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JIDB) /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E)2233-5382
2017, v.8 no.6, pp.51-60
https://doi.org/https://doi.org/10.13106/ijidb.2017.vol8.no6.51.
정명희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Jungwon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keywords
Family Cohesion, Self-Control Capability, Social Activity of Elderly, Welfare for the Age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and recognition of family cohesion of the elderly who are exposed to the current aging society. In addition, the study has delved into the method of family cohesion improvement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mediator effect of how the results have effects on the elderly's self-control capabi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as targeted the elderly who are attending the elderly university among users in seven community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e study has also conducted a survey by the format of a half-structured questionnaire. It is aiming to investigate the elderly's family cohesion with children and their self-control capability, and understand their satisfaction of social activity to help successful elderly life. The study has suggested the following as mentioned. First, the study analyzed that the perceptual factor of family cohesion with children would be deducted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Seco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would be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al analysis between the elderly's family cohesion and social activity. Results - The family cohesion with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it show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improvement of the elderly's self-control capability. Therefore, creating fellowship through meaningful conversation with children would be needed.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and consultant service would be offered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ag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rough this, the elderly will be able to have not only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but also increased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as well. Conclusions - It is needed that not only supporting policies for children who take care of aged parents but also that the elderly who need long-term care could meet their children whenever they want through increased numbers of sanatoriums operated by cities and countries. In addition, the nation would offe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continuously so that people receive the benefits from sanatoriums located in the locality of children's residence beyond the elderly's residence. Moreover, social infra would be established as well.

keywords
Family Cohesion, Self-Control Capability, Social Activity of Elderly, Welfare for the Age

참고문헌

1.

Chang, J. K. (2004). A Study of the Elderly’s Attitudes to Dating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2), 31-54.

2.

Chug, K. S., & Lee, S. M. (2011). Special Theme: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Korean National Identit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1), 45-73.

3.

Federico, C. (2005). Racial perceptions and evaluative responses to welfare: Does education attenuate race-of target effects?. Political Psychology, 26(5), 683-697.

4.

Han, G., & Yoon, S. (2001). Living arran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2), 163-178.

5.

Kang, H. S., & Kim, T. H. (2002). A Qualitative Study on the Spouseless Elder’s the Sexual Desire and Types of its Solu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3), 127-151.

6.

Kim, J. J.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 Healing Stories for Social Integration: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in Seongnam-si, Gyeonggi-do. Journal of Social Contribution, 1(1), 2-5.

7.

Kim, J. J. (2014). A Study on the Role of the Leader in the Organizational Life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the Changing Consciousness among the Traders: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in Seongnam-si, Gyeonggi-do. Journal of Social Contribution, 1(2), 6-10.

8.

Kim, J. J. (2016). A Study on the Change of Conscious Thinking Process and Moral Reasoning in Social Welfare. Journal of Social Contribution. 3(1). 2-6.

9.

Kim, Y. K. (2015).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s of Masstige & Consumer Happines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3(1), 105-118.

10.

Kim, S. Y., Kim, S. G., & Seo, H. J. (2011).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late life widowhood: Testing mediation model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3), 165-196.

11.

Kim, S. Y., Ko, S. G., & Kwon, J. H. (2007).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Widowed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3), 573-596.

12.

Lee, D. G., & Lee, M. J. (2014).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Performanc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2(9), 101-112.

13.

Lee, J. U. (2010).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0(3), 709-726.

14.

Lee, J. H., & Kim, K. K. (2012). Determinants of Korea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cusing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attainment. Educational Sociology Review, 22(3), 1-24.

15.

Manzoli, L., Villari, P., Pirone, G. M., & Boccia, A. (2007). Marital status and mortality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64(1), 77-94.

16.

Park, C. S., & Bae, N. R. (2005). A study on the remarriage of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2), 115-132.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JI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