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Determination of boron in steel by HNO3-NH4HF2 digestion and ICP-MS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4, v.27 no.6, pp.352-356
https://doi.org/10.5806/AST.2014.27.5.35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최근 붕소를 철강에 첨가함으로써 철강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여러 연구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원자 흡광광도법, ICP-OES, ICP-MS에 의한 철강 중 붕소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들이보고되고 있으며, 철강 중 붕소 정량 시 붕소의 휘발 손실 및 고농도 철 매트릭스로 인한 붕소 분석 방해 등의 어려움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붕소의 휘발 손실을 억제 가능한 철강 시료 분해 방법 및매트릭스 분리과정 없이 ICP-MS에 의하여 철강 내 붕소를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질산-이플루오린화 암모늄을 이용하여 철강 시료 중 붕소의 휘발 손실을 억제하고 시료의 완전 분해가가능하였으며, ICP-MS에 의하여 다량의 철 매트릭스 중 붕소 정량이 가능하였다. 서로 다른 붕소 함량의 철강 표준물질을 대상으로 시료 분해 및 ICP-MS에 의한 붕소 정량 결과 회수율은 103~111%, 상대표준편차는 5% 이하였으며, 방법검출한계(MDL)는 1.17 μg/g 이었다.

keywords
steel, boron, ammonium bifluoride, ICP-MS


Reference

1

1. E. Pessard, B. Abrivard, F. Abroug and P. Delhaye, Int. J. Fatigue, 68, 80-89 (2014).

2

2. H. Guler, R. Ozcan and N. Yaunz, Mat.-Wiss. u. Werkstofftech, 45, 894-899 (2014).

3

3. H. Yang, X. X. Wang and J. B. Qu, J. Iron. Steel. Res. Int., 21, 787-792 (2014).

4

4. Z. X. Gui, W. K. Liang and Y. S. Zhang, Trans. Nonferrous Met. Soc. China, 24, 1750-1757 (2014).

5

5. C. H. Yang and S. J. Jiang, Spectrochimi. Acta Part B, 59, 1389-1394 (2004).

6

6. T. Shinohara, H. Matsubara, N. Yoshikuni and K. Oguma, Bunseki Kagaku, 52, 851-853 (2003).

7

7. C. J. Park, Bull. Korean Chem. Soc., 23, 1541-1544(2002).

8

8. A. Lopez Molinero and A. Ferrer, J. R. Castillo, Talanta, 40, 1397-1403 (1993).

9

9. T. Ishikawa and E. Nakamura, Anal. Chem., 62, 2612-2616 (1990).

10

10. A. G. Coede, T. Dorado, B. J. Fernandez and F. J. Alguacil, Anal. Chem., 68, 991-996 (1996).

11

11. A. G. Coedo, T. Dorado, E. Escudero and I. G. Cobo, J. Anal. At. Spectrom., 8, 827-831 (1993).

12

12. J. S. Chen, H. Berndt, R. KlockenKamper and G. Tolg, Fresenius J. Anal. Chem., 338, 891-894 (1990).

13

13. A. A. Ammar, R. K. Gupta and R. M. Barnes, Spectrochmi. Acta Part B, 54, 1077-1084 (1999).

14

14.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D 1878(1965. 12. 30.), Republic of Korea.

15

15.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D ISO 13900(2003. 10. 31.), Republic of Korea.

16

16. D. C. Gregoire, Spectrochimi. Acta, 42B, 895-907(1987).

17

17. G. H. Fontaine, B. Hattendorf, B. Bourdon and D. Gunther, J. Anal. At. Spectrom., 24, 637-648 (2009).

상단으로 이동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