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비교
박중규(인제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829-850
초록보기
초록

외현적 행동장애로 치료 중인 만 6세~11세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6주 과정의 행동적 부모훈련과 인지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성과를 비교하였다. 서울의 3개 종합병원 소아정신과에서 내원 아동의 성별과 연령, 외현적 문제행동 수준 등이 유사하도록 모집하였고, 인지행동집단 14명 행동집단 12명을 대상으로 했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사전평가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시점의 사후평가와 종료 6주후의 추수평가에서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최초/최종 지시순응도, 어머니의 강압적 양육행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 역기능사고, 가족 구성원에 대한 만족감 등에서 일관되게 유의한 성과를 보였다. 부모훈련은 선행 연구결과와 같이, 아동의 문제행동의 개선뿐만 아니라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 양육 효능감의 증가, 양육 역기능사고의 감소, 부모의 강압적 훈육행동의 감소,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만족감 증진 등의 성과를 보였고 이는 6주 후의 추수평가 때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집단 별 훈련내용이 상이했음에도 두 집단의 성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지적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arent training(CBPT) and behavioral parent training(BPT) on mothers of children(ages 6-11 years) with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BPT consisted of basic behavior modification procedures such as improving parental selective-attending skills, improving parental deliverance of commands, improving children's play behavior, parental use of time out, behavior contracting with response cost as disciplinary methods, and parental planning/ activity scheduling as problem prevention measures. Additionally, CBPT consisted of BPT procedures and more component such as cognitive reattribution of the disruptiveness of one's children(changing dysfunctional parent thoughts), problem solving training, anger control training, and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of parents. 26 mothers of children with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were recruited from 3 child psychiatric clinics in Seoul. Among them, 14 mothers were assigned to CBPT and 12 mothers to BPT with consideration of children's similarities on age, sex, and clinical problems. Both of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6 one and half hour sessions over the course of 6 weeks. After 6 weeks of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s, parent stress, dysfunctional thoughts, parent efficacy,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in both CBPT and BPT groups with repeated ANOVA procedure, The improvement in both of parent training groups were maintained in the 6 weeks follow-up as supporting clinical effects of parent training. The post and follow-up assessment compared to pre-assess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ent training groups on most of the outcome measur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정신장애인을 위한 약물, 증상 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851-8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약물/증상관리교육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여자는 모두 21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1명)이었다.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두 번,총 19회기를 진행하였으며, 6개월 후 추수검사를 하였다. 결과 첫째, 교육이 지식척도의 전체점수 및 병의 특징, 증상, 약물관리에 대한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이정신진단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강박증상과 불안증상, 공포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변화에 대한 개인의 준비도를 알아본 결과, 교육이 숙고단계와 유지단계 수준을 상승시켜 주었다. 또한 통제집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숙고전 단계에 속하는 인원수가 많아진 반면 실험집단은 행동단계에 속하는 인원수가 증가되었다. 이 결과는 교육이 변화준비도를 상승시키며, 더하여 준비도가 부정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임상현장에서 제공되어야 할 약물/증상 교육 서비스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medication/symptom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n persons with psychiatric disorder.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21 cl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the experimental group 10, a control group with no treatment 11). Psychoeducation program were administered two times weekly, total 19 sessions and tested pre, post, and 6 months after.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lients assigned to psychoeducation program had more favorable knowledge scores than controls in feature of mental illness, medication and symptom management tes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lowered tendency on total SCL 90-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being reduced in obsessive- compulsiveness, anxiety and phobic symptom. Third, the monitoring change readiness revealed that education gained both contempla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scores. And in the number of person in stages over time, while the number of person within a precontemplation stage increased in controls, persons within a action stage increased in experimentals. It implies that psychoeducation program develops change readiness and also keeps clients from retrogressing themselves into lower stages of change readiness. Finally suggestions about medication/symptom education service delivered in clinical practice were discussed.

