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놀이문화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전자오락의 사용유형(실태) 및 영향력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전통놀이를 소재로 한 오락프로그램 제작 가능성을 진단하여, 건전한 전자오락 프로그램 개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서울, 천안, 전주지역에서 군집표집방법으로 추출된 1295명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들이었다. 조사결과, 청소년들의 여가 생활에서 전자오락이 차지하는 비중, 평균 오락 사용시간, 오락 행동의 동기, 프로그램 선호도등에 대한 준거적 자료를 얻었으며 오락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놀이에 대한 청소년들의 이미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고 전자오락 프로그램의 소재로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청소년들이 많았으나, 그들이 알고 있는 전통놀이는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상에서 조사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청소년들이 전자오락을 건전한 여가생활로 즐길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전통놀이의 계승 및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전자오락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개발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심리학자, 부모, 사회, 기업, 정부의 역할을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series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video /computer game softwares by examining the usage pattern and the effects of the video /computer games which have been settled down as an important leisure activity in Korean adolescents and by exploring the application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games to the video /computer game software design. Subjects were 1295 students from middle-schools, high-schools, and colleges in Seoul, Chun-Ahn, and Chun-Ju. The results provided the reference data on the importance of video /computer game in the adolescent leisure activity, the average hours of playing video /computer game softwares, the preference list of video /computer game softwares, the motivation of playing video /computer game, the positive function as well as negative functions of video /computer game, and so on. It was also found that most adolesc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Korean traditional culture games although they recognized only a few culture games. Based on those data, th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computer game software are proposed not only to help adolescents enjoy video /computer game as a sound and useful leisure activity, but also to activa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games and inherit them to adolescents. Finally, the roles that parents, industries, government and psychologists should play in this proces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첫째, Lapsley 등(1987)의 통합가설이 제시하는 분리개별화 과정과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의 관계를 검증하고, 둘째, 자아중심성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자아중심성과 청소년의 심리사회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셋째, 이러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자아중심성의 두 하위구인에 포함된 개념적 특성과 두 구인 간의 내용타당성을 추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래서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와 4년제 대학 및 전문 대학의 남, 여학생 83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자아중심성(NIAS /NPFS)와 분리개별화 과정(SITA), 그리고 자아개념 척도(SIQYA)에 대한 자기보고식 반응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아중심성과 분리개별화 과정간의 정적 관계를 보여,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이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할 때 생기는 방어적 행동특성이라는 Lapsley의 가설을 지지했다. 특히 자아중심성의 두 하위구인인 상상속의 청중과 개인적 우화는 분리개별화 과정의 하위영역들과 각각 서로 다른 관련을 맺고 있어, 자아중심성의 두 하위구인이 서로 구분되는 개념임을 시사했다. 즉, 상상속의 청중은 부모로부터 떨어져 혼자가 되는데 대한 불안(분리불안)과 관련이 있었고, 개인적 우화는 자신의 내적상태와 능력에 대한 지나친 관심(자기몰입), 그리고 대인관계에서 상대에게 의존 욕구를 표현하지 않으려는 행동(의존부정)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자아중심성과 자아개념(심리사회발달)과의 관계에서 상상속의 청중은 자아개념의 모든 영역과 부적 상관을 보여 부정적 자아개념과 관계가 있는 반면에, 개인적 우화는 모든 영역과 정적 상관을 보여 긍정적 자아개념을 보였다. 따라서 자아중심성의 두 구인이 일반적 부적응 및 적응잠재력 차원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 두 하위개념을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통칭해서 사용하는데 의문을 제기했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상속의 청중과 개인적 우화가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의 두 하위구인으로 상정되어 있으나, 이 두 개념은 실제로 그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그 두 가지 개념 간의 상호관계도 다름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had three major purposes as follows ; 1) to explore the relations of individuation separation with adolescence egocentrism ; 2)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of adjustment and the egocentrism, in order to confirm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egocentrism on adolescent development ; 3)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ation of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which are the subconstructs of adolescence egocentrism. Eight hundred and thirty-two Korean adolescents, who are composed of 293 in early ( average age ; 12.8, man ; 138 / woman ; 155 ), 291 in middle (average age 15.7, man ; 141 / woman ; 150), and 248 in late adolescents (average age 19.8, man ; 108 / woman ; 140), answered the adolescence egocentrism scales(NIAS / NPFS), the secondary individuation separation scales(SITA), and the self-image scales(SIQYA). Data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tion separation was positively and linearly related with egocentrism, which agreed with Lapsley's hypothesis(1987). Especially, even though both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are the subconstructs of adolescence egocentrism, they were correlated with different domains of individuation separation ; imaginary audience is related with separation anxiety, while personal fable is related with self-involvement and need denial. It also showed that imaginary aud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domains of self-image, while personal fabl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m. From these results al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are different concepts and also have different effects on adjustment.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both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may not be the subconstructs of adolescence egocentrism, but rather indicate two distinctive adolescent phenomena.
