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5, v.15 no.2, pp.103-136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103
김장환 (국회도서관)
이은별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초록

국회기록보존소는 국가기록원에서 개발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에 보존기록관리 기능을 일부 추가한 형태의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기록관 기능 수행을 위해 개발․보급되었기 때문에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국회기록보존소의 업무 기능을 모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은 법규에 따라 이관받는 공문서 관리 중심이기 때문에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수집한 국회의원 기록물, 역대 국회의장 등으로부터 채록한 구술기록, 영상회의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창원시, 문화재청에서 운용 중인 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개발 예정인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구성, 메타데이터, 목표시스템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국회기록관리시스템,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관리, 전자기록관리, 국회기록정보,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National Assembly Archives,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information

Abstract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using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which added some archival function to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they had previously developed. Howeve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has limits in order to reflect all the business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which also acts as an archival institution, because the system had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records center. Moreover,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official records transferr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register and manage various record types such as record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related to legislative activities), oral history collected from the National Assembly leader, audiovisual records of proceedings, and so on. As such,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conducted case studies of the systems in the National Archives, the Presidential Archives, Changwon City,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rough this research, it proposed that system functions, metadata, the target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the Record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need a development plan.

keywords
국회기록관리시스템,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관리, 전자기록관리, 국회기록정보,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National Assembly Archives,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information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기록관리시스템 기능 요건. NAK/S 6:2009(v1.1).

2.

국가기록원.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기능 요건. NAK/S 7:2010(v1.1).

3.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K/S 8:2012(v2.0).

4.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0). 국회도서관과 국회기록관리의 발전방안 모색 (-). 제1회 국회기록보존소 발전전략 세미나자료. 국회도서관.

5.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2). 『기록관리 관련 법규 개정에 따른 국회기록물 관리 및 서비스강화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 국회도서관.

6.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3). 2013년도 국회기록보존소 업무편람:국회도서관.

7.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3). 국회기록통합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기반조성을 위한 TF 보고서. 국회도서관.

8.

국회사무처 의사국. (2004). 국회의안편람:국회사무처.

9.

국회사무처 의사국. (2004). 국회회의록작성편람:국회사무처.

10.

국회사무처 의사국. (2010). 국회회의록작성편람:국회사무처.

11.

김계수. (2011). 문화재청의 기록관리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들. 기록IN, 11, 58-63.

12.

김유승. (2011).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95-119.

13.

김유승. (2013). 국회기록정보 온라인 서비스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25-48.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4.025.

14.

김장환. (2014). 국회 기록화 전략의 수립과 적용에 관한 연구.

15.

네이버시스템. 국회기록관리시스템 교육자료.

16.

마미경. (2001). 국가기록보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17.

문병준. (2012).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을 통한 효과적인 기록물 정리 방안 (331-336). 4회기록인대회 발표자료.

18.

문화재청. (2010). 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관리체계 합리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19.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

박석훈. (2008).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의 구축. 기록IN, 2, 56-61.

21.

서연주. (2005). 국회 기록관리 체제정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201-211.

22.

송병호. (2009). 기록관리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85-411.

23.

우학명. (2009). OAIS 모형의 PDI(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기록 보존기술요소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4), 227-248.

24.

이원영. (2005). 국회 외부관계 기능의 다큐멘테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5-25.

25.

임진희. (2011). MoReq2010을 통해 본 ERMS 기능요건 동향. 기록IN, 17, 64-69.

26.

정태영. (2012). 국회 전자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41-165.

27.

창원시. (2011).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 구축시방서. 창원시청.

28.

최희진. (2011). 기록관리 업무 지원을 위한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CAMS) 고도화. 국가기록백서2010:국가기록원.

29.

대한민국 국회. http://www.assembly.go.kr.

30.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http://www.egovframe.go.k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