성인 불안장애 환자에서의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 및 그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오윤희(성균관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 오강섭(성균관대학교) pp.873-89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불안 장애 환자들에 있어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 및 그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면담 도구를 통해 진단된 사회공포증 환자 52명과 공황장애 환자 58명으로, 총 110명의 성인 정신과 외래 환자들이었다. 이들에 대한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의 유무는 연구자가 재구성한 구조화된 면담도구를 통해 회고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자기보고식 질문지와 면접자 및 환자 본인의 평가를 통해 동반이환여부 및 현재의 기능정도와 장애로 인한 곤란도, 발병 후 경과기간, 그리고 우울 및 불안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 환자들 중 37.3%에 해당하는 41명이 아동기에 불안장애의 과거력이 있었다. 그 중에서 사회공포증이 28명으로 가장 많아 전체의 25.5%를 차지했고, 특정공포증이 7명, 일반화된 불안장애와 강박장애가 각각 2명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분리불안장애가 한명씩 있었다. 한편 사회공포증으로 진단 받은 52명중 48.1%에 해당하는 25명이 아동기에 불안장애의 과거력이 있었던 반면, 공황장애 환자 중에서는 27.6%에 해당하는 16명만이 아동기 시절 과거 불안장애가 진단되어 두 집단은 상이하였다. 이들 아동기에 불안장애 과거력을 가진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특히 다른 불안장애와 동반이환 되었으며, 전반적인 적응정도가 낮고, 장애로 인한 곤란정도는 높았으며, 만성화되었고,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 및 회피정도는 높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임상양상을 보였다. 성인 불안장애 중 상당수, 특히 사회공포증의 경우 반수에 가까운 정도가 아동기 역시 불안장애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을 가진 경우 현재의 임상 양상이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 아동기 불안장애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가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ates and correlates of a childhood history of anxiety disorders in adult with anxiety disorder. The presence of a childhood history of anxiety disorders was assessed by structured interview, and its association with comorbid disorders, anxiety severity, functional impairment and chronicity variables was examined in 110 patients (52 persons with social phobia and 58 persons with panic disorder). 37.3% of the patients met criteria for anxiety disorders during childhood, but rate of a childhood history of anxiety disord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ocial phobia relative to panic disorder(48.1% vs 27.6%). A history of childhood anxiety was associated with the earlier age of onset, greater anxiety morbidity, lower global functioning, greater severity of fear and avoidance on social sit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jority of adult anxiety disorder patients, especially social phobia, had a history of anxiety disorder in childhood and the presence of childhood anxiety disorder was linked with a more severe clinical characteristics.

월경 전 불쾌 증상 집단의 신체 감각에 대한 인지 특성: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박혜연(아주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891-9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월경 전 불쾌 증상을 겪는 미혼 여성들이 정상군에 비해, 자신의 신체증상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거나 증폭하여 지각하는 경향이 있는지 검증해보았다. 이를 위해 미혼 여성202명을 대상으로 39일 간의 매일 평가를 실시하여 증상군과 정상군을 선별했고, 이들의 신체 증상에 대한 인지 양식을 알아보기 위해 증상 해석검사(SIQ)와 신체감각증폭검사(SSAS)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증상군 여성들은 신체증상 증폭지각, 신체증상에 대한 심리적 귀인 방식에서 정상군 여성들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이는 월경 전 불쾌 증상을 겪는 여성들이 자신의 신체 증상을 확대 해석하거나 부정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증상에 대한 정서적 귀인 방식은 월경 전 불쾌 증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증상 집단을 변별하는 데에 유용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한 인지 가설을 지지하며, 월경 전 불쾌 증상에 미치는 인지적 변인의 영향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opose of present study is to find the cognitive way how the women suffering from premenstrual dysphoric symptoms(PMDS) perceive their physical symptoms as well as to confirm that PMDS has a cognitive fact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creened 202 unmarried females for PMDS and analyzed their cognitive style of somatic symptoms. The participants wrote ou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SSAS),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SIQ). As well, they rated their symptoms related to PMDS prospectively during 39 days. The daily rating operated on the web. The results show that the women suffering from PMDS are different from non-PMDS women in the respect of cognition of physical symptoms; they attributed their symptoms to emotional causes more than non-PMDS women did(p<.001) and they perceived common somatosensory exaggeratedly(p<.05).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revealed that PMDS could be effectively predicted from the emotional attribution style. The strengths of this study include application of the prospective assessment through a computer program.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the cognitive theory of premenstrual syndrome. However, this result is limited to be generalized to the women who suffer from premenstrual dysphoric symptoms. Thus,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whe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women who suffer from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정신분열병 증상과 회귀억제