본 연구는 또래로부터 잘 수용되지 못한 경험이 청소년 초기의 고독감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그러한 경험이 행동특성 및 갈등해결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서울시와 인근 지역 3개 중학교 2학년(총 9학급)에 재학중인 남자 청소년 454명(평균 연령 13.68세, SD=.48)을 대상으로 사회측정법을 통하여 5가지 또래지위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즉 인기있는 집단, 논쟁거리인 집단, 보통집단, 무시되는 집단, 그리고 배척받는 집단으로 나누었고, 또래의 거명을 통해 8가지 행동특성과 세가지 갈등해결전략을 측정하였으며, 자기보고법으로 고독감 및 비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인기있는 집단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고, 논쟁거리인 집단은 협동을 잘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무시되는 집단은 비주장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배척받는 집단은 부정적인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갈등해결전략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있었는데, 인기있는 집단은 갈등상황에서 타협을 통해 조용히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 논쟁거리인 집단이나 배척받는 집단은 화를 내어 보복하는 전략에 의존하였다. 그리고 무시되는 집단이 고독감 및 사회적 불만족을 가장 많이 느꼈으며, 논쟁거리인 집단과 배척받는 집단이 비행을 가장 많이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의 수용이 정서적 및 행동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우정관계 및 그 관계의 질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behavi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loneliness, and delinquency associated with peer acceptance in early adolescence. Second grade middle school male students (N = 454) were administered with the following six measurements: positive and negative sociometric nominations, peer behavioral assessment item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a newly developed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perceptions of the behavioral correlates of five sociometric status groups were found to reveal distinct profiles. Second, in term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rejected and the controversial students were viewed as using the anger retaliation strategy more than did the popular, the neglected, and the average students. And the popular subjects were viewed as using a calm approach to conflict resolution more than other subjects. Third, the neglected students were found to report higher levels of loneliness. However, the rejected students did not differ on this dimension from the average status students. Finally, with regard to delinquency, the controversial and the rejected students were found to report higher rates of antisocial acts. Result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adjustment. Replication of the present findings with other samples is clearly needed.
