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인지-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최지영(다복솔 센터) ; 김재환(한양대학교) ; 양윤란(연세대학교) pp.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인지-행동적 부모훈련은 행동수정기법과 반응적인 상호작용법을 포함하는 양육기술의 습득과 역기능적 사고의 교정과 분노조절법, 문제해결훈련 등의 부모를 위한 인지행동적 기법들로 구성되었다. 만 3-7세의 발달 장애 아동의 어머니 25명 중 훈련 집단 13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적응행동검사의 위축 영역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역기능적 태도와 부모역할 효능감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한편, 훈련 집단의 경우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반응성이 향상되었으며 어머니가 보고한 문제 행동의 심각도가 감소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cognitive-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targeti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The program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parenting skills such as behavioral modification techniques and responsive interaction skills. In addition, the program included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modification of parents' dysfunctional thinking, anger management skills, and problem solving training. 25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ages 3-7 years) particicipated in the study. 13 mothers in training group were compared with 12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ithdrawal of the 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Furthermor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renting stress resulting from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found. A significant change i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as not found. Observer-rated responsiveness in parent-child interactions as well as severity in mothers' report of problem behaviors declined significantly for mothers in the training program.

가정폭력이 집단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와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김소명() ; 현명호(중앙대학교) pp.17-3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폭력 노출이 초등학생의 집단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동이 가정에서 부모간의 폭력을 목격한 것과 자신이 직접 폭력을 경험한 효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 사회인지와 정서조절이 개입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4-6년생 386명에게 폭력노출의 내용과 사회인지와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완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부부간의 폭력을 목격하는 것은 사회인지를 통하여 가해행동과 연결되었다. 그러나 직접 폭력에 노출되는 신체학대는 정서조절을 통해 집단괴롭힘의 가해/피해행동으로 연결되지는 않았고 단지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인 불안정성이나 조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에서의 폭력노출은 집단괴롭힘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리고 폭력에 노출되는 형태에 따라 그 위험의 패턴도 다르다는 점과 집단괴롭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on peer group bullying. There will be difference between effect of witnessing and victimiz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cognition and emotion regulation will mediate the effects. In order to determine that, a total 386 children were given self-report measures of the type and level of violence exposure, and social-cognition. Emotion regulation capacities were assessed by teacher. Analyses indicated that while marital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nonvictimized aggressive behavior through social cognition, physical abuse was not linked aggressive victim behavior. But physical abuse was correlated with lability and regul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omestic violence exposure is linked to bullying behavior, suggest that there are distinct patterns of risk associated with different forms of exposure. And bullying intervention must be differentiated by substyles of bullying.

정신분열증환자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배성만(한양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33-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이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기본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22개의 얼굴표정사진을 컴퓨터 화면을 통해 정상인과 편집형 정신분열증 환자, 그리고 비편집형 정신분열증환자에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사진의 인물이 경험하고 있는 정서에 가장 적합한 기본정서목록을 보기 중에서 선택하게 하는 얼굴정서명명과제와 각 사진의 얼굴표정에 대한 쾌/불쾌의 방향과 강도(intensity)를 평가하게 하는 쾌/불쾌 평정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정서에 대한 쾌/불쾌 평정은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명명에 있어서는 비편집형 정신분열증의 수행이 유의하게 저조하였다. 부정적 정서에 있어서는 정상인, 편집형 정신분열증 환자, 그리고 비편집형 정신분열증 환자의 순으로 정서명명과 쾌/불쾌 평정이 정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증의 하위 유형에 따른 인지기능이 정서정보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정신분열증의 재활과정에 정서인식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며, 그 훈련이 정신분열증의 하위유형에 따라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f schizophrenia on emotional recognition. the subject were presented with 22 photographed face with 6 basic emotional expressions in computer monitor. And the subject were asked to identify which of the emotions best represents the affect expressed by the face(emotion identification task), and to rate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facial emotion of photograph(pleasure/unpleasure rat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pleasure/unpleasure rating to positive emotions between subjects was not significant and normal/schizophrenia paranoid was higher than schizophrenia nonparanoid in scores on face emotion identification task. In negative emo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schizophrenia paranoid and schizophrenia nonparanoid on the pleasure/unpleasure rating. And, normal, schizophrenia paranoid, schizophrenia nonparanoid obtained the higher scores on the emotion identification task in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among three groups can be expanded into the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and the subtype of schizophrenia can be assigned by the level of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se results impl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recognition program need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in schizophrenia treatment and the training of emotional recognition should differ in schizophrenia subtype.

생시에 경험하는 불안 및 스트레스와 꿈 내용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49-76
초록보기
초록

생시에 경험하는 특성불안과 스트레스가 꿈 내용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Hall/Van de Castle 꿈내용분석체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33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최근꿈 기록지에 최근에 꾼 꿈 내용을 기록하게 하고, 상태-특성 불안척도-특성과 생활사건질문지에 답하게 하였다. 그 결과, 특성불안이 높은 집단은 꿈 내용에서 신체적 불행 비율, 불행의 수, 상해 및 질병의 수, 분노의 수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친숙도 비율, 표현적 의사소통 활동의 수, 슬픔의 수, 의사소통 매체의 수가 낮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은 인지적 활동의 수, 슬픔의 수, 여자의 경우 남자/여자 비율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물 비율, 공격/우호 비율, 몸통/해부 비율 등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꿈의 연속성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Abstract

It was investigated how trait-anxiety and stress in waking life are reflected in dream content. It was recorded current dream and administered STAI-T and Life Event Questionnaire for two hundreds and thirty-three college students. Current dream contents were analysed by Hall/Van de Castle System. Dream contents of high anxiety group were more frequent in Bodily Misfortunes Percent, Misfortunes, Injured or Ill, and Anger, and less in Familiarity Percent, Expressive Communicative Activities, Sadness and Communication Media than those of low anxiety group. Dream contents of high stress group were more frequent in Cognitive Activities, Sadness and Male/Female Percent, and less in Animal Percent, Aggression/Friendliness Percent and Torso/Anatomy percent than those of low stress group. These results were partially supported by continuity hypothesis of dreaming.