송현주(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 민성길(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권미경(연세대학교) ; 장지흠(연세대학교) pp.905-918
초록보기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definitely the relation between the inhibition of return deficit and schizophrenic symptom in according to the schizophrenic subtype. To divide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according to the schizophrenic subtype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in this study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who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symptom group'(N=17) and ‘residual group’(N=13명) based on their schizophrenic subtype. For comparison, 'affective disorderd group'(N=14) and ‘normal group’(N=16) were also selected. The PANSS was used as the symptom scale and IQ & age were included as the covariate in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in effects of SOA, validity and group were not significant in repeated measure for ANCOVA. In the result of the ANCOVA about the mean IOR of each SOA, there was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Symptom group' and 'normal group' in 233ms SOA condition. And in 1000ms SOA, only 'symptom group' revealed (-)mean IOR.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discriminating group difference pattern between 'symptom group' and 'residual group', and it indicated that IOR deficit might be related to the schizophrenic symptom. Besides, the inefficient information processing might be more deeply related to the schizophrenic positive symptom than schizophrenic negative symptom.. Secondl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not included IQ & age as covariate might have overvalued the IOR deficit of schizophrenic patients.

Abstract

편집성 성격성향자의 자기?타인 표상 및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과의 관계
김지영(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신민섭(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919-9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편집성 성격성향자들의 자기 및 타인 표상과 이들의 어린 시절 양육경험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편집성 성격성향자의 자기 표상과 타인 표상을 탐색하기 위해 370명의 대학생에게 호의성, 사교성, 유능성, 완고성의 각 하위차원을 평가하는 자기 및 타인 표상 척도와 편집척도, 우울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편집 성향은 주변사람들을 적대적이고 악한 사람으로 보는 타인호의성 차원, 자신을 나쁘고 차가운 사람으로 보는 자기호의성 차원, 자신을 고집이 세고 지배적인 사람으로 보는 자기완고성 차원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편집성 성격성향자의 어린 시절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의 특성 및 부모에 대한 표상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3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집척도와 과거 부모에 대한 자기 및 타인 표상 척도-형용사 평정형,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 중 학대나 과잉간섭, 비일관성 및 방치 요인이 편집 성향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과거 부모에 대한 표상의 경우 편집성향자들은 어린 시절에 나쁘고 적대적인 부모에 대한 표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mental representations on self and significant others and to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in people with paranoid tendency. Study 1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ental representations on self and significant others in people with paranoid tendency. For this, 370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aranoid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elf-Others Representation Inventory which is a self-report measure evaluating self, mother, father, and friend in terms of benevolence, capability, sociality, and obstinacy. The results showed that paranoid tendency related closely to the dimension of other-benevolence which is to view other as hostile or bad, to the dimension of self-benevolence which is to regard self as bad or cold, and to the dimension of self-obstinacy which is to consider self stubborn or dominant. Study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ur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s on parents in childhood of people with paranoid tendency. As a result, paranoid tendency showed close relation to abuse, overinterference, inconsistency or negligence of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in childhood. And the representations on parents suggested that people with paranoid tendency had the image of bad and hostile parents in childhood.