대구에 거주하는 남여 대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정체감 지위와 친밀성 지위 간의 상관을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알아 본 결과, 정체감 지휘의 가치영역에서 확산요인이 낮을수록 친밀성 지위의 자율성 요인이 증가하며, 정체감 지위의 가치영역에서 조기완료 요인이 증가할수록 친밀성 지위의 요인이 낮아지고 정체감 지위의 가치영역에서 성취수준 요인이 증가할수록 친밀성 지위의 개방성 요인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남학생들에게서는 정체감 지위의 가치영역에서 확산 요인이 낮을수록 친밀성 지위의 자율성 요인이 증가하고 정체감 지위의 가치영역에서 모러토리움 요인이 증가할수록 친밀성 지위의 협동성 요인이 증가화며, 여학생들은 정체감 지위의 가치영역에서 성취수준 요인이 증가할수록 친밀성 지위의 개방성 요인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체감 위기의 해결이 성숙한 친밀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아울러 정체감 형성을 어느 정도 형성한 대학생은 친밀성도 역시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친민성의 하위요인에서 성별차이를 보인 점에 대해서는 각 하위요인별로 보다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rasp correlation in the status formula between identity and intimacy, based on sexual differences through the method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For this research, we surveyed at random one hundred and fifty male and female collegians whose ages range in early adulthood. In comparative discussion of the earned results with the precedent research results, we can conclude as follows: 1. The more the factor of the diffusion of identity status in the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autonomy of intimacy status is low. 2. The more the factor of the foreclose in the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autonomy of intimacy status is low. 3. The more the factor of the achievement of identity in the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openness of intimacy status is high. 4. The more the factor of the diffusion of identity status in the value area is low, the more autonomy of intimacy status is high. 5. The more the factor of the moratorium of identity in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cooperation of intimacy status is high. 6. The more the factor of achievement of identity in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openness of intimacy status is high. 5. The more the factor of the moratorium of identity in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cooperation of intimacy status is high. 6. The more the factor of achievement of identity in value area is high, the more the openness of intimacy status is high.
이 연구는 한국 아동들과 성인들에서 산수지식이 어떻게 표상되어 있고 또 어떻게 access 되는지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1 에서는 국민학교 3 학년들과 대학생들이 정답, 관련오답 (더하기에서는 문제의 곱 ; 곱하기에서는 문제의 합), 또는 무관련 오답 (문제와 관련이 없는 오답) 과 같이 제시되는 곱하기와 더하기 문제를 보고 답의 정오를 판단했다. 곱하기에 대한 아동들과 성인들의 반응은 무관련오답 조건보다 관련오답 조건에서 더 느리고 더 부정확했으나 더하기에서는 남아들만 이러한 경향을 보였다. 실험 2 에서는 국민학교 3 학년들과 대학생들이 (실험 1 에서 사용된) 크기가 작은 문제가 제시되고 150 msec, 540 msec, 또는 930 msec 후에 제시된 답의 정오를 판단했다. 실험 1 과는 달리 성인들의 반응은 더하기와 곱하기 모두에서 무관련오답 조건보다 관련오답 조건에서 더 느리고 더 부정확했다. 그러나 아동들은 실험 1 과 같이 곱하기에서만 이러한 경향을 보였다. 더 중요하게는 관련오답으로 인한 방해효과가 답이 문제보다 540 msec 후에 제시될 때 가장 컸다. 실험 1 과 2의 결과는 산수지식이 관련 node 들의 연합망으로 표상되며 이 연합망을 통한 자동적 활성화의 확산으로 인출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retrieval of arithmetic facts in Korean children and adults. In Experiment 1, addition and multiplication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three kinds of answers: correct answers, related incarrect answers (products for addition problems and sums for multiplication problems) or unrelated incorrect answers. Children in grade 3 and college students determined if the stated answer was correct. Children's and adults' responses to multiplication problems were slower and less accurate when the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related incorrect answers than when the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unrelated incorrect answers. In Experiment 2, the answers followed presentation of the small problems by 150, 540 or 930 msec. Children in grade 3 and college students determined if the stated answer was correct. Adults's responses to addition and multiplication problems were slower and less accurate when the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related incorrect answers than when presented with unrelated incorrect answers. Children's responses showed a same trend only in multiplication. More importantly, interference effect was greatest at a SOA of 540 msec.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suggest that arithmetic knowledge is represented in the associative network of related nodes and accessed by means of the spreading of activation through this network as was suggested in many current models.