아동의 장애유형과 어머니 애착유형이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희정() ; 강연욱(한림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77-90
초록보기
초록

정신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신체 장애아나 정상아 어머니보다 높았고, 안정애착 유형 어머니는 자녀의 장애유형과 상관없이 회피애착 및 불안애착 유형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낮았다.논 의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hildren's disorders and the maternal attachment styles on 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mental disorders, and normal controls.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RAA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Parenting Stress Index(PSI) Scale were administered to 115 mothers of children with mental or physical disabilities and 110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s showed most negative rearing attitude. The mothers with secure attachment style showed more positive rearing attitude than the mothers with avoidant and ambivalent attachment styles. The mothers with secure attachment style showed more controlling attitude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s than the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with anxious or avoidant attachment styles showed more controlling attitude f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of childre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s perceived highest level of parenting stress. The mothers with avoidant and ambivalent attachment styles experienced more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e mothers with secure attachment style.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몸매와 체중에 근거한 자기 평가와 신체 불만족이 여대생의 이상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선(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91-106
초록보기
초록

섭식 장애의 위험 요인인, 사회 문화적 태도의 인식 및 내면화, 전반적인 자아존중감, 몸매와 체중에 의존한 자기 평가, 신체 불만족이 섭식 장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여자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경로 분석 결과, 이상 섭식 행동 측정도구로서 EDI-2를 포함한 모형에서는 신체 불만족과 날씬한 외모를 강조하는 사회 문화적 태도의 인식과 내면화가 이상 섭식 행동을 설명하였으며, 전반적인 자아존중감과 몸매와 체중에 의존한 자기 평가는 신체 불만족에 매개되어 영향을 미쳤다. EAT-26을 이상 섭식 행동 측정 도구로서 포함한 모형에서는 신체 불만족과 몸매와 체중에 의존한 자기 평가가 이상 섭식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자아존중감과 날씬한 외모를 강조하는 사회 문화적 태도의 인식과 내면화는 신체 불만족에 매개되어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사회 문화적 태도의 인식과 내면화, 왜곡된 자기 개념을 반영하는, 몸매와 체중에 의존한 자기 평가와 신체 불만족은 이상 섭식 행동 및 섭식 장애에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신체 불만족이 다른 요인의 영향을 중재하는 중요 요인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wareness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self-esteem, shape and weight based self-evaluation, body dissatisfacti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3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th analysis with EDI-2(Eating Disorder Inventory-2) revealed direct effects of BSQ(Body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SATAQ(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on EDI-2, while BSQ mediated the effect of RSS(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SAWBS(Shape and Weight Based Self-Esteem) on EDI-2. And in path analysis with EAT-26(Eating Attitudes Test-26), BSQ and SAWBS explained EAT-26 directly and BSQ mediated the effect of RSS and SATAQ on EAT-26. Also, RSS was found the least effective predictor on EDI-2 and EAT-26 among other predictors. So, body dissatisfaction, awareness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and shape and weight based self-evalua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redictors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eating disorder pathology.

측두엽 간질 수술 후 기억 변화의 결정인
양기화() ; 유희정(울산대학교) ; 이상암(울산대학교) ; 강중구(울산대학교) ; 황성훈(울산대학교) pp.107-1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측 측두엽 절제술의 기억 성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측두엽 절제 환자중 해마 경화가 확인되고 오른손잡이이며 지능이 70이상인 사례(우측두엽 21명, 좌측두엽 17명)를 대상으로 했다. 논리기억, 언어 연합학습, 도형재생, 시각 연합학습 등을 수술 2개월 전 시점과 수술 16개월 후 시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수술부위(좌/우측두엽), 기억 재료(언어/시각 기억), 평가시기(수술 전/후), 그리고 성별의 사원상호작용이 유의미했다. 효과의 원천은 여자가 좌측두엽 절제후 언어기억이 향상되고, 남자는 우측두엽 수술 후 언어기억이 호전되는 양상에 있었다. 이는 수술 동측 반구의 재료 특정적 기억 저하, 대측 반구의 기능 해방 효과, 그리고 성차로서 여성에 특유한 언어기억의 높은 가소성이 상호작용해 기억변화의 양상을 결정함을 말해준다. 의외의 결과로, 수술 후에 기억이 전반적으로 호전되었는데(평가시기의 주효과), 기억 검사가 수술에 임박한 시점에서 고된 의학적 검사와 함께 이뤄져서 수술전 기억이 과소추정되었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수술후 기억 변화를 예측하는 추가적 변인을 탐색하였는데, 언어기억의 예측 변인은 수술시 연령이었다. 조기 수술일수록 기억의 예후가 좋았다. 반면 수술전 기억의 수준이나 발병 연령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시각기억의 변화에 대한 분석에서는 어떤 예측 변인도 찾아지지 않았다. 시각기억 변화의 불확실성의 원인으로서 시각기억 검사의 타당도 문제를 논의했고, 위치 기억 과제를 대안으로 채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mory outcome of anterior temporal lobectomy(TL). 21 right and 17 left TL patients who passed the inclusion criteria(having confirmed hippocampal sclerosis, right-handed, older than 16 years, and full scale IQ higher than 69) performed logical memory, verbal paired associate, visual reproduction, and visual paired associate about 2 month before and 16 month after the surgery. In the MANOVA, four-way interaction among side of surgