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급식태도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Feed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al Difficulties and Eating Behavio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의 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급식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3~4세 자녀를 둔 어머니 29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유아의 섭식행동, 어머니 급식태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은 유아의 섭식행동 중에서 유아의 까다로운 섭식, 음식에 대한 반응, 포만감 반응, 음료욕구, 정서적 과식, 정서적 소식, 어머니의 급식태도 중에서 도구적 급식, 정서적 급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 어머니의 급식태도 중에서 다양성 격려, 흥미 격려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의 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급식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의 섭식행동 중에서 정서적 과식, 정서적 소식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정서적 급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의 섭식행동 중에서 음식에 대한 반응, 음료 욕구와의 관계를 어머니의 흥미 격려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까다로운 기질을 지닌 유아의 섭식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어머니의 적응적인 급식태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유아, 까다로운 기질, 섭식행동, 어머니 급식태도, 조절효과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feed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s and eating behaviors. We surveyed 297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4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icky eating, food reactions, beverage cravings, emotional overeating, and emotional undereating,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ncouragement of variety and interest in feeding. Emotional feed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 temperament and both emotional overeating and undereating. Additionally, encouraging interest in feed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 temperament and food reactions and beverage craving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rapeutic approaches to enhance adaptive eating behaviors in children with difficult temperament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10-29
수정일Revised Date
2024-11-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12-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