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87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that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mainly on digital media and to examine how such characteristics affect users' attitudes and brand awareness. To this aim, first of all,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a depth interview to construct a scale for the variables of the branded conten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uch process, it was found that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consisted of 5 subfactors: creativity, entertaining, indirectness, informativeness, and empathy. Secondly, among these, four subfactors - entertaining, empathy, creativity and indirectness -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users' attitudes. Finally, it was found that only the informativeness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allows to understand the behavior changes of users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paradigm by identify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s only unlike traditional ad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branded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lated research.
김봉철 (2007).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Ducoffe(1996) 의 웹 광고효과 모델 확장적용. 광고연구, 여름, 35-59.
김연미, 한진수 (2011). 호텔 웹 광고의 광고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1), 1-16.
김운한 (2016). 브랜디드 콘텐츠. 경기도 파주: 나남.
김은영, 정사강 (2018). 텍스트와 제작차원에서 본 브랜디드 웹드라마의 특성. 미디어 경제와 문화, 16(1), 99-140.
김효경, 손수진 (2010). 스타마케팅을 이용한 광고태도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명리조트 비발디파크 오션월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5(2), 229-251.
나지영, 박영일, 김혜빈 (2016). 게이미피케이션 개념을 적용한 브랜디드 콘텐츠 사례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6(5), 45-56.
문장호 (2015).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한 브랜드 무대후면영역 정보 노출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연극적 접근이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39-152.
박수현 (2012). 외식브랜드의 TV광고 속성에 대한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0(1), 143-158.
신일기 (2018).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방향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 48(5), 39- 41.
안대천, 김상훈 (2012).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염동섭 (2016). 모바일 위치기반광고(LBA: Location Based Advertising)에 대한 이용 동기, 지각된 유용성, 광고효과 간 구조모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7(2), 271-293.
이국용. (2004). 웹사이트 광고에 대한 지각특성이 웹사이트 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4, 99-122.
이승영 (2017a). 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1), 445-456.
이승영 (2017b). 브랜디드 콘텐츠에 있어서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3), 567-580.
이영수 (2016). 브랜디드 콘텐츠의 서사 구조 연구-모바일 음식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503- 515.
이영수 (2017). VR활용 브랜디드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연출에 대한 연구–VR 웹드라마 <프로의 탄생>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7), 135-157.
이용건, 주형철, 이정학(2015). TV골프전문방송 레슨프로그램의 PPL 광고속성요인, PPL태도, 브랜드인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5), 519 -534
이지현, 황장선 (2017). 브랜드 웹툰의 특성과 소비자 반응. 광고연구, (115), 246-296.
이제원 (2008). 광고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인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원대학교대학원 경영학박사학위논문.
전종우 (2016).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이용과 충족이 콘텐츠 유희성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 홍보학연구, 20(5), 1-21.
정재윤 (2006). 나이키의 상대는 닌텐도다. 서울: 마젤란.
조형진 (2006).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광고효과연구: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인 애니모션 사례를 중심으로.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6, 99-122.
최세정, 김태영, 부건훈 (2017). MCN 브랜디드 콘텐츠의 광고효과 분석.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131-135.
필립코틀러 (2017). 필립코틀러의 마켓 4.0. 이진원 번역. 서울: 더캐스트.
홍다현, 전종우 (2016). MCN의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효과. 언론학연구, 20(4), 171-194.
Brackett, L. K., & Carr, B. N. (2001). Cyberspace advertising vs. other media: Consumer vs. mature student attitud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1(5), 23-32.
Bruner, G. C., & Kumar, A. (2000). Web commercials and advertising hierarchy-of-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0(1-2), 35-42.
Chen, Q., & Wells, W. D. (1999). Attitude toward the sit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5), 27-38.
Ducoffe, R. H.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5), 21-35.
MacKenzie, S. B., Lutz, R. J., & Belch, G. E.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Min-Wook, Choi. (2015). A study on the branded content as marketing communication media in the viewpoint of relational perspective.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8(S5), 116-123.
Shimp, T. A. (1981).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consumer brand choice. Journal of Advertising, 10(2), 9-48.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835805 (2018.09.20. 방문)
http://www.marketcast.co.kr/2403 (2018.09.20.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