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청소년의 학대 경험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TSD)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노나나(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 홍창희(부산대학교) pp.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대 경험이 Complex PTSD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학대 경험과 Complex PTSD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만13세~18세 청소년 4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 중 학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3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대 경험 척도, Complex PTSD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대 경험은 Complex PTSD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학대 경험과 Complex PTSD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Complex PTSD에 유의한 예측력을 가진 변인은 정서학대, 방임, 성학대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학대 경험과 Complex PTSD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는 학대 경험과 Complex PTSD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겪는 심리적 후유증의 심각성, 신체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주지 않는 학대 유형이 심리적 후유증에 미치는 심각성, Complex PTSD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buse experience on complex PTSD in adolescents. It also examined the role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complex PTSD. Data were obtained from 308 adolescents that had experienced abu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buse experience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lex PTSD;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abuse experience and complex PTSD.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abuse, neglect, and sexual abuse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able to predict complex PTSD.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complex PTS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정서행동문제아동을 위한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 이용아동의 특성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노경란(아이코리아 송파아이존) ; 남경인(동대문아이존) ; 양지윤(동작아이존) ; 심종온(서초아이존) ; 김지연(중구아이존) ; 강귀숙(양천아이존) pp.21-40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가정과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기능상 어떤 변화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통합적-발달적 이론에 기반을 둔 아이존은 아동에게 개별치료와 집단치료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부모 및 가족에 대한 개입과 함께 지역사회 연계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한국형 주간치료프로그램이다. 아이존은 중등도 이상의 심각하고 복잡한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 중에서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6년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6년도에는 서울시내 10군데로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정서행동문제로 아이존을 이용한 201명의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186명의 비교집단 아동을 대조하여 이용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이용아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증상 감소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행동, 학업 및 또래관계, 정서, 그리고 몇몇 특수영역에서 기능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이존 주간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한 아동은 중독문제를 제외한 전반적인 영역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Aizone, an After-School Day Treatment Program, with those of their peers, as well as to examine changes in their functioning at home, school, and in the community after participation in the Aizone program. As a treatment center based on an integrated-developmental theory, Aizone is a Korean daytime treatment facility that offers not only individual and group treatment for children, but also provides community-linked services integrated with parent and family intervention. Aizone provides services for children with complex or sever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is especially targeted towards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With the mission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youth through early intervention, Aizone was established in 2006, and as of 2016, has been implemented in ten locations throughout Seoul and is continuing to grow. This study investigates 201 students at Aizone with 186 contro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tending Aizone. Als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measured changes in the children.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 on reduction of symptoms, we used the Chil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to analyze changes in behavior, academics and peer relationships, emotion, and several speci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children at Aizon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arious aspects of function except addiction problem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아(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41-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 간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주의집중문제 및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양상이 병적소질-스트레스 모델(diathesis-stress model)과 차별적 민감성 가설(differential susceptibility hypothesis) 중 어떤 이론에 더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부모 1754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이 3세일 때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부족하거나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아동이 4세에 더 많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경로는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는데, 그 양상은 병적소질-스트레스 모델에 근접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아버지의 영향력을 다루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어머니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더불어 아동의 기질도 함께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dependent effects of paternal positive parenting, child temperament, and their interact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We also explored whether the interactive effect of parenting and temperament, if evident, was more consistent with the diathesis­stress model or the differential­susceptibility hypothesis.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were use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paternal positive parenting and child temperament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Consistent with the diathesis­stress model, children who ha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whose fathers showed lower levels of positive parenting were at most risk for behavior problems. The findings suggest that paternal parenting and child temperament may be a promising target for early prevention of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유치원 아동들의 복사 기술과 단어 읽기 및 단어 쓰기와의 관계
김봉희(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조증열(경남대학교 심리학과) pp.63-8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4, 5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복사 기술과 인지-언어적 능력, 단어 읽기, 받아쓰기 간의 관계에 대하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복사 기술과 단어 읽기, 쓰기 사이에서 어떤 인지-언어적 요인들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나이와 비언어성 지능 및 인지 언어적 요인을 통제한 후 복사 기술이 아동의 단어 읽기와 받아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복사 기술은 받아쓰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단어 읽기에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아가 복사 기술과 단어 읽기 및 받아쓰기 사이에서 인지 언어적 요인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복사 기술과 단어 읽기 사이에서 인지 언어적 요인 중 음절 인식과 철자 지식이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복사 기술과 받아쓰기 사이에서 음절 인식과 음소 인식이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pying skills were related to word reading and writing in 93 kindergarteners, aged 4 and 5. Children were to complete copying tasks, cognitive-linguistic tasks, and reading and writing measur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copying skills would predict word reading and writing. Results showed that copying skills explained word writing but not word reading after controlling for age, nonverbal intelligence, and cognitive-linguistic skills. Multiple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relations of copying skills with literacy were mediated by cognitive-linguistic skills. Different results were observed for word reading and writing; syllable awareness and orthographic knowledge mediated between copying skills and word reading, whereas syllable and phoneme awareness mediated between copying skills and word writing.

