특성
김영혜(국립수산과학원) ; 오택윤(국립수산과학원) ; 박겸준(국립수산과학원) ; 안용락(국립수산과학원) ; 김현우(국립수산과학원) ; 김두남(국립수산과학원) ; 안두해(국립수산과학원) pp.437-441 https://doi.org/10.9710/kjm.2014.30.4.437
초록보기
초록

표본은 2010년 7월 12일 부산시 송정주변해역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것을 채집하였다. 패각 방사륵은 56개이었다. 제1번팔은 패각을 붙잡고 있으며, 제1번 팔의 기저부는 팔 전체를덮을 만큼 매우 큰 편평한 막으로 되어 있었다. 출수기관은 비교적 큰 편이어서 4번 팔의 기저부를 넘어선다. 팔길이식은 4 > 2 ≒ 3 > 1이었다. 표본은 암컷이며, 포란수는 155,203 개이었다. 난은 타원형이었다. 조개낙지는 표층 부유성 문어이며, 돌고래의 먹이생물 중 하나이다

Abstract

One specimen of Argonauta argo belonging to the family Argonautidae, was collected Songjeong, southeastern coastal water of Korea on July 12, 2010. The specimen, a mature female of 76 mm mantle length and 97 mm shell length. The number of ribs are 56 in shell. The shell is distinct between the arm Ⅰ's. The Ⅰ arm has expanded, hemi-discoidal web to which the distal part is fused together. The funnel is large and exceeds the base of arm Ⅳ. The arms formula is Ⅳ > Ⅱ ≒ Ⅲ > Ⅰ. The specimen was female. Fecundity was 155,203 eggs. This species is pelagic octopus and important prey item of dolphin.

Heterogeneous growth of the triploid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created by chemical inhibition of polar body release
조규태(국립수산과학원) ; 한종철(국립수산과학원) ; 허영백(국립수산과학원) ; 변순규(국립수산과학원) ; 문태석(국립수산과학원) pp.443-447 https://doi.org/10.9710/kjm.2014.30.4.4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riploids have several potential advantages over diploids in aquaculture, drawing an elevated commercial reaction into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despite we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of triploid industry for th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We traced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triploid C. gigas for over a year from hatchery spats, which was created by manipulations of chemicals (Cytochalasin B, CB or 6-Dimethylaminopurine, 6-DMAP). The growth was clearly marked by an initial longer dormancy and following a great magnitude of heterogeneity. The dormancy was almost 9 to 10-month long or even longer and was considered as a downside of the creation. The heterogeneity was magnified by appearance of extraordinarily growing oysters in part during summer season, which could be a representative upside of the triploids. Overall,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as positive as were expected. The longer dormancy and following heterogeneity observed in our practice could be marked as an additional negative sign of the chemical use. The present study, thus, might be highly indicative in the introduction of biological cross between tetraploid and diploid to produce natural triploid embryo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