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어머니의 내적 변인에 따른 영아와의 신체접촉 유형간 비교 :우울, 태도, 양욱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곽금주(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수정(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pp.1-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내적 변인에 따라 영아에 대한 신체접촉에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적인 규모로 3~36 개월 된 영아를 가진 어머니 960명이다. 어머니의 우울 정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등에 따라 신체접촉에서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우울 정도에 따른 신체접촉 차원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우울 정도에 상관없이 어머니들은 거친 신체접촉 보다는 양육적 신체접촉을 하였다. 하지만 사용한 유형에서는 차이가 있어서 우울이 낮은 어머니가 우울이 높은 어머니들보다 양육적 신체접촉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뽀뽀하기, 쓰다듬기 등의 접촉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영아에 대한 태도와 양육스트레스와 상관없이 양육적 신체접촉이 거친 접촉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영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이 찌르기라는 거친 신체접촉을 더 많이 사용했다.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어머니들도 거친 신체접촉을 더 많이 사용했는데 특히 들어올렸다 내리기를 더 많이 사용했다. 전반적으로 어머니들은 심리 상태가 불편할 때도 자녀에게는 애정어린 신체접촉을 했다. 아마도 한국 어머니들은 내적인 불편함을 자녀에게 보이지 않고 희생적으로 양육한다는 한국 문화권의 양육적 특징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 같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touch patterns to the mother's internal states. 960 mothers of babies aged from 3 to 36 months old were involved. The differences of touch patterns to mother's depression, maternal attitude sca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touch dimensions to mother's depression. Regardless of the depression, mothers used more nurturing touch than harsh touch. However, more severely depressive mothers used the kissing and the stroking of the nurturing touch than mild depressive mothers. Regarding to the mother's attitude and the parenting stress of their infants, more nurturing touch was used than harsh touch. Moreover, mothers with low parenting stress index used many harsh touch patterns than those with high parenting stress index(especially, they used lifting). In general, although Korean mothers are internally uncomfortable, they affectionately touched their infants. This could be explained with korean culture in which mothers do not usually express their internal uncomfortableness.

사건 회상에서 모델링 인지 면접의 효율성 : 4세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권영민(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이춘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19-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나이 어린 아동의 사건 목격에 대한 회상의 정확성이 연령과 면접 방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 기억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전략들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인지심리학의 실험실 원리에 토대를 둔 인지 면접에 모델링 절차를 첨가하여(모델링 인지 면접) 나이 어린 아동들의 사건기억 회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215명의 4세와 6세 아동들은 각자의 교실에서 낯선이의 방문사건을 경험한 직후에, 모델링 인지 면접이나 표준 면접을 개별적으로 받았다. 그 결과, 6세 아동들은 4세 아동들보다 정반응을 더 많이 하였고, 모델링 인지 면접은 표준 면접보다 4세와 6세 아동들 모두 정반응을 더 하였으며, 오반응은 훨씬 덜 하였다. 또한 모델링 인지 면접은 전체 회상량 중 최고 85%까지 정확성을 나타냈다. 이는, 모델링 절차를 결합한 인지 면접이 표준 면접보다 나이 어린 아동들의 사건 목격에 대한 회상의 정확성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오반응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4세와 6세 아동의 기억의 정확성은 전체 회상한 정보 중 최대한 85% 정도 신뢰로울 수 있으며, 모델링 인지 면접은 4세와 6세 정도의 나이 어린 아동들의 사건 기억의 회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법적 장면에서 아동들에게 사용될 수 있는 면접절차로서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to improve the accuracy of children's event memory recall. Cognitive interview is a memory retrieval procedure based on laboratory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To improve younger children's recall, a modeling procedure added before cognitive interview, and ‘change perspective’(a retrieval technique in the cognitive interview) is excluded. After 215 of 4- and 6-year-old children had a “stranger’s visit”,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or standar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stranger's visit. In general, 6-year-old children generated significantly better correct information than 4-year-old group. With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both age group produced greater accuracy with regard to correct informations (up to 85% in accuracy), and generated less incorrect information. The results imply that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improves the accuracy of younger children's recall and reduces incorrect responses. In short, the accuracy of children of 4- and 6-year-old children's event memory recall is about 76∼85%, and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enhances younger children's event memory recall. The usefulness of the modeling cognitive interview with young children, especially in forensic setting, is discussed in the end.

