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무정>과 소설 형식의 젠더화

Mujong and the Gendered Narrative Form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5, v.0 no.14, pp.193-238
김복순 (명지대학교)

초록

이 글은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의 입장에서, 근대 초기 소설 개념이 정착하는 시기에 소설 형식이 젠더화되는 과정을 추적한 글이다.전지적 시점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것 같지만 남성 젠더적이다. 전지적 시점은 소설 형식에서 고안된 ‘젠더 기술장치’ 중 하나이다. 무정은 친일적 신지식층 남성의 젠더적 시선 하에 그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전파한다. 또한 무정은 다양한 내적 초점을 통해 ‘관음증적 쾌락’의 욕망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킨다. 관음증적 쾌락의 시선은 기본적으로 남자 주인공의 시선으로 이루어진다. 무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내면의 전경화인데, 만보를 통해 제시되는 ‘나-또 다른 나’의 대화에서 세계는 비가시화 된다. 이 과정에서 추상적 이상주의의 자폐성이 드러나며, 내면은 남성 젠더화 된다.무정의 ‘세계 다시 읽기’ 방식은 감각적 인식방법으로, 이 역시 남성 젠더로 전유되어 있다. 이형식이 여성을 보는 방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감각적 인식에 토대한 성애적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참사람이 깨지 않은 미숙한 존재라는 시선이다. 무정은 성별에 따라 배치하는 플롯도 다르다. 이형식의 서사는 자아실현 플롯인 동시에 연애 플롯이지만, 여성인물들의 경우 자아실현 플롯과 연애 플롯은 둘 다 존재하지 않거나 하나만 존재하며, 통합관계도 아니다. 이형식은 여성을 보호하고 민족을 구원하는 행위의 실천자가 됨으로써 승리자가 되는 쾌락의 욕망을 달성한다. 그럼으로써 새 시대를 여는 신청년 남성 대서사는 완성된다. 무정의 플롯 구조는 남성의 쾌락원칙에 입각한 것으로서, 남성 대서사에 맞게 젠더화되어 있다. 무정은 남성 중심주의 미학에 입각한 소설 형식의 젠더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소설 장르 역시 ‘성적 지배 양식’ 중 하나였다. 이제 소위 ‘보편’미학은 재구성되어야 하며, 소설의 이론 또한 다시 정립되어야 한다. 주제어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 보편 미학, 소설 형식의 젠더, 미학의 젠더, 보는 방식, 만보, 감각적 인식, 플롯의 젠더화

keywords
new feminist narratology, universal aesthetics, gender of aesthetics, gender of narrative form, way of seeing, streetwalking, sentient perceptions, gendered plot,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 보편 미학, 소설 형식의 젠더, 미학의 젠더, 보는 방식, 만보, 감각적 인식, 플롯의 젠더화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chase how narrative forms are gendered while a conception of 'Modern Novel' is settled in early modern times based on 'new feminist narratology'. 'The omniscient point of view' seems to be objective however actually it is male-centered. 'The omniscient point of view' is men-gendered. In Mujong, on the viewpoint of gendered men who are deeply related to pro-japanese new intelletuals, his ideology is widespread naturally. Also, Mujong effectively fulfills desire of 'voyeurism' through various inner viewpoint. the way of seeing of voyeurism is basically made up of a view of men. One of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Mujong is 'interiority‘, it is made through streetwalking. In the streetwalking of Mujong, the world becomes invisible through the conversation of 'I and the other I'. The ideology of the past is exempted and the ideology of pro-japanese new intellectuals In, Mujong, Ri Hyongsik considers women as following two ways of seeing. One is a view of sexuality which is on the basis of sentient perception and the other is to think women as immature beings. Though the rearrangement of viewpoint on human, which thinks human as emotional beings, is made, it is owned only by men. The plot of Mujong is focused on self-consciousness and romance, however in case of women characters, those two plots do not exist or only one of them exist. Moreover, those two are not related in case of women. Ri Hyongsik fulfills his desire by protecting women and saving the people. Through his actions, the brand-new history which is male-centered is unfolded. The plot of Mujong is based on men's pleasure, and it is thoroughly masculate

keywords
new feminist narratology, universal aesthetics, gender of aesthetics, gender of narrative form, way of seeing, streetwalking, sentient perceptions, gendered plot,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 보편 미학, 소설 형식의 젠더, 미학의 젠더, 보는 방식, 만보, 감각적 인식, 플롯의 젠더화

참고문헌

1.

(2000.)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

(1999.) 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소명출판

3.

(2005.)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4.

(2005.12) 식민지 근대 초기의 만보와 소설 형식의 젠더화,

5.

(2002) 한국 근대 문학과 동정의 계보,

6.

(2005)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신체 담론 연구,

7.

(2005.) 이광수와 문화의 기획, 태학사

8.

(2005) 미적 청년의 탄생,

9.

(2001.)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 철학과 현실사

10.

(2002) 이광수 무정에 나타난 ‘육체’의 근대성 고찰,

11.

(2001.) 성적 지배와 그 양식들, 새물결

12.

(2000.)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월인

13.

(2005) 소설 개념의 형성과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 정치학,

14.

(2005.) 여성의 몸: 시각,쟁점,역사, 창비

15.

(2005.2) 노블, 청년, 제국,

16.

(2002.)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17.

(2004.) 과학학의 이해, 당대

18.

(2002.) 동정의 본질과 형식, UUP

19.

(2002.) 페미니즘과 과학, 이화여대 출판부

20.

(1999.)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여성들, 또 하나의 문화

21.

(2002.) 영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출판사

22.

(2005.) 美と 感情の 原理, 東京圖書出版會

23.

(2003.) 自然の 男性化 / 性の 人工化, 藤原書店

24.

(1996.) Ambiguous Discourse, Chaple Hill

25.

(1994.) Downcast Eyes, California Universuty Press

26.

(2000) Narratology and Feminism, The Narrative Reader, Routledge,

27.

(2004) Freud Master Plot, 2004

28.

(1992.) Fictions of Authority, Cornell University Press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