사회적 배제 경험과 감사 글쓰기 과제가 얼굴표정 해석 편향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83-1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중립적인 얼굴표정을 해석하는 과제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해석 편향 양상을 살펴보고 그 관계가 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 경험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성인진입기 남녀 8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사회적 배제/수용) X 2(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 유/무) 피험자 간 설계로, 사회적 배제 조작과 감사정서 조작은 각각 사이버볼 게임과 감사 글쓰기 과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처치집단별로 실험 참여자들은 중립적인 얼굴표정 사진을 보고 해당 사진의 사람이 얼마나 거부적으로 그리고 우호적으로 느껴지는지를 각각 평가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 경험 유무와 감사 글쓰기 과제 수행 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감사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중립적인 표정을 덜 거부적으로 해석하였으며, 감사 글쓰기를 하지 않은 통제 조건에서는 사회적 배제 집단이 수용 집단에 비해 중립적인 표정을 더 거부적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감사 글쓰기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중립적인 표정을 더 우호적으로 해석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사회적 배제 경험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ostile cognitive bias in the task of interpreting neutral facial expressions after social exclusion and to find whether gratitud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Eighty-nine emerging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data analysis used a 2(social exclusion/acceptance) X 2(gratitude writing/control) ANOVA. The Cyberball game and gratitude writing task were used to manipulate social exclusion and gratitude respectively. For the interpretation task,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ok at the neutral facial expressions and evaluate the degree of rejection as well as friendliness of each facial ex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gratitude in interpreting neutral facial expressions as rejecting. However, in interpreting neutral facial expressions as friendly, only the main effect of gratitud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therapeutic intervention strategies for negative outcomes of social exclusion were discussed.

상호배타성 가정의 선택적 사용 능력의 발달: 2세와 3세 아동 비교 연구
이현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김은영(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송현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03-115
초록보기
초록

단어와 그 지시체가 일대일로 연결될 것이라는 상호배타성 가정은 아동들이 초기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낯선 단어의 의미를 추론할 때 흔히 적용하는 가정이지만, 모국어와 의미 체계를 공유하지 않는 외국어에 속한 낯선 단어의 의미를 추론할 때에는 보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만 2-3세 아동을 대상으로 외국어 단어에 대해 상호배타성 가정을 보류하는 능력이 언제부터 발달하는지 알아보았다. 모국어 검사 시행에서 모국어 실험자가 친숙 사물과 비친숙 사물을 동시에 제시하고 낯선 모국어 단어(‘무삐’)의 지시체를 요구하였을 때, 아동들은 상호배타성 가정을 적용하여 우연 수준보다 높은 수준으로 비친숙 사물을 선택하였으며, 비친숙 사물을 선택한 비율에 연령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외국어 검사 시행에서 외국어 실험자가 친숙 사물과 비친숙 사물을 동시에 제시하고 낯선 외국어 단어(‘pefo’)의 지시체를 건네 달라고 요구하였을 때에는 연령 간 수행의 차이가 나타났다. 2세 아동은 상호배타성 가정을 적용하여 비친숙 사물을 우연 수준보다 더 높은 비율로 선택한 반면, 3세 아동의 비친숙 사물 선택 비율은 우연 수준과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어 단어에 대해 상호배타성 가정을 보류하는 능력이 적어도 3세에는 뚜렷하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Abstract

Young children readily exploit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hat each object has one category label, when inferring the referent of a novel word. However, one should suspend this assumption when interpreting a word from a foreign language, which does not share the same knowledge of words with one’s native languag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2- to 3-year-olds’ ability to suspend the mutual exclusivity assumption toward a foreign word. In the native language test trials, a Korean-speaking experimenter presented the children with one familiar object and one novel object, and asked the child to pick a referent of a novel Korean word, “muppi”. In the foreign language trials, on the other hand, a Spanish-speaking experimenter presented the child with one familiar and one novel object, and asked the child to pick a referent of a novel Spanish word, “Pefo”. In the native language test trials, children chose the novel object more often than predicted by cha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e foreign language test trials, 2-year-olds again selected the novel object more often than predicted by chance, whereas 3-year-olds’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h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ility to suspend mutual exclusivity in interpreting a foreign word develops between 2 and 3 years of age.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와 부모와의 관계 만족, 행족 및 적응과의 관계