학령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언어발달아동의 이야기 능력
김유정(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재활학과) ; 배소영(한림대학교 재활학과) pp.20-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 5, 6세 정상언어발달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자료는 시간적/인과적 연결관계의 두 이야기로, 각각 5장의 그림카드로 제시하였다. 실험절차는 이야기 산출과제, 회상과제, 이해과제 순으로 진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이야기 산출율 및 회상율, 이야기 문법 범주별(배경, 계기 사건, 내적 반응, 시도, 결과) 사용율 및 사용빈도 순위, 이야기 이해 정도면에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 산출율 및 회상율, 이야기 이해율은 정상언어발달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러나, 두 집단의 이야기 문법 범주별 사용빈도 순위는 동일했는데, 두 집단 모두 과제종류에 관계없이 배경, 결과, 계기 사건, 시도, 반응 범주의 순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나타냈다. 결론으로 단순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언어평가 및 치료 시 이야기 과제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SLI(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ing. Thir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ifteen 5 to 6 year-old children with SLI and fiftee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Three story tasks, story generation, story retelling, and story comprehension, were given to each participant in order. The amount of story generation and recall, the frequency of story grammar components, the amount of inferential proposi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 with SLI produced fewer proposition of the stories during story generation and retelling than the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Secondly, the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produced significantly more proposition in their retelling of stories than they did in the generation of stories. In contra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between the two tasks for children with SLI. Thirdly, lower frequency of use of story grammar components by the SLI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language group is a pattern to be consistent in both story generation and retelling. However, the two group's relative pattern of use of the story grammar components were identical. Overall, setting was produced foremost, then consequence and initiating event were moderately produced. Attempt and internal response were poorly produced across groups and tasks. The results were discussed relative to the SLI group's poor memory, syntactic comprehension, and ability to use story grammar knowledge.

아동의 정교화 책략훈련 효과 및 이용결여 현상
박영아(서정대학 유아교육과) ; 최경숙(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pp.59-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교화 책략 훈련을 실시하여 훈련 효과를 살펴보고, 정교화 책략을 획득해가는 과정에서 이용결여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 3, 5학년 각 학년에서 30명씩 총 90명으로서 각 학년에서 동수로 훈련 집단과 통제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교화 책략 사용을 통하여 훈련 집단 아동이 통제 집단 아동보다 회상 수준에 향상을 보임으로써 책략 훈련의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에는 연령차가 있었는데 3학년과 5학년은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한 반면, 1학년은 4시행에서 정교화 책략 사용 수준이 매우 낮았다. 한편, 5학년은 훈련 이후부터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 사용과 회상 수준이 높아 정교화 책략이 과제 수행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3학년은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했으나 4시행에서의 회상 수준은 기초선 수행 수준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3학년에서 나타난 정교화 책략 사용의 비효과성을 이용결여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effects and utilization deficiency in the development of elaboration strategy. Ninety 1st-, 3rd-, and 5th- grade children were sampled.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raining group or control group. All children performed four trials using different list with unrelated word pairs. At first trial, the baseline of recall was measured before training. One day after the first trial, training group were trained to use a verbal elaboration. And then all children received recall tests on second and third trials consecutively. Three days after the third trial, the fourth trial was carried to assess the maintenance of elaboration. Results showed that recal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ird grade children used the strategy but did not gain benefit in recall relative to an earlier baseline at fourth trial. This result was discussed in terms of utilization deficiency.