공황발작을 보이는 대학생들의 임상적 및 심리사회적 특징
조용래(한림대학교 심리학과) pp.937-9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황발작과 공황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의 임상적 및 심리사회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DSM-Ⅳ의 공황장애 진단기준을 충족시킨 집단 (n=13)에 비해 간헐적인 공황경험집단 (n=51)은 공황관련 증상들을 전반적으로 덜 심하게 경험하였고, 공황발작으로 인해 생활에 덜 지장을 받았으며, 불안문제 때문에 의사 또는 카운슬러를 방문한 사람들과 공황발작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황 회피하기를 사용한 사람들이 더 적었다. 간헐적인 공황경험집단은 비공황경험집단에 비해 불안민감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으나 공황장애집단에 비해서는 불안민감성 수준이 더 낮았다. 간헐적인 공황경험집단과 공황장애집단은 비공황경험집단에 비해 스트레스성 생활사건 및 불안증상을 더 많이 보고하였으나, 두 공황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의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의 발생과 유지과정에 기여하는 요인들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article presents data on the clinical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PD). Compared with subjects (n=13) who met DSM-Ⅳ criteria for PD, infrequent panickers (n=51) reported less severity of panic symptoms, less interference with life due to panic, less visits to a doctor or counselor for an anxiety problem, and less use of avoiding the situation to cope with panic attacks. The infrequent panic group displayed higher anxiety sensitivity (AS) than the nonpanic group but lower AS than the PD group. Both of the panic groups reported stressful life events and anxiety symptoms more than the nonpanic group, whereas the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anic attacks and PD in college students.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신노라(강남성모병원 정신과 임상심리실) ; 안창일(고려대학교) pp.949-968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남성 동성애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고대구로병원 신경정신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pp.969-982
초록보기
초록

동성애자들은 이성애 중심의 사회 속에서 일반적인 생활 스트레스 외에 동성애적 성적 정체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특정적인 스트레스, 즉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다. 성적 지향은 자의적으로 바꿀 수 없는 고정적인 성향이므로 동성애자들은 사회적 오명이나 불이익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에게 특정적인 스트레스 요인이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남성동성애자 82명을 대상으로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를 포함한 일반적인 생활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우울, 불안,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대적인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에이즈 관련 스트레스는 불안, 신체화 증상에 가장 중요한 설명변인인 반면, 우울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경제적 스트레스였으며,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불안,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의 특성을 언급하며,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Gay men confront gay-related stressor that are caused by homosexual orientation in heterogeneous orientation centered society. Gay men are exposed chronically to gay-related stressor because sexual orientation are fixed. 85 gay men that participated in gay human right organization, gay community were studied to examine the impact of gay-related stressor on mental health of gay men. The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mportant predictor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mental health feature. While AIDS related stressor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anxiety and somatization, financial stressor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depression. Gay-related stressor explained the variance of anxiety and somatization than depression.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성격의 5요인 모델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국승희(전남대학교) pp.983-9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의 5요인 모델(McCrae & Costa, 1985)과 주관적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이용하여 정신병리를 평가하고, NEO 인성검사(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NEO-PI-R)와 Happy-QoL 척도(국승희, 2001)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과 주관적 QoL의 부분상관을 산출하였다. 또한, NEO-PI-R의 하위척도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환자들의 성격 프로파일을 군집화한 후,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군집간의 주관적 QoL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경증적 경향성과 외향성 외의 나머지 세 성격요인들(개방성, 원만성 및 성실성)도 주관적 QoL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척도들 중 환상은 주관적 QoL과 전혀 관련이 없었고, 일부 하위척도들은 약한 상관만 있었다. 세 유형의 성격 프로파일이 확인되었는데, 군집 1은 신경증적 경향성의 하위척도들의 점수가 높으면서 나머지 요인들의 하위척도들의 점수는 낮은 집단이었으며, 군집 3은 그 반대의 유형을 보이는 집단이었고, 군집 2는 군집 1과 군집 3 성격 프로파일의 중간에 속하는 집단이었다. 세 군집 중 군집 1의 주관적 QoL이 가장 낮았고, 군집 3의 주관적 QoL이 가장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McCrae & Costa, 1985)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PI-R) and Happy-Quality of Life Scale(Kook, 2001; Happy-QoL Scale) were administered to 200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ir psychopathology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was assessed. The partial correlations controlling the psychopathology between personality and subjective QoL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patients' personality profiles were clustered by cluster analysis on the subscales of NEO-PI-R, and then the subjective QoL among the clusters controlling the psychopathology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ee other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s well as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were related with subjective QoL. However, fantasy of the subscales was not related and some subscales had weak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QoL. Three profiles of personality were showed. The cluster 1 was the group which had high scores on the subscales of neuroticism and low scores on the subscales of four other personality factors, but the cluster 3 was the contrary group and the cluster 2 was the intermediate group. The subjective QoL of the cluster 1 was the poorest and that of the cluster 3 was the best of three clusters.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도박열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김영훈(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999-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박열정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738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도박열정척도, 한국형 사우스-오크 병적 도박검사(K-SOGS), Beck의 불안척도(BA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박열정척도의 내적합치도는 .91이었다. 도박열정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2요인(강박적 열정, 조화로운 열정)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박열정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ambling Passion Scale(GPS). GPS, Korean Form of South Oaks Gambling Screening(K-SOGS), Beck Anxiety Inventory(BAI) were administered evaluated with adults(N=738).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Cronbach α) of GPS was .91. Factor analysis of GPS revealed that 2 factor(obsessive passion, harmonious passion) model was appropriated.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사회공포증과 불안 검사의 타당화 연구
