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일제 강점기 사랑과 이별 소재 대중가요 가사 속 여성 지칭 명사의 특징

The features of feminine nouns used in Korean pop songs with the subject of love and breaku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279-306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08
배샛별 (상명대학교)
이승연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일제 강점기 발표된 사랑과 이별 소재 대중가요 속에서 나타난 여성 지칭 명사들의 의미 연결망을 찾고 그 이유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통적 소재의 노래들에서는 ‘아가씨’와 ‘처녀’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여 소극적 여성상을 그려냈고 ‘색시’와 ‘여자’의 경우 바다와 연결해 그리움을 비통하게 표현했다. ‘기생’ 소재의 노래는 처지에 대한 한탄 중 절개를 향한 굳은 의지를 표현했으며 모던걸은 ‘아가씨’와 ‘아씨’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해 풍자적으로 표현했다. 일제의 대륙침략과 맞물려 1930년대 후반부터 북방 소재의 노래들이 많이 나왔는데 이들 노래에서는 ‘아가씨’를 주로 사용해 북방 지역 여성을 아름답고 신비로운 존재로 표현하였으며 대륙침략을 미화시키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 사랑과 이별 소재의 노래에서 여성은, 지배권력과 창작자 그리고 청자의 욕망-지배의 용이, 생존과 번영, 즐거움과 치유-이 복잡하게 얽혀 ‘사랑지상주의’, ‘순애보적 여성상’으로 발현됐다.

keywords
일제 강점기, 식민지, 케이팝, 대중가요, 여성, 사랑, 이별, Japanese colonial period, colony, K-POP, pop song, female, love, breakup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onnections between nouns describing female and pop songs with the subject of love and breaku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as well as its consequenc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p songs themed with traditional subjects mainly used the term ‘agassi or miss’, and ‘virgin’ to describe the passive image of female while the term ‘bride (or wife)’ and women were used to describe the sorrow by integrating the word ‘ocean’. The songs with the subject of Korean geisha or gisaeng described those geishas’ strong will of lamentation and integrity while the songs with the subject of modern girl used the term ‘miss’ to describe the sarcasm. Fac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late 1930, the number of songs describing the subject of northern part of Korea rose. Those songs used the term ‘agassi, or miss’ to describe the women from northern region as pretty and mysterious existence as well as to romanticize the Japanese colonization. In the songs, authority-creator-audience’s desire to ease the domination, survival and prosperity and excitement and healing were mixed intricately which, in the end, was crystallized into the norm of ‘the supremacy of love’ and ‘the image of female seeking pure love.

keywords
일제 강점기, 식민지, 케이팝, 대중가요, 여성, 사랑, 이별, Japanese colonial period, colony, K-POP, pop song, female, love, breakup

참고문헌

1.

한국 유성기 음반: http://www.sparchive.co.kr/

2.

KPOP ARCHIVE: http://www.k-pop.or.kr

3.

구인모, 「근대기 유행가요와 ‘정서의 구조’」, 『국제어문』 64, 국제어문학회, 2015, 121-154쪽.

4.

길진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 속의 ‘서울-모던-여성’의 풍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57-96쪽.

5.

김용찬, 「문학에서의 화자와 여성: 시조에 구현된 여성적 목소리의 표출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67-93쪽.

6.

서지영, 「식민지 시대 까페 여급 연구 - 여급 잡지 『女聲』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19, 한국여성학회, 2003, 31-73쪽.

7.

심영보, 『월드뮤직』, 해토, 2005,

8.

안대희, 「18세기 여성화자시 창작의 활성화와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127-156쪽.

9.

이소영, 「1950년대 한국대중음악의 이국성」, 『대중서사연구』 14, 대중서사학회, 2006, 321-332쪽.

10.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11.

이형대, 「일제시기 대중가요와 식민지 여성 현실」,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533-566쪽.

12.

장유정, 『오빠는 풍각쟁이야-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민음사, 2006.

13.

장유정, 「20세기 전반기 기생 소재 대중가요 노랫말 분석」, 『한국문화』 35,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5, 89-117쪽.

14.

장유정, 「이하윤 대중가요 가사의 양상과 특성 고찰」, 『한국민요학』 28, 한국민요학회, 2010, 147-177쪽.

15.

장유정, 「1930년대 기생의 음악활동 일고찰 - 대중가요 가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제30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4.

16.

장유정․서병기 『한국대중음악사개론』, 성안당, 2015.

17.

주창윤, 「1920-1930년대 ‘모던 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보』 52, 한국언론학회, 2008, 186-206쪽.

18.

한준․한신갑․장유정․권도희, 「한국 근대적 음악계의 형성과 분화」, 『문화와 사회』 10,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253-288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