조설애(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정영숙(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117-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의 내용과 구조를 탐색하고,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부모와의 관계 만족과 행복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예비 연구에서 대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지각한 부모의 의미에 대한 개방형 질문의 답변을 수집해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연구에서는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에서 선정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는 총 4개 요인으로 요인 1 ‘사랑하고 실망시키고 싶지 않은 사람’, 요인 2 ‘나를 성인으로 인정하는 사람’, 요인 3 ‘존경하고 지지해주는 사람’, 요인 4 ‘동일시와 부양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었다. 부모의 의미의 각 하위 요인들이 부모와의 관계 만족, 적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의미 중 요인 2와 요인 3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 1, 요인 2, 요인 3이 부모와의 관계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가 가지는 긍정적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부모의 의미를 생성하고 증진시키는 중재를 통해 대학생 자녀의 부모와의 관계 만족을 높이고, 적응과 행복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arents and effects of meaning of paren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Forty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parents were selected by a pre-study in 141 colleg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main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327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4 factors in meanings of parents: factor 1 "the ones who they love and do not want to disappoint", factor 2 "the ones who recognize them as an adult", factor 3 "the ones who support them and can be respected", and factor 4 "the ones who they want to attach to and need to support".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meaning of paren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ing of parents, especially factor 2 and 3 affecte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positively.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aning of par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Intervention that enhance the meaning of parents will increas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adaptation, and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와 부모와의 관계 만족, 행복 및 적응과의 관계
조설애(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정영숙(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117-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의 내용과 구조를 탐색하고,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부모와의 관계 만족과 행복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예비 연구에서 대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지각한 부모의 의미에 대한 개방형 질문의 답변을 수집해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연구에서는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에서 선정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는 총 4개 요인으로 요인 1 '사랑하고 실망시키고 싶지 않은 사람', 요인 2 '나를 성인으로 인정하는 사람', 요인 3 '존경하고 지지해주는 사람', 요인 4 '동일시와 부양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었다. 부모의 의미의 각 하위 요인들이 부모와의 관계 만족, 적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의미 중 요인 2와 요인 3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 1, 요인 2, 요인 3이 부모와의 관계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신의 부모의 의미가 가지는 긍정적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부모의 의미를 생성하고 증진시키는 중재를 통해 대학생 자녀의 부모와의 관계 만족을 높이고, 적응과 행복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arents and effects of meaning of paren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Forty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parents were selected by a pre-study in 141 colleg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main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327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4 factors in meanings of parents: factor 1 "the ones who they love and do not want to disappoint", factor 2 "the ones who recognize them as an adult", factor 3 "the ones who support them and can be respected", and factor 4 "the ones who they want to attach to and need to support".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meaning of paren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ing of parents, especially factor 2 and 3 affecte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positively.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aning of par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happiness and adaptation. Intervention that enhance the meaning of parents will increas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adaptation, and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남자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
