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미취학 자녀 양육모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판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Stress Scale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0-6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KCSS)를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자료는 패널 전문 조사기관을 통해 모집된 669명의 참가자들로부터 온라인으로 수집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KCSS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고, 준거관련 타당도와 법칙적 망조직을 통하여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EFA와 CFA 결과 16개 항목과 일상생활 변화, 감염 위험, 직업 변화에 해당하는 3요인이 확인되었다. 해당 모델은 자료에 적합하였고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KCSS는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스트레스의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한 공식적인 척도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또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 척도의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코로나19, 스트레스, 미취학자녀, 양육모, 타당화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ronavirus 2019(COVID-19) Stress Scale(KCSS) in mothers of children aged 0-6 years. The COVID-19 Stress Scale was translated and reverse-translated from its original English into Korean.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669 participant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ial structures of the KCSS.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obtained through correlation and nomological network analyses.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dentified 16 items and three factors: infection risk, individual/ family/social interaction change, and job change. The above analyses further confirmed that the KCSS is a reliable and well-constructed measurement-valid and reliable for evaluation. The model had stro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uited the data well.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7-01
수정일Revised Date
2022-08-2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8-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