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본 연구는 안동호 퇴적물 중의 납 오염 기원을 조사하기 위해 안동호 퇴적물, 안동호 유역의 토양, 광미퇴적물 및 아연제련시설의 부산물 중의 납 동위원소를 분석하고 국내·외 결과와 비교하였다. 안동호 퇴적물 중의 207Pb/206Pb 및 208Pb/206Pb는 0.827±0.004 및 2.041±0.015로서 광미퇴적물의 0.815±0.002및 2.016±0.006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토양 중 207Pb/206Pb 및 208Pb/206Pb는 0.756~0.881 및 1.872~2.187로 퇴적물 및 광미퇴적물에 비해 넓은 범위의 납 동위원소 분포를 나타냈다. 아연 광석의 207Pb/206Pb 및 208Pb/206Pb는 0.816~0.956(평균 0.832), 2.029~2.219(평균 2.059)로서 비교적 넓은 범위의 동위원소 조성변화를 보였으며, 폐수 및 슬러지 중의 207Pb/206Pb 및 208Pb/206Pb는 0.883~0.905(평균 0.887),2.127~2.156(평균 2.133)로 나타났다. 안동호 퇴적물은 연화광산의 광상과 유사한 납 동위원소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광미퇴적물과 토양에 의한 혼합 특성을, 아연제련시설의 경우, 캐나다 및 호주 등으로부터수입된 아연 광석에 의한 납 동위원소 분포와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냈다.
1. UNEP. Final review of scientific information on lead, 2010.
2. C. Cloquet, J. Carignan, G. Libourel, T. Sterckeman and E. Perdrix, Envi. Sci. Tech., 40, 2525 (2006).
3. Kyungpook Regional Environmental Technology Cente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proper management of downriver district caused by closed and temporarily-closed mines in upriver district of Nakdong River-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f mineral-mixed deposits in the riverbed of upriver district”, 2005.
4. K. Park and H. Chang, Jour. Petrol. Soc. Korea, 14(3), 141 (2005).
5. J. Jung and K. Park, J. Petrol. Soc. Kor., 15(2), 81 (2006).
6. E. S. Alyssa, W. Dominique and Kristin J. Orians, Sci. Total Envi., 408, 2357 (2010).
7. H. Cheng, and Y. Hu, Environ. Pollut., 158, 113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