FTII를 사용하여 측정한 시각재인 기억 능력이 이후의 지능을 예측하는데 타당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음에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뿐 아니라 내적 신뢰도가 낮다는 것이 FTII 검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FTII 수행의 비안정성 문제에 관한 설명을 찾고자 한다. 수정후 연령이 67주에서 92주 사이의 미숙아(12명)와 만숙아(40명), 모두 52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컴퓨터용 FTII 검사와 Bates의 영아기질 검사(ICQ)를 실시하였다. 새로 개발된 컴퓨터용 FTII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6명의 영아에서 1주일 이내에 컴퓨터용 검사와 원 FTII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원검사의 평균점수가 더 높긴하나 이들 간의 상관은 유의미하였다(r=.682, p<.005). FTII수행과 기질점수에 있어서 연령효과와 집단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질의 네차원 중 둔감성차원 만이 FTII의 신기성 선호도를 설명하는데 주 효과가 있었으며(r=-.39, p<.01), 가장 중요한 기질 차원으로 지적되었던 까다로움 차원은 FTII 수행과 유의한 경향만을 나타냈다. FTII는 영아의 기질적 측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FTII의 수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의 상황과 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한다.
Even though the performance in the visual recognition memory tested with FTII proved to be a valid predictor for the later intelligence, the low internal reliability as well as low test-retest reliability have been problematic for the utility of FTII.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fluctuation of the performance in FTII. 52 infants between 67 and 92 weeks of conceptional age were tested with the newly developed computerized version of FTII and their temperaments were measured using Infant Characteristic Questionnaire (ICQ)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Bates (1979). In the separate analyses of 16 infants' performance both in this computerized version of the FTII and the original FTII reveal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it. These 16 infants between 67 and 92 weeks of age were tested twice within a week with the computerized version (tested first) as well as the original FTII. Subjects were from both the full-term (N=40) and premature group (N=12). But there was no age or group differences in both the performance of FTII and the ratings of the ICQ.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mong 4 dimensions of temperament such as difficulty, adaptability, dullness and unpredictability the dimension of dulln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novelty preference (r=-.39, p<.01). It explained 15. 3% of the variance of visual recognition memory tested with FTII. The dimension of difficulty which has been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temperamental aspect was correlated only marginally with the performance of FTII, r=-.23, p<.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of FTII can be influenced by the temperament of infants and the complex interaction of the temperament and the situational variability may contribute the variability of performance in the infant intelligence tests such as FTII.
본 연구는 아동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을 때 그 피드백의 효과가 이후 유혹상황예서 아동의 정직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국민학교 2학년 아동 81명(남아 37명, 여야 44명, 평균연령 7.44세)과 6학년 아동 83명(남아 44명, 여아 39명, 평균연령 11.6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회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음에 담임교사가 모든 피험자들에게 도덕판단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3일이 경과한 뒤에 도덕판단력 검사결과와는 관계없이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에게만 긍정적 피드백을 주었고, 곧이어서 1차 정직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 정직행동실험을 실시한 다음 2주일 경과후에 피드백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기 휘한 2차 정직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정직행동실험에서는 긍정적 피드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2차 정직행동실험에서는 긍정적 피드백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피드백을 받았던 아동집단이 피드백을 받지 않았던 아동집단에 비해 더 많은 정직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피드백이 아동들의 정직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feedback on honesty behavior and its maintenance in children. The number of subjects was 81 second grade pupils(37 males, 44 females) and 83 sixth grade pupils(44 males, 30 femal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condition. The experiments were made twice. In the first experiment, we tested the moral judgement of subjects. After 3 days, the subjects got positive feedback without having relation to the tested results. And the lst honesty behavior experiment was made. After 2 week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maintenance of feedback, the 2nd honesty behavior experiment wad made. As a result of it, in lst honesty behavior experiment, positive effects wasn`t taken. But in 2nd experiment, the effect appeared. That is, children in feedback condition behaved more honestly than children in no feedback condition. It means that the positive feedback takes positive effect on children.