박선영(이화여자대학교) ; 설경옥(이화여자대학교) ; 김유나(이화여자대학교) pp.139-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에 근거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 그리고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시하였다. 암묵적 이론에 따른 성취와 적응의 핵심기제인 자기조절능력을 동기로서의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성 발달로서의 친사회성, 발달결과로서의 학업성취와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는 핵심기제로 개념화 하고 각 영역의 유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자 청소년 260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외현화 문제 수준, 교사보고를 통한 친사회성, 객관적 학업성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인 숙달접근목표는 친사회성, 학업성취와 정적관계, 외현화 문제 수준과 부적관계가 있었고, 숙달접근목표와 학업성취, 외현화 문제의 관계를 친사회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회피목표는 친사회성, 학업성취와 부적관계, 외현화 문제 수준과 정적관계가 있었고, 친사회성이 수행회피목표와 학업성취, 외현화 행동문제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접근목표는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친사회성 및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아 친사회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 발달 및 상담과 교육에 갖는 함의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 based on implicit theory. Self-regulation is the primary mechanism that explains the link between implicit theory,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Participants included 260 adolescents and their teachers. The adolescents were surveyed on achievement goal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teachers reported on adolescents’ pro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revealed that a mastery approach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fu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Performance avoidan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partia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A performance approach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bu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ither prosociality nor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 implications for youth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증거성 추론 능력 발달에서 경험의 영향 탐색
유성재(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최영은(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59-176
초록보기
초록

화자가 청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출처는 증거성표지에 의해 표시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제공된 정보의 확실성을 추론하는 능력을 증거성 추론 능력이라고 한다. 증거성 추론 능력은 만 6세 이후에야 성숙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발달에 상당한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입력 언어에서의 사용 빈도에 따라서 발달의 양상이 다르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력 언어의 빈도의 역할이 의미 이해의 촉진을 넘어서 각 증거성표지와 연결된 정보들의 확실성이 다르다는 경험의 축적에 기반한 것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 경험 표지와 연결된 정보는 항상 정확하고, 간접 추론이나 간접 보고로 표시된 정보는 정확도가 50%가 되도록 조정한 내용을 담은 동화를 만들어 증거성 추론 능력이 미성숙된 만 4, 5세 아동에게 제공하고, 일반 동화를 접한 집단과 비교하여 관련 경험의 제공이 증거성 추론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영상으로 동화를 접한 만 5세에서는 촉진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책으로 동화를 접한 만 4세에서는 촉진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 결과에 따라서 증거성 추론 능력 발달에 있어서 관련 경험의 양과 질 외에 다른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source of information conveyed by a speaker is marked with evidential morphemes: whether it was obtained from direct experience, indirect inference, or indirect hearsay. Evidential reasoning refers to abilities to infer the information source and its relative certainty using these evidential markers. It has been reported that evidential reasoning begins to mature after the age of six but this reasoning ability can appear earlier or later depending on the input frequency of evidentials used in each languag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input frequency actually originates from the evidential experience related to each marker. To test this idea, a hide-and-seek play story was created in which information linked with direct experience was always correct wherea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direct inference or hearsay was correct only 50% of the time. Four and 5-year-olds were told this story four times and their evidential reasoning abil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read a story that was unrelated to evidential experience. Four-year-olds who read the story with the experimenter, showed signs of improvement in their reasoning, bu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among 5-year-olds who were shown the story via a video presentation. The role of the type and amount of evidential experience and other cognitive factors underlying development of evidential reasoning abilities were discussed.

