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다양한 신문 기법들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인 신문에 대한 인식, 24개의 신문 기법에 대해 실제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와 그 기법들의 허위 자백 유도 가능성, 신문 시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문 기법을 실제 사용하는 빈도에 대한 인식과 신문 기법들이 허위 자백을 유도하는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남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이 여성보다 신체적 손상의 위협/사용이 덜 위협적이라 지각하였다. 참가자들은 각 신문 시간을 길게 추정하였으며 그들의 약 13%는 자백 유도를 위해 필요한 일 회 최대 신문 시간을 24시간 이상으로 추정하였다. 본인과 타인이 진실과 거짓을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확률을 보다 높게 추정하였고 특히 특별 훈련을 받은 전문가 집단인 경우 그 확률은 약 75%라고 높게 추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사 기관의 신문 과정을 신뢰하고 신문 기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perceptions of police interrogation techniques and false confession in Korea. General perceptions on police interrogations and their techniques, including how frequently those interrogation techniques are actually used and whether such techniques would elicit false confession, were examined. Furthermore, general perceptions on confession, including the importance of confession evidence in trials and confession possibilities between guilty and innocent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some misconceptions about police interrogation techniques and confess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general perceptions of interrogation techniques by gender. The findings suggest that most lay people believe that police interrogations hardly elicit false confessions from innocent suspects and confessions are reliable evidence. Implications for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will be discussed.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충동성이 높고 반복적인 범법행위를 저지른다는 진단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충동성은 범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성격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긍정심리학 측면에서 정신병리는 심리적 강점의 부재로 인한 문제이므로, 성격강점을 육성하는 것을 정신병리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자의 충동성과 성격 강점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긍정적 성품의 관점에서 성격장애자의 부적응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430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을 지닌 105명을 선별하여 성격강점과 충동성을 측정한 후, 성격강점을 약, 중, 강 수준으로 분류하여 집단별 충동성을 일원변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을 지닌 일반인은 지혜 및 지식, 용기, 절제, 정의 상위덕목 수준에 따라 충동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성품을 지닌 집단일수록 약한 충동성을 보였다. 또한, 네 가지 상위덕목 중 가장 영향력이 강점을 알아보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용기 상위덕목이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용기 상위덕목의 하위 강점에서는 끈기 강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impulsiveness, a history of crime and legal problem. Impulsiveness is also connected with law-breaking. In view of Positive psychology, the reason for the revelation of psychiatric disorder is considered as the absence of psychological strength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eness and character traits among antisocial personality disposition from not prisoner, to figure out maladaptive features of personality disposition from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CSV) aspect and to draw an improvement of effect personality educational program for prisoner and not prisoner. In this study, we selected 105 people who was diagnosed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position tendency among 430 university students, measured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nd Impulsivity and analyzed categorized 3groups depending on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strength, regular and weakness. We found that the people who have weak traits in four classes(wisdom and knowledge, Courage, Temperance, and Justice) showed more impulsiv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application as remediation for prisoner o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were discussed.
냉담특질(CU)과 왜곡된 성의식은 청소년 성범죄의 주요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냉담특질이 높은 청소년 성범죄자들이 성에 대한 편향 사고가 심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성범죄로 법원위탁 결정을 받고 서울소년분류심사원에 위탁 중인 24명의 남자 청소년을 한국판 CU 특질척도(Korean Inventory of Callous-unemotional Trait, K-ICU)에 따라 ‘낮은 CU 집단’(K-ICU가 중앙값보다 낮은 집단)과 ‘높은 CU 집단’(K-ICU가 중앙값보다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DMDX로 생성한 정서 스트룹 과제를 실시하였다. 주제자극(성행위, 성적 매력 표현, 공격성,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 관한 단어) 및 중성자극(중성단어)을 하나씩 제시하여 단어의 색상을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스트룹 과제의 주제자극에서 중성자극의 평균 반응시간을 뺀 값을 편향점수라고 하였다. 성 스트룹 편향점수는 높은 CU 집단(57.50; 표준편차 70.78)이 낮은 CU 집단(-16.58; 표준편차 48.07) 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1). 그러나 다른 주제자극을 이용한 스트룹 과제에서는 편향점수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높은 CU 집단이 성행위 연상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편향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Callous-unemotional (CU) trait and deviant sexual interest are two important factors underlying juvenile sex crime. We hypothesized that juvenile sex offenders with CU trait have more severe bias effect. This study involved 24 male adolescents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for sex crime and under custody of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Seoul, Korea. Based on K-ICU (Korean Inventory Callous-unemotional trait) score, we divided them into high ICU group (K-ICU score above median, N=12) and low ICU group (K-ICU score below median, N=12). Emotion stroop task was designed with DMDX. When different subject stimuli (sex-associated, aggressive, sexually attractive, positive emotional, negative emotional words) and neutral stimuli (neutral words) were presented one by one, the reaction time to tell the color of presented words was measured. In the stroop task using sex-associated words, bias scores (mean reaction time for subject stimulus - mean reaction time for neutral stimulu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high CU group (57.50; standard deviation[SD], 70.78) than in low CU group (-16.58; SD, 48.07) (P=0.01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as scores between two groups in other subjects stroop task. In conclusion, juvenile sex-offenders with high callous-unemotional traits tend to show selective attention to sex-associated stimu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