부모가 알코올문제를 가지고 있는 가정은 부모의 정신병리적 문제만이 아니라 빈곤, 폭력, 갈등같은 다른 여러 부정적인 특징들을 빈번히 보고하고 있다. 이런 요인들이 밀집한 위기가정일수록 아동이 정신병리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위기가정이 안고 있는 중다적인 문제를 파악하는 것만으로 아동의 부적응의 발달이 설명될 수는 없다. 위기가정에서 발견되는 변인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적용에 영향을 준다. 특히 부모가 커다란 역할을 하는 아동의 초기 발달단계에서 부모변인들이 어떤 인과적 관계를 가지면서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지 그 과정이 밝혀져야 한다. 변인들간의 인과적 관계가 밝히는 중다변인모델이 위기가정이 가지고 있는 체계와 기능을 잘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기가정환경의 다른 변인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체 특정 변인과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하겠다.
Families with parental alcohol problem are frequently described as showing not only poverty, violence, and family conflict but also parental psychopathological problems. Children of alcoholic families may be at great risk for the development of psychiatric disorder if they are exposed to such environment with dense risk factors.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outcome of child by finding out only multiple problems of his risk environment. Without considering interelations among variables describing the functioning of alcoholic families it is impossible to infer how and why certain characteristics of either the child or the environment are casually related to developmental outcome. Especially a process model of the functioning of young alcoholic families will display how parents are involved in developmental process of their young children. Adaptation as well as maladaptation of child at risk will be explained by multivariate process model showing dynamic functioning of risk family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3세부터 5세 아동들이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나이와 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사람을 분류하기 위하여 이러한 범주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한 유아원의 아동을 남녀 비율이 갖고 평균 나이가 유사하도록 3, 4, 5세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연령집단에 24명씩, 총 72명을 선정하였다. 나이와 성에 대한 아동의 이해 발달을 보기 위하여는 지식순서 과제가 사용되었고, 사람분류를 위한 두 범주의 사용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사람분류과제가 사용되었다. 특히, 이 두 범주에 대한 이해의 발달을 통하여 발달심리학에서 논의가 되고 있는 발달의 순서(developmental sequence)와 수평적 처짐(horizontal decalage)의 문제들을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지식순서과제에서는 나이변화(age growth)와 성불변(sex constancy)에 대한 과제를 각기 5단계로 나누어 두 범주에 대한 이해의 발달적 순서를 보았다. 수평적 처짐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나이변화과제와 성불변과제에서의 수행능력을 비교하였으며, 환경적 지원에 의한 격차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높은지원 조건과 낮은지원 조건에서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람분류과제는 주어진 그림들 중에서 아동이 분류할 사람(자신, 어머니, 아버지)과 동일시하는 사람의 그림을 고르게 하여 분류시 어떤 범주를 사용하는가를 보았다. 결과는 아동이 자신을 분류할 때에는 아동의 지식수준과 사용하는 범주 사이에 상관이 놓았으며, 아버지를 분류할 때에는 실험조건과 과제에 따라 부분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를 분류할 때에는 지식수준과 의미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ildren's learning process of age and gender, two of the most apparent social ro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 Korean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three to five. They were examined to test a developmental sequence and horizontal decalage in understanding of the roles. Two five-step knowledge sequences of age growth and sex constancy were provided utilizing skill theory (Fischer,1980). Each step in a sequence had different stories of age or sex role with increasing cognitive complexity, but the two sequences were equivalent in complexity. The children were tested under two different assessment conditions : high support condition of elicited imitation and low support condition of free play and the best story. The findings are as follow : First, the understanding of age and sex roles develops through the predicted five-step sequences. Second, the understanding of age role seems to develop earlier than that of sex role although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the two