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parents-related variables and self-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자아관련 변인 및 부모관련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해 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정책적 제안을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8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문제행동은 부모애착, 부모폭력, 부모감독과 같은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존중감, 자아통제 같은 자아관련변인에 따라 어느 정도 예측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관련 변인은 부모관련 변인에 비해 문제행동에 보다 직접적이고 깊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문제행동 중 우울 불안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은 자아관련변인 중 부정적 자존감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은 자아통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감독의 횩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은 이 연구의 가장 흥미로운 점이라 할 수 있다.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높은 부모감독수준은 초등학생의 공격성 수준을 높였다. 반면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높은 부모감독수준이 자아통제수준을 높임으로써 공격성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arental attachment, family violence, parent supervision, self-esteem, self-control, 문제행동, 부모애착, 부모폭력, 부모감독, 자아존중감, 자아통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s-related variables and self-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ith 2844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y are the 2005 panel of Korean Youth Panel Study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e effects of parnets-related variables such as parental attachment, family violence, and parent supersion, and self-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and self-control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elf-related variables, in comparison with parents-related variables. are more likely to have direct and considerable influence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self-esteem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direct and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 supersivion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direct effect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creases as the level of parent supervision increases.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parent supersion increases, the level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ecreases through increasing the level of self-esteem. These findings are thoroughly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6-07-15
수정일Revised Date
2006-08-2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6-08-26

참고문헌

1.

(1994) 청소년기 가족문제-청소년이 겪고 있는 가족 내 문제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

(2005)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

(2001) 사회계층과 범죄행위 간의 관계: 자녀양육 및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4.

(1993) 어머니 관련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종단적 자료의 인과적 분석,

5.

(1994) 개인의 자기 통제력이 범죄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7.

(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1993) 학교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9.

(1996)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0.

(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구축,

11.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현적, 내면적 부적응 행동,

12.

(2001)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3.

(2004) 청소년비행원인들의 연합효과에 대한 검증, 한국청소년개발원

14.

(1996) 비행의 조기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 간의 관계,

16.

(1996)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17.

(2001) 어머니의 감독 및 감독방법이 청소년의 외현화, 내면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18.

(1990)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 아동기 자녀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19.

(2001) 유아의 문제행동과 양육태도,

20.

(1997a) 아동후기 초등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21.

(1997b)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내적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22.

(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부적응 생활사건,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원과 부적응에 관한 종단 연구,

23.

(1991) 청소년 범죄행동 유발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24.

(2001) 시설보호 아동이 자아정체감 및 내적인 동제소재와 보육사가 평가한 행동문제,

25.

(2002) 청소년의 애착, 자아존중감 및 충동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26.

(2004) 청소년 초기 자아존중감 발달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맥락 변인들의 관계: 긍정적 자아 평가와 부정적 자아 평가를 중심으로,

27.

(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또래수용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28.

(2001) 전국청소년 문제행동 실태조사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9.

(2003) 구조방정식모델, 석정

30.

(1998)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부산실내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31.

(2002) 어머니의 자녀 감독지식과 근원에 관한 연구,

32.

(2001) 학령기 아동의 자기보호와 부모감독에 따른 또래관계 및 인지넉 자기 능력지각,

33.

(2002)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34.

(1997)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심리적 변인 분석,

35.

(2003)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6.

(2003) 청소년의 도덕적 금지행동과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간의 인과관계,

37.

(2003) 구조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38.

(1981) Behaviour problems and competencies reported by parents of normal and disturbed children aged four through sixte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39.

(199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0.

(1992) Parental Support and Control as Predictors of Adolescent Drink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43.

(2001)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Predictions to physical violence in different contex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caregiving behavior,

44.

(1999) Conditions underlying parents' knowledge about children's daily lives in middle childhood: Between-and within-family comparisons,

45.

(1990) Parental monitoring and perceptions of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conduct in dual and single-career families,

46.

(1994) Self-restraint as mediator of family inquent behavior:A longitudinal study,

47.

(1984) Frameworks for analysis Disruptive behaviour in schools,

48.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49.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of in Crime and Delinquency,

50.

(1988) Developmental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Early to middle childhood,

51.

(1979) Phenomenology and treatment of anxiety,

52.

(2001) Parent-child attachment and monitoring in middle childhood,

53.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54.

(1993)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uring mother-teen problem-solving,

55.

(2003) Parents' monitoring-relevant knowledge and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Evidence of correlated developmental changes and reciprocal influences,

56.