세 집단간의 비교를 통하여 본 우리나라의 사람들의 도덕지향에 대한 연구 : Kohlberg의 도덕발달단계 및 도덕지향을 중심으로
백혜정(동덕여자대학교 BK21 아동교육연구단)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BK21 아동교육연구단) pp.79-9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Kohlberg의 도덕판단 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기에서 성인기에 해당하는 남녀 총82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내리는 도덕판단의 특성을 도덕발달 단계와 도덕지향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측정도구로는 Kohlberg의 가상적 3가지 딜레마(Form A)를 사용하였으며 일대일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도덕발달 단계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지향 사용에 있어서도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이기적 결과 지향, 이상적 결과 지향 및 공정성 지향의 사용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들을 우리나라 아동기 및 다른 문화권에서의 도덕지향 사용경향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들과 연계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도덕지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ral judgment of 82 adolescents and adults based on Kohlberg's theory of moral judgment. In particular, their moral stages and use of orientations were analysed through interviewing the individuals with Kohlberg's hypothetical dilemmas, Form A. As Results, the moral stages increased with their ages and academic levels. Also, they showed a developmental tendency to use the moral orientations. That is, the use of the egoistic consequences orientation decreased across the ages and academic levels while the use of the ideal consequences and fairness orientations increased. We discussed the results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 children's moral development and the individuals' moral judgment in other cultures. Based on these, we suggest Koreans' developmental tendency in moral judgment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한국의 2세 아동에 있어서 색, 형태, 그리고 그 이외의 속성에 관한 개념화의 획득
성현란(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배기조(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 곽금주(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장유경(한솔교육문화원) ; 심희옥(군산대학교 생활과학부) pp.95-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아의 색, 형태, 그 외의 다른 속성(크기, 길이, 무게)의 개념화의 발달적 변화를 검토하고, 색과 형태의 개념화의 획득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24~36개월에 걸친 유아 980명이었다. 색과 형태의 개념화를 측정하기 위해 3종류의 과제(맞추기, 분류, 재인)가 사용되었고, 이 과제들은 기본적으로 유아의 인지적 선호보다는 인지 능력을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는 다차원-요구 패러다임(Multidimensional-Demand Paradigm)에 따라 고안되었다. 크기, 길이, 무게 개념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변별 과제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형태와 색에 대한 개념화의 획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맞추기, 분류, 재인 과제에 의해 형태(동그라미, 삼각, 사각)의 개념화가 색(빨강, 파랑, 노랑)보다 더 일찍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령에 따라 크기, 길이, 무게의 개념화도 의미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아가 남아보다 형태 맞추기, 형태 재인, 색 재인 능력이 더 뛰어났다. 형태별 차이를 보면 세모와 네모에 비해 동그라미에서 더 높은 맞추기 및 재인 능력을 나타내었고, 색상에서는 파랑과 노랑에 비해 빨간색에 대한 맞추기와 재인 능력이 더 높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the conceptualization of form, color, and other attributes(size, length, and weight) and to compare the acquisition of conceptualization of color versus form in Korean infa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80 infants aged 24 to 36 months. Three kinds of tasks (matching,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were used to measure the conceptualization of various attributes and these tasks were basically designed according to 「Multidimensional- Demand Paradigm」 which taps infant's cognitive ability but not cognitive preference. Discrimination task was used to measure their conceptualization of size, length, and we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cquisi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color and form was improved according to age, and the acquisi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form (circle, triangle, square) was earlier than color(red, blue, yellow) from the tasks of matching,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Also, the acquisi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size, length, and weight was improv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Infants'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form matching and recognition(color, form) tasks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types of form(circle > square = triangle) and 3 types of color(red > yellow = blue) by matching and recognition tasks.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귀옥(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과) ; 전효정(동아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박혜원(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강완숙(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장미자(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113-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 조선족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최적 모형을 각각 제시하고, 중국 조선족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과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의 관련성과, 나아가 이러한 이중언어발달과 인지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국 조선족 아동 143명을 대상으로 한 부모설문과 아동검사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어 발달의 예측모형을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연령, 부모 언어태도와 인지발달은 한국어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기억력은 인지발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와 유사하게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령, 인지발달, 부모의 한어사용 순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학력은 