roles are similar. Third, variations in the children's performanc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re dramatic, especially for the older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속도분류과제(sorting task)와 특이판단과제(oddity test)에서 나타나는 글자우월효과를 통하여 한글터득의 초보단계에 있는 1학년 아동과 한글을 완전히 터득한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글자의 음운부호화가 글자의 시각적 집단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두 자음을 가능한 한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해야 하는 속도분류과제를 사용하였는데, 분류해야 할 자음의 위치를 초성, 종성, 그리고 단독으로 제시하여 분류시간을 측정한 뒤 단독조건에서의 분류시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성조건에서는 글자우월효과가 있었으나 종성조건에서는 오히려 글자열등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런 효과는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1학년 아동에서만 관찰되었으며 5학년 아동에서는 조건간에 분류시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성조건에서 1학년 아동이 보인 글자열등효과는 음운적으로 구분되는 악/안 계열에서 보다 음운적으로 구분되지 않는 앚/앋 계열 및 앜/앟 계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지각적 수준에서의 처리를 잘 반영하는 특이판단과제를 사용하여 글자의 음운부호화 용이성이 글자의 시각적 집단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 2에서는 ㄱ/ㄴ 또는 ㄷ/ㅈ에 ㅏ, ㅑ와 같은 모음 또는 / 와 같은 무의미 철자를 첨가하여 글자의 음운부호화가 용이한 조건(ㅏ 첨가조건)과 용이하지 않은 조건(ㅑ 첨가조건)에서의 글자우월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운부호화가 용이한 ㅏ 첨가조건에서는 글자우월효과가 나타난 반면 음운부호화가 용이하지 않은 ㅑ 첨가조건에서는 글자우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별로 보면 1학년의 경우 ㅑ 첨가조건이 ㅏ 첨가조건에 비해서 더 많은 시간이 소용된 반면 5학년의 경우는 두 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1학년 아동들은 음운부호화가능성이 글자의 시각적 집단화에 영향을 주는 반면 5학년 아동들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으로 수렴하고 있다. 실험 3에서는 분류해야 할 자음들에 대한 선태적 지시를 주지 않았는데 실험 2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이 한글터득과정에서의 음운부호의 중요성과 읽기 기술을 획득하는 초기 단계에서의 음운정보처리와 함께 논의되었다.
This paper was purpor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honological codability of Korean letter on letter's visual grouping in 1st grader of beginning readers, and 5th grader, skillful readers. To see the visual grouping, letter superiority effect was measured in speeded card sorting task and oddity task.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two variables, consonant location and consonant type, and compared the card sorting time in three conditions, initial consonant condition, final consonant condition, and consonant alone condition. The result was that 1st graders show the superiority effect in initial consonant condition but show inferiority effect in the final consonant condition. On the contrary, 5th grad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mong conditions. Another result was that inferiority effect was greater for 악 / 안 condition which are phonologically different each other than 앋/앚 and 앟/앜 condition which are phonologically indifferent each other. In experiment 2, using oddity test, we manipulated phonological codability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 type ( ㄱ / ㄴ, ㄷ / ㅈ ) and vowel type ( ㅏ , ㅑ ). The result was that in 1st grade the superiority effect was seen only in ㅏ addition condition where letters are phonologically more codable than in ㅑ addition condition but not in 5th grader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converged that 1st grader's visual grouping is influenced by the phonological codability but not in 5th graders. In experiment 3, we obtained the same results as experiment 2 in spite of paying no attention to a specific target consonant as in experiment 2. These results are discussed with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coding on the perception of Korean letters in beginning reader and phonological processing in early stage of reading skill acquisition.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가 단어 의미를 획득하는 초기 언어 발달 시기에 대조성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만 2세 어린이의 언어를 1년 동안 종단적으로 관찰한 녹음 자료에서 살펴 보았다. 어린이가 이전에 들었던 문장에서 구성성분 하나를 다른 단어로 대치하여 말하는 단어 대치 현상에서 서로 대조되는 의미로 사용하는 두 단어는 술어와의 의미 관계에서 서술 가능성이 있는 단어들이었으며, 특히 술어와 대상격, 장소격의 의미 관계를 갖는 단어들은 주로 같은 의미 범주 안에서 대조되었다. 