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한국 트로트 논쟁의 일고찰 -이미자 관련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f Trot Controversi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20, pp.47-72
https://doi.org/10.18856/jpn.2008..20.002
장유정 (단국대학교)

초록

본고의 목적은 트로트와 관련된 논쟁의 경위를 밝혀 트로트에 대한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다. 트로트 중에서 이미자와 관련이 있는 논쟁은 1960년대의 왜색가요 시비와 1990년대의 ‘이미자 시비’이다. 1960년대의 왜색가요 시비가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를 중심으로 벌어진 논쟁이라면, 1990년대의 ‘이미자 시비’는 서양음악학자가 이미자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벌어진 논쟁이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다루지 않았던 1960년대 자료를 들어 1960년대 왜색가요 시비의 자세한 경위를 살폈다. 트로트가 일본을 통해서 유입되었다는 것을 전제한 상황에서 벌어진 1960년대의 왜색가요 시비는 연예인협회의 단체 행동과 방송가요심의위원회의 구성과 같은 가시적인 결과를 낳았다. 1960년대의 왜색가요 시비는 정권 차원에서 이루어진 의도적인 시비라는 기존의 평가와 달리 일차적으로 당시의 가요 풍토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일수교 이후에 주체성을 찾자는 의식이 왜색가요 시비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나 왜색가요 시비에 애초부터 정권이 개입하였던 것은 아니다. 이어서 1990년대의 이미자 시비는 이미자에 대한 찬사에 가까운 박종문의 논문에서 비롯한다. 대중가수에 대한 서양음악학자의 논문이 발단이 되어 이에 대한 비판을 거듭하면서 이루어진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이영미는 박용구 옹과의 대담을 통해 이 논쟁을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영미가 주장한 트로트의 왜색성과 신파성은 여전히 반박의 여지가 있다. 일제시대에 일본을 통해 유입되어 형성된 갈래인 트로트에 민족의 문제가 개입하면 트로트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더 이상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트로트는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는 것 외에 굳이 일본색을 운운할 필요가 없는 갈래이다. 종종 트로트의 왜색성의 근거로 제시하는 음계도 일본 고유의 것은 아니며, 음계가 음악의 모든 것을 규정하는 요인도 아니다. 게다가 대중가요는 음악과 문학, 수용자 등이 복잡하게 얽히고설키어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음악만으로 어떤 갈래를 문제 삼는 것은 그 시작에서부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트로트는 일본을 통해 들어와서 한국적인 토양에서 순화·형성된 갈래이다. 트로트에 대한 선호는 기실 취향에서 비롯한 측면이 크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계층 간의 ‘구별 짓기’가 자리하고 있다.

keywords
대중가요, 트로트, 엔카, 이미자, 취향, popular song, Trot, Enka, Lee, Mi ja, taste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etails of trot controversies. Controversies related to Lee Mi-ja are the dispute over Japanese manners in the 1960s and the argument concerning Lee Mi-ja in the 1990s. First, this paper considered the details of the first controversy using materials from the 1960s that have heretofore been unexamined. Japanese manners in the 1960s had visible effects, such as the group behavior of the Korean entertainer's associ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The cause of the dispute over Japanese manners in the 1960's can be found in the climate of the songs at the time. Next, the argument concerning Lee Mi-ja in the 1990s began with Park Jong-moon's paper that dealt with Lee Mi-ja's songs. This paper created a sensation in the 1990s. Lee Young-mee brought together the various threads of this controversy. However, there is room for refutation of the Japanese manners and the characteristic new school that Lee Young-Mee insists upon. There is no need to mention the characteristic Japanese manners except that trot was introduced through the Japanese. Trot is a genre of song that was introduced by Japan and took on a Korean character in Korea. The preference for trot could be seen as a product of the tastes at the time. Also, behind the scenes, the distinction between classes played a part. This paper was written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xamining the controversy over trot and reestablish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songs.

keywords
대중가요, 트로트, 엔카, 이미자, 취향, popular song, Trot, Enka, Lee, Mi ja, taste

참고문헌

1.

강사랑 편, 대서정 한국레코오드 가요사 , 한국음반제작가협회, 1967, 1-355쪽.

2.

김대행, 한국시의 전통 연구 , 개문사, 1980, 1-219쪽.

3.

목진자, 「한국방송윤리의 자율규제성과 그 문제점-한국방송윤리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3호, 한국언론학회, 1970, 77-99쪽.

4.

문옥배, 한국 금지곡의 사회사 , 예솔, 2004, 1-260쪽.

5.

박종문, 「대중가수 이미자를 생각한다」, 낭만음악 제6권 제1호, 낭만음악사, 1993, 123-145쪽.

6.

반야월, 불효자는 웁니다 , 화원, 2005, 1-913쪽.

7.

신현준 외,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 한길아트, 2005, 1-367쪽.

8.

이건용, 「‘대중가수 이미자를 생각한다’를 생각한다」, 낭만음악 제6권 제2호, 낭만음악사, 1994, 129-131쪽.

9.

이미자, 인생, 나의 40년 , 황금가지, 1999, 1-286쪽.

10.

이영미, 「이미자 시비를 생각한다」, 낭만음악 제6권 제4호, 낭만음악사, 1994, 163-182쪽.

11.

이영미, 「바람직한 대중음악을 위하여-이미자 시비를 계기로」, 낭만음악 제7권 제1호, 낭만음악사, 1994, 99-122쪽.

12.

이영미, 「트로트 논쟁의 흐름과 쟁점」, 비평과 이론 제13권 1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08, 33-68쪽.

1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 시공사, 1998, 1-324쪽.

14.

이준희·장유정 엮음, 유성기음반 가사집 7, 민속원, 2008, 1-496쪽.

15.

장유정,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제16집, 한국구비문학회, 2003, 49-88쪽.

16.

장유정,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화자의 정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구비문학 (한국구비문학회 편), 박이정, 2005, 127-176쪽.

17.

장유정, 오빠는 풍각쟁이야-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 민음in, 2006, 1-433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