부모의 한어사용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중국어 발달에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언어 발달이 인지발달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chil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bilingual experiences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143 Korean-Chinese children in China were selected to test Korean-Chinese languag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bilingual environments. The best predicting model of the Korean and Chinese development was suggested. The age, parents' language attitud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while memory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Similarly, the age, parent's Chinese us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while memory and fathers' education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 이근영(한솔교육문화연구원) ; 장유경(한솔교육문화연구원) pp.131-1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3~36개월(N=40)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가 글 없는 그림책을 읽어 주는 동안 나타나는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을 5가지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영아의 어휘능력은 발화수, 어휘수, 어휘 종류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중 피드백은 영아의 어휘 종류수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저연령에서는 피드백과 주의환기가 많을수록 어휘발달이 촉진되고, 고연령에서는 피드백이 많고 설명이 적을수록 어휘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드백과 같이 영아의 반응에 대해 언어적인 반응을 보이는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중요하며, 연령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 방법이 언어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and mother's verbal interactional style. A total of forty mothers and their infants(13~36 month ol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ternal verbal inputs during a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were categorized into 5 verbal interaction styles: attention -getting, explaining, directing, questioning, and feedback-giving. The measures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were total number of utterances produced, numbers of words, and word types during picture book read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feedback were benefit to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especially to infant's word type(R²=.748, p< .001). Second, mother's interaction style gave different impact on different ages. For 13-24 months olds, feedback and attention-gett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R²=.743, R²=.812, respectively, p<.001), whereas for 25-36 months olds, feedback and explain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R²=.684, R²=.751, respectively, p<.001).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give verbal responses to infant's words, and that it is needed to interact differently depending on infant's age.

청소년 자기보고형 문제행동평가척도의 개발: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
이해경(한국사이버대학교 교육학과) ; 신현숙(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이경성(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47-17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청소년들이 많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자유반응조사, 전문가자문, 예비조사의 4단계 기초연구를 거쳤다. 연구1에서는 전국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청소년 3,18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요인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중독, 가족관계문제, 섭식문제, 진로문제, 공격행동, 학업/주의문제, 학교부적응, 또래관계문제, 교사와의 관계문제, 비행, 충동/과다행동이 주요 요인으로 산출되었다. 이들 11개 요인은 청소년 문제행동 총 변량의 89%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별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 α)는 .71~.91에 해당하여 양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간 상호상관이 모두 유의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75로 양호하였다. 연구2에서는 일반 청소년 집단(규준 집단)과 948명의 문제 청소년 집단(타당도 집단)간 하위척도별 평균차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하위척도들에서 타당도 집단의 문제행동수준이 규준 집단보다 더 유의하게 높아서 본 척도의 변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본 평가척도와 K-YSR간 상관이 모든 하위척도에서 유의하여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청소년 문제행동의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문제행동 영역의 포괄성 및 자기보고형 청소년 문제행동 평가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tem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free-response surveys with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adolescent development and problems, and a pilot study. Study 1 was conducted to administer a preliminary scale to 3,186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ttending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11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i.e., internet addiction, eating problems, delinquency, aggression, learning/attention problems, school maladjustment, career problem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 with teachers, impulsivity/hyperactivity). The 11 factors accounted for 89% of the total variance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the 11 subscales ranged from .71 to .91. The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r=.75. Inter-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s were all significant. In study 2,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Mean differences in each subscale between the normative group and the validation group(consisting of 948 adolescents with problems) were all significant. The levels of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valid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tive one in all subscales. In addition, correlations between this scale and the K-YSR were significant in all of the 11 subscales. Thus, both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ies of this scale were found to be good. Th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develop an adolescent behavior problem rating scale consisting of items representative of recent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ing scal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Think Aloud 훈련이 과잉활동 성향이 있는 Think Aloud 훈련이 과잉활동 성향이 있는 학령전기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임목옥(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혜리(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171-190