또한 주어로 대조되는 단어들이 술어와 갖는 관련성을 Keil 방식의 서술 가능성이라는 틀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이 시기 어린이도 존재론적 기본 범주를 표상하고 있으며, 존재론적 기본 범주의 위계적인 나무구조에 어긋나는 문장은 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위계적인 범주 표상 방식은 발달에 따라서 점차 분화된다는 사실을 초기 4개월 간의 서술 가능성에 따른 표상 방식을 따로 분석해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Contrast Principle was applied in a two-year olds longitudinal data which was tape recorded once a week for a year. The word substitution game, in which a word in a sentence was substituted for another word, the two or more words were contrasted keeping semantic relations with the predicate. The contrasted words kept the predictability with the predicate as subject, object or location. We noticed that the contrasted words which was in objective or locative relations were in a same semantic category. As to Keil's predictability tree, we analyzed the subject-contrasted words. Then we can suggest that in such early stage, children represent the similar ontological category as Keil's, and the M constraint are applied. We also could find the differentiation process as the first 4 months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습득과정에서 부정적 증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 아동의 2년 0개월에서 3년 3개월 사이의 종단적 관찰 자료와 2년 0개월에서 4년 11개월 사이의 30명 아동의 횡단적 관찰자료를 분석하였다. 통사적 오류에 대한 분석은 이현진(1992)에서와 마찬가지로 보문자 '거'의 오류, 조사사용에서의 오류, 동사의 어미활용에서의 오류등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문장에 대한 성인의 반응은 다음의 8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 1) 정확반복 2) 축약된 반복 3) 확대된 반복 4) 문장 수정 5) 확인 질문 6) 대화 계속 7) 무반응 8) 명시적 반응. 8개의 범주 중 문장 수정과 명시적 반응만은 비문법적 문장 다음에 주어지고 나머지 6개 범주에 속하는 반응은 문법적 문장과 비문법적 문장 다음에 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현진(1992)에서와 마찬가지로 명시적 반응과 문장 수정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0%-1%). 소위 암시적 부정적 증거로 분류될 수 있는 다른 6개 범주 중'대화 계속'과'무반응'은 암시적 부정적 증거라기 보다는 자연스런 대화의 흐름으로 볼 수 있기에 이 두 범주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나머지 4개의 범주, '같은말 반복', '단축된 반복', '확대된 반복', '확인 질문'에 해당하는 반응은 아동의 문법적 문장과 비문법적 문장에 대해 다른 분포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증거의 정의를 확대하여 암시적 부정적 증거까지를 포함한다 할 지라도 그것이 아동의 비문법적 문장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This study attempts to re-examine whether explicit or implicit negative evidence plays a role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wo data sets are used for analysis. One set consists of longitudinally collected production data from one Korean girl whose age ranges from 2;0 to 3;3. The other set is composed of transcribed conversations from 30 children whose age ranges from 2;0 to 4;11. Four types of syntactic errors that Lee (1992) has used are tabulated with slight modification; 1) the wrongly inserted the complimetizer 'ke'. 2) morphological errors in case-marking patterns. 3) morphological errors in inflectional elements of the verbs. 4) errors of word order in negative constructions. Maternal responses that have followed the children's sentences are a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8 categories; 1) Exact Repetition 2) Contracted Repetition 3) Expanded Repetition 4) Corrective Recast 5) Confirmation Question 6) Topic Continuation 7) No Response 8) Explicit Response. Corrective Recast and Explicit Response are preceded only by the grammatical sentences, while 6 categories except these two are preceded either by the grammatical sentences or the ungrammatical sentences. The overall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ponse rates for Explicit Response and Corrective Recast are extremely low, 2) Adults do not respond differentially to children's well-and ill-formed speech in their use of repetitions and confirmation questions. In conclusion, neither explicit negative evidence nor implicit negative evidence play any role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Our data straightforwardly replicate the results from Lee (1992).