성인 여성과 여자 청소년의 사회적 배척 이후 처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유진(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소연(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177-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배척 경험이 부정적 기분과 처벌 행동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이러한 처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인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을 성인 여성과 여자 청소년 집단으로 비교하여 발달적인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초기 성인기 여성, 만 13-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력, 거부 민감성, 또래영향저항력 척도를 실시하였고, 사이버 볼(Cyber ball) 과제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소속 조건, 배척감을 느끼게 하는 배척 조건의 게임에 참여하게 하였다. 또한 독재자 게임으로 참가자가 소속/배척 조건의 팀원들에게 코인을 얼마나 불공평하게 분배하는지를 처벌 행동으로 보고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과 청소년 모두 배척 조건 이후 부정적 기분을 더 많이 보고하였고, 배척 조건의 상대방에게 더 많이 처벌하였다. 처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 성인 여성 집단은 기분이 더 나빠졌을수록, 혹은 또래영향저항력이 낮은 사람일수록 더 많은 처벌을 한 반면, 여자 청소년 집단은 거부 민감성이 높을수록 더 많이 처벌하였다. 이는 사회적 배척 경험 뒤에 나타나는 부정적 기분과 처벌 행동에 연령 집단 간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처벌 행동의 촉발요인은 발달적으로 달라진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즉, 성인 여성에게서는 또래영향저항력이, 여자 청소년에게서는 거부 민감성이 사회적 배척 경험 이후 나타나는 처벌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은 기분 변화나 심리적 고통과 같은 특정 시점의 상태와 달리 비교적 안정적인 개인 내적 특성이 배척 경험 이후 나타나는 처벌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We investigated critic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plaining punishment behavior after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can influence one's behavior and mood; such experience causes the excluded person to develop a negative attitude and take actions intended to punish the excluding parties. Female adults (19 - 24 years old) and female adolescents (13-1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written questionnaires with scales designed to measure their perspective taking, rejection sensitivity, and resistance to peer influence. Each participant subsequently experienced both social inclusion and exclus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Cyber ball task developed by Williams (2000). After the Cyber ball task, participants played a Dictator Game in which they divided coins between themselves and players who had previously either included or excluded them during the Cyber ball task. Punishment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participants’ unfairness in distributing coins to the other party.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both age groups selectively punished people who had excluded them in the Cyber ball task. In the adult group, this tendency towards punishment wa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peer influence and the level of mood change. However, the tendency was associated with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adolesc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both age groups exhibited negative attitudes and punishment tendencies to excluders after social exclusion, the triggering factors of the punishment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oth the resistance to peer influe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found in each age group were related to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not due to changes in mood or social distress.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의 영향
성지현(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pp.195-2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와 교사-유아관계의 질 및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만 4세 유아 94명(남아 49명, 여아 45명)과 어머니, 72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유아 과제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을 관찰하였고, 유아의 과제지향행동과 교사-유아 관계는 교사 보고에 의해,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은 일련의 실험과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모형분석 결과,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는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을 통해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과 유의한 경로가 있었으며, 과제지향행동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두 실행기능 변인을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은 서로 독립적이었으나 모두 과제지향행동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on task-focused behaviors. Participants were 94 children aged 4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Data for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behaviors were observed from mother­child interactions when doing a puzzle and drawing with an Etch-a Sketc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reported by teachers, and their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assessed with a series of tasks provided by an experimenter. Path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cool executive function and influenced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 by mediating cool executive functio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and was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ask-focused behaviors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In addition,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independent but were both significant predictors of task-focused behaviors. These findings confirm mothers’ and teachers’ roles in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nd provide back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s.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인지적ㆍ정의적 실행기능의 영향
성지현(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pp.195-2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와 교사-유아관계의 질 및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 실행기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만 4세 유아 94명(남아 49명, 여아 45명)과 어머니, 72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유아 과제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을 관찰하였고, 유아의 과제지향행동과 교사-유아 관계는 교사 보고에 의해,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 실행기능은 일련의 실험과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모형분석 결과,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는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을 통해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 실행기능과 유의한 경로가 있었으며, 과제지향행동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두 실행기능 변인을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적ㆍ정의적 실행기능은 서로 독립적이었으나 모두 과제지향행동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on task-focused behaviors. Participants were 94 children aged 4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Data for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behaviors were observed from mother­child interactions when doing a puzzle and drawing with an Etch-a Sketc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reported by teachers, and their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assessed with a series of tasks provided by an experimenter. Path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cool executive function and influenced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 by mediating cool executive functio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and was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ask-focused behaviors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In addition,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independent but were both significant predictors of task-focused behaviors. These findings confirm mothers' and teachers' roles in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nd provide back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