(2003) Change in parents' monitoring knowledge: Links with parenting, relationship quality, adolescent beliefs, and antisocial behavior,

57.

(2001) Understanding desistance from cri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1986)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linquent behavior in three ethnic groups An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59.

(1984) Boys who fight at home and school:family conditions influencing cross-setting consistency,

60.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Handdook of Child psychology,

61.

(1997) Romanticism and self-esteem among teen mothers,

62.

(1988)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1984) The correlation of family management practices and delinquency,

64.

(1989) protective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65.

(1994)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66.

(1957) Patterns of child-rearing,

67.

(1994) Overtime changes in adjustment and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68.

(1982) Reading retardation and antisocial behaviour,

69.

(1994) working with parents,

70.

(1994) 청소년기 가족문제-청소년이 겪고 있는 가족 내 문제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71.

(2005)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72.

(2001) 사회계층과 범죄행위 간의 관계: 자녀양육 및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73.

(1993) 어머니 관련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종단적 자료의 인과적 분석,

74.

(1994) 개인의 자기 통제력이 범죄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5.

(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76.

(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7.

(1993) 학교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8.

(1996)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79.

(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구축,

80.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현적, 내면적 부적응 행동,

81.

(2001)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82.

(2004) 청소년비행원인들의 연합효과에 대한 검증, 한국청소년개발원

83.

(1996) 비행의 조기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4.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 간의 관계,

85.

(1996)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86.

(2001) 어머니의 감독 및 감독방법이 청소년의 외현화, 내면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87.

(1990)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 아동기 자녀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88.

(2001) 유아의 문제행동과 양육태도,

89.

(1997a) 아동후기 초등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90.

(1997b)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내적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91.

(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부적응 생활사건,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원과 부적응에 관한 종단 연구,

92.

(1991) 청소년 범죄행동 유발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93.

(2001) 시설보호 아동이 자아정체감 및 내적인 동제소재와 보육사가 평가한 행동문제,

94.

(2002) 청소년의 애착, 자아존중감 및 충동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95.

(2004) 청소년 초기 자아존중감 발달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맥락 변인들의 관계: 긍정적 자아 평가와 부정적 자아 평가를 중심으로,

96.

(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또래수용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97.

(2001) 전국청소년 문제행동 실태조사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98.

(2003) 구조방정식모델, 석정

99.

(1998)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부산실내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100.

(2002) 어머니의 자녀 감독지식과 근원에 관한 연구,

101.

(2001) 학령기 아동의 자기보호와 부모감독에 따른 또래관계 및 인지넉 자기 능력지각,

102.

(2002)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103.

(1997)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심리적 변인 분석,

104.

(2003)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05.

(2003) 청소년의 도덕적 금지행동과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간의 인과관계,

106.

(2003) 구조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107.

(1981) Behaviour problems and competencies reported by parents of normal and disturbed children aged four through sixte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08.

(199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09.

(1992) Parental Support and Control as Predictors of Adolescent Drink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10.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1.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112.

(2001)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Predictions to physical violence in different contex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caregiving behavior,

113.

(1999) Conditions underlying parents' knowledge about children's daily lives in middle childhood: Between-and within-family comparisons,

114.

(1990) Parental monitoring and perceptions of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conduct in dual and single-career families,

115.

(1994) Self-restraint as mediator of family inquent behavior:A longitudinal study,

116.

(1984) Frameworks for analysis Disruptive behaviour in schools,

117.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8.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of in Crime and Delinquency,

119.

(1988) Developmental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Early to middle childhood,

120.

(1979) Phenomenology and treatment of anxiety,

121.

(2001) Parent-child attachment and monitoring in middle childhood,

122.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123.

(1993)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uring mother-teen problem-solving,

124.

(2003) Parents' monitoring-relevant knowledge and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Evidence of correlated developmental changes and reciprocal influences,

125.

(2003) Change in parents' monitoring knowledge: Links with parenting, relationship quality, adolescent beliefs, and antisocial behavior,

126.

(2001) Understanding desistance from cri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7.

(1986)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linquent behavior in three ethnic groups An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28.

(1984) Boys who fight at home and school:family conditions influencing cross-setting consistency,

129.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Handdook of Child psychology,

130.

(1997) Romanticism and self-esteem among teen mothers,

131.

(1988)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32.

(1984) The correlation of family management practices and delinquency,

133.

(1989) protective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34.

(1994)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135.

(1957) Patterns of child-rearing,

136.

(1994) Overtime changes in adjustment and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137.

(1982) Reading retardation and antisocial behaviour,

138.

(1994) working with parent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