김남재(덕성여자대학교) pp.1011-10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과 사회공포증을 측정하는 도구인 사회공포증과 불안 검사(SPAI)를 번안하여 한국판 SPA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한국판 SPAI는 높은 내적합치도 계수를 보였고, 문항-총점간 상관은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음을 보여주는 등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SPAI는 2요인 구조를 갖으며, 2요인은 사회공포증 소척도와 광장공포증 소척도에 각각 일치하였다. 한국판 SPAI와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한국판 SPAI는 한국판 SAD, 한국판 IAS, 한국판 FNE 등 다른 사회불안 측정 도구와 유의미하게 상관되었다. 그리고 한국판 SPAI는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사회불안이 낮은 대학생 집단을 잘 변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판 SPAI가 사회불안과 사회공포증을 평가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 도구가 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elf-reported scale to assess social phobia and anxiety. This study translated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SPAI) in Korean and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SPAI(K-SPAI). The K-SPAI has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high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 two-factor solution can be derived from the K-SPAI. The factors correspond to the original subscales: the Social Phobia subscale and the Agoraphobia subscale. The K-SPA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IAS, K-SAD, and K-FNE. Socially phobic students classified by DSM-Ⅲ-R diagnostic criteri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SPAI than their non-socially anxious counterpa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Korean-version of the SPAI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assess social phobia and anxiety.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 평가: 기억 및 행동문제점검- 개정판(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 R-MBPC)과 부담조사(Burden Interview: BI)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형석(삼성생명과학연구소) ; 김도관(성균관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고혜정(분당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 구형모(삼성생명과학연구소) ; 권의정(용인정신병원) pp.1029-1050
초록보기
초록

Pearlin 등(1990)은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를 일차적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이차적 스트레스로 구분했으며, 일차적 스트레스를 또 다시 객관적 스트레스요인과 주관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기억 및 행동문제점검-개정판(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 R-MBPC)은 환자 보호자의 객관적 스트레스를, 부담조사(Burden Interview: BI)는 주관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척도를 한국 상황에 맞게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위해 치매 진단이 확정된 환자의 보호자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R-MBPC:빈도 및 반응, BI의 내적 일치도는 .90에서 .93까지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1에서 .97로 양호하였으며, 환자의 인지 기능, 일상생활 기능, 보호자의 정서 등을 측정하는 척도들과의 수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도 대체로 우수하였다. 또한 R-MBPC:빈도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원논문에서 제시된 3개의 요인 구조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BI의 경우에는 2개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환자의 치매 정도에 따라 보호자의 객관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경도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는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연구대상의 특성, 문화적 차이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 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 모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Primary stressors, core variable in the model of the stress process in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that Pearlin et al.(1990) proposed, are divided into objective stressors and subjective stressors, which are distinct and hypothesized to be differently related to patients and/or caregivers variables. The 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R-MBPC) measures objective stressors and the Burden Interview(BI) evaluates subjective stressors in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In this study, we translated the R-MBPC and the BI according to the Korean situation and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wo scales. For this, two scales were administered to 128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As a result, the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R-MBPC:Frequency, the R-MBPC:Reaction and the BI were from .90 to .93,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from .91 to .97.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cales and scales that assess patients' cognitive abilities, daily living abilities, and caregivers' emotions were suitable. Through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MBPC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as presented in the original article, but it was suggested that the two factors of the BI in the original article has limitations in the Korean situation. Lastly, in the analysis for the caregivers' objective and subjective stress according to dementia severit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e moderate or severe dementia patient group was remarkable. The influence between the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 was discussed, and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model for the stress process in th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should be investigated.