초록보기
초록

Think Aloud 훈련이 과잉활동성향을 보이는 학령전기 아동의 자기통제력, 공격성,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사립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6세 아동을 대상으로, ADHD 아동을 평가하는 단축형 코너스 평가 척도(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Acrs)를 실시하여 상위 25% 이내에 해당하는 아동을 선발한 후, 무선적으로 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Think Aloud 훈련을, 통제집단에게는 미술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후로 대상아동에 대한 자기통제검사(SCRS), 공격성 평가척도(Aggression Rating Scale), 사회적 능력 척도(ISC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hink Aloud 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과잉활동성 아동들이 통제집단보다 자기통제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공격성 평가척도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적 능력척도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하위개념들 중 긍정적인 요인들(활동성, 협력성)과 부정적인 요인들(과민성, 불안정성) 모두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Think Aloud 훈련이 과잉활동성향이 있는 학령전기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k Aloud training on self-control, social competency and aggression of hyperactive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20 hyperactive five- to six-year-old preschool children. Subjec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Acrs) scores. Children who had higher scores of upper 25% Acrs socr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trained through the Think Aloud program, 60 minutes a day, two times a week(16 times in total), and the control group children were trained through the art activiti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aining program, three scale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Aggression Rating Scale, Self Control Rating Scale(SCRS)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IS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reduction in the SCRS and Aggression Rating scale scores after the training.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 in ISCS scores after the training. The present results suggests that the Think Aloud training is effective to reduce aggression and improve self-control and social competency of hyperactive preschool children.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조복희(경희대학교) ; 박혜원(울산대학교) pp.191-206
초록보기
초록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K-BSID-II)를 표준화하기 위해 서울/경인지역, 충청지역, 그리고 영호남지역에서 1,700명의 영유아에게 K-BSID-II를 실시하였다. 검사내용은 원 검사문항에 더해 예비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 2개,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문항 2개 그리고 인접 연령집단의 문항세트로부터 2~6개 문항을 차용하여 구성되었다. 미국의 원검사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한 수행만을 분석한 결과 한국 영유아는 인지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와 유사하였으나(M=99.71(SD=11.21)), 동작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보다 높은 경향(M=104.53 (SD=12.88))을 보였다.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간의 상관은 매우 높았으며(.99), 인지발달지수, 동작발달지수, 행동발달지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도 각각 .91, .98, 그리고 .99로 매우 높았다. 발달 지수에 대한 성차분석결과 일부연령집단에서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모두에서 여아의 수행이 높아 여아의 발달이 남아에 비해 빠른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분석결과 충청지역의 영유아가 다른 지역의 영유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평정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 α값이 연령집단에 따라 .92에서 .96사이로 매우 높았다. 행동평정척도에서도 남녀차이와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영유아의 발달 수준을 미국의 영유아와 비교할 수 있었으며, 성차, 지역차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Abstract

As the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orm for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1,700 infants from Seoul and its vicinities, middle-, and south-regions of Korea were tested with the standardization version of the K-BSID-II. The test included two items developed through the pilot study and two newly developed items as well as extra two-six items from adjacent age group set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BSID-II. Korean infants showed a very similar Mental Developmental Index (M=99.71(SD=11.21)) to US counterparts but the Psychornotor Developmental Index (M=104.53 (SD=12.8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S norm s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I and PDI was very high (.99). There were high inter-scorer reliabilities for MDI(.91), PDI(.98), and BRS(.99). Gender difference was evidenced in both MDI and PDI at several age groups revealing the faster development among girl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revealing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section. There were high reliabilities of BSID-II Behavior Rating Scale(BRS) in all age groups(.92-.96). There were some factors of BRS showing gender as well as regional differences. Validity as well reliability analyses will be follow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