이 연구는 지금까지 발달심리학 연구에서 관심을 얻지 못했던 중재변인 및 조절변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검토하고 중재변인으로서의 자기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한 예비적 시도로 수행되었다. 28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취동기와 통제의 소재 및 자기효율성을 측정하고 언어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성취동기, 자기효율성, 수행과의 관계 및 통제소재, 자기효율성, 수행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회귀분석과 경로분석결과, 개인의 자가효율성은 성취동기와 과제수행 및 통제소재와 과제수행 사이를 매개하는 중재변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발달심리학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들은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을 뿐 독립변인들 사이의 관계나 그것들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못했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중재변인들을 찾아내고 그것들이 시간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확인해 낼 수 있다면 개인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설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iew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mediator and moderator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o confirm the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an empirical research. The levels of the individual achievement motivation,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of the 28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and verbal task was performed to them.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mutual relation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cus of control with the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individual work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ask performance as well as in the relation of the locus of control and task performance. The most of the studies in the field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have concerned only the relation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But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have to seek for the varied mediators and confirm the processes of their change over the life span. As a result we will be able to explain the more phenomena about a man than now.
본 연구는 새로운 단어를 듣는 상황과 비슷한 조건에서 나이 어린 아이들과 성인들이 사물의 이름을 추론할 때 상호배타성 가정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새로운 사물의 이름을 추론하는 상황에서 3세, 5세 아이들 뿐 아니라 성인들도 상호배타성 가정을 강력하게 사용하였다. 또 위계적인 관계가 제시되는 경우 아이들은 그 관계를 학습하는 데 많은 오류를 범했는데, 그 오류의 대부분은 상호배타적인 오류였다. 그러나 어린 아이들도 두 이름이 서로 다른 위계 수준에서 나온 것임을 여러 번 반복해서 학습시키면 하나의 대상에도 두 가지 이름이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였다. 뿐만 아니라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를 듣게 되면 상호배타성 가정을 위반하는 상황을 겸험하고도 새로운 단어를 새로운 대상에 적용시키려는 경향이 강하게 보였다. 또 새로운 단어를 가능한 한 기본 범주로 체제화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새로운 단어를 새로운 대상에 적용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는 하나의 대상에 두 가지 이름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In order for children to acquire language as rapidly as they do, they must have biases that enable them to rule out many alternative hypotheses for the meanings of a word and that lead them instead to focus on hypotheses that are reasonably likely to be correct. One way children initially constrain word meanings is to assume that words are mutually exclusive - that each object has only one label. Although a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can be useful in word learning, it interferes the children's understandings of class inclusion relations. Because class inclusion relations violate a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he study 1 examined whether subjects assume that each object has only one category label. The studies 2, 3, 4 focus on whether subjects accept two label for the same object if they believe that the label denote categories from different levels of a hierarchy. Together, these studies examined whether subjects accept two labels for the same object when one object-one label strategy is no longer possible. The result of study 1 showed that both 3- and 5-year-old children and adults assume words are mutually exclusive-that each object has only one label. This is surprising because adults undoubtedly know many word that name overlapping categories(e. g., dog, animal, pet). This finding suggests that a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would be invariant cognitive constraints. The result of study 2, 3, 4 revealed that 3-and 5-year-old children made quite a few errors in learn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 among categories, and the majority of the errors were treating the labels as mutually exclusive subsets. But they have accepted two labels for the same object if experimenter repeatedly explains about the relations. Together, the result of studies showed that subjects accepted two labels for the same object when one object- one label strategy is no longer possib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may have trouble to deal with the hierarchically organized category terms which violate a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3-year-old children have the capacity to override a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as long as there is enough evidence that two names denote the same 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