한국판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 대상으로
윤소미(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1051-1064
초록보기
초록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Metalsky & Joiner, 1997)는 Abramson, Metalsky, 그리고 Alloy(1989)가 가정한 우울증의 하위유형인 무망감 우울증의 8개 증상들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으로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의 타당화 연구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9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에 기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한국판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적절하였으며, 확증적 요인분석 결과, 각각의 하위증상들이 하나의 잠재변인인 무망감 우울증상으로 수렴하는 단일모델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가 무망감 우울증상을 측정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Metalsky & Joiner, 1997) is developed to measure of eight symptoms posited by Abramson, Metalsky and Alloy(1989) to comprise a specific subtype of depression-hopelessness depression. To study validation of the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Korean version for adolescents, a battery of scales was administrated to 213 high school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9 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resul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was investigated. Internal consistency was acceptabl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one factor model i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preferable, and supported that the latent variable-hopelessness depression was specified, which was measured by each sub-hopelessness depressions.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of Korean version is useful to measure and evaluate hopelessness depression.

한국판 대상관계질문지 타당화 연구
박부형(분당서울대병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1065-108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상관계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인 대상관계질문지(OR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상관계질문지의 신뢰도 및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한국판 요인점수 산출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 416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대상관계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상관계질문지의 Crohnbach α계수, 반분신뢰도(Spearman-Brown) 및 문항-요인점수간 상관이 비교적 우수한 편으로, 내적 일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3주 후)도 비교적 우수한 편으로, 시간적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Bell 등의 연구(1986)에서 나타난 미국판 대상관계질문지의 요인구조와 유사하게 불안정 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 및 자아중심성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아울러 대상관계질문지 한국판 요인점수 산출을 위한 요인점수 계수가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대상관계질문지의 공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학생 240명에게 대상관계질문지를 실시하여, 연구 1에서 도출된 한국판 요인점수 계수를 적용하여 요인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하위 요인점수들와 성인애착 유형(애착-의존, 애착-불안, 애착-친밀), 사회성 부족, 정신분열성 성격 장애 및 자기중심성 등을 측정하는 검사들 간의 상관을 보았다. 그 결과, 해당 검사들 간에 중간 정도에서 강한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한국판 대상관계질문지가 대상관계라는 구성개념을 신뢰롭고 적절하게 반영하는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alidate self-report measurement, Object Relations Inventory(OR Inventory). Study 1, to confirm reliability and factory structure of OR Inventory and to gain Korean factor score coefficient, OR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416 undergraduate & graduate students. In the results, Crohnbach α coefficient, split half reliability coefficient(Spearman-Brown), and item-factor score correlation of OR Inventory were found to have acceptably high, and the 3-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of OR Inventory was reasonably high. Therefor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tability over time OR Inventory were ascertained.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like the structure of English version of Object Relations Inventory in Bell et al's validation study(1985), four factors of insecure attachment, social incompetence, alienation, and egocentricity were extracted, and factor score coefficient matrix of OR Inventory was put out. In study 2, to confirm concurrent validity of K-OR Inventory, the scales measuring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elf-centricity, sociality deficiency, attachment-dependence, attachment-anxious, and attachment-close with the K-OR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240 undergraduate students. K-OR Inventory factors score applying factor score coefficient of K-OR Inventory put out in study 1 were ga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K-OR Inventory factor scores and corresponding the measures were found to be moderate to almost high positiv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K-OR Inventory ha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as a measure of object relatio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주의력 진단 검사의 제시순서와 난이도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주의 특성
김미연(서울대학교) ; 김은정(아주대학교) pp.1085-1108
초록보기
초록

과제의 난이도와 시행순서를 달리한 연속수행검사를 개발하여, 난이도와 시행순서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주의 특성과 진단적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의력장애 진단검사는 표적 자극과 비표적 자극을 동시적으로 제시하고, 자극의 제시빈도에 따라 시행순서(저-고비율시행 vs. 고-저비율시행)를 달리하고, 자극의 모양에 따라 자극의 난이도(저난이도 자극 vs. 고난이도 자극)를 조정하였다. 이를 위해, 만 7~9세 ADHD 아동 32명과 정상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주의력장애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 정반응시간편차, 예기반응, 민감도, 반응기준에 대해 지능을 공변량으로 하여 중다공변량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시행순서의 경우 저-고비율시행보다는 고-저비율시행에서 ADHD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더 많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난이도의 경우 정반응시간편차와 반응민감도에서는 저난이도가 고난이도보다 두 집단을 더 잘 변별하였다. 반면, 정반응시간에서는 고난이도가 저난이도보다 두 집단을 더 잘 변별하였다. 셋째,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고비율시행보다 고-저비율시행으로 제시할 때, 단일 난이도 조건보다 고난이도 자극과 저난이도 자극을 함께 제시할 때, 판별력이 더 높았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의력장애 진단검사가 난이도와 시행순서를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연속수행검사가 가진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tinuous Performance Test based on level of difficulty and trial order and to investigate attention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efficiency of ADHD. In the developed diagnostic test of attention, stimuli were presented simultaneously, trial orders(low-high frequency trials vs high-low frequency trials) were varied by presentation frequency of stimulu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was controlled by the shape of stimuli. 32 ADHD children and 40 normal children between the age of 7 and 9 completed the diagnostic test of attention. The MANCOVA of group × trial order and group×(level of difficulty) was performed on o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mean response time,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anticipatory responses, d' and β.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ial order, difference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high-low frequency trial was more than that in low-high frequency trial. Second, in terms of level of difficulty, difference of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and d'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at low level was more than those at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difference of mean response time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at high level was more than that at low level. Third,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accuracy rates in high-low frequency trials(94.3%) were higher than those in low-high frequency trials(73.0%). Accuracy rates at low level +high level(83.3%) were higher than those at low level(79.2%) and high level(77.8%). In conclusions, the developed test of attention based on trial order and level of difficulty compensate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한국판 발표불안 사고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조용래(한림대학교) pp.1109-112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발표불안과 관련된 부적응적 인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발표불안 사고 검사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SATI)의 한국판을 만든 후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세 가지 연구를 소개한 것이다. 한국판 SATI는 원판과 동일하게, ‘수행부족에 대한 예언’과 ‘청중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포’라는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결과는 독립적인 표본에 의해 반복 검증되었다. 한국판 SATI의 내적 합치도는 매우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한국판 SATI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역시 양호하였을 뿐 아니라, 발표과제에 대한 불안반응을 잘 예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한국판 SATI가 발표불안과 관련된 부정적 인지를 아주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발표불안에 대한 연구 및 임상 실제에서 한국판 SATI의 활용방안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three studies examining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a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K-SATI) - an instrument recently developed to measure maladaptive cognitions associated with speech anxiety. In Study 1, factor analyses of the K-SATI revealed a two-factor solution -“prediction of poor performanc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audience”, respectively. In Study 2, the two-factor structure was replicated.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satisfactory test-retest reliability over both two- and eight-week periods, an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Study 3, the scale demonstrated its predictive value for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SATI is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negative cognitive features of speech anxiety. Lastly, the utilization of the K-SATI in the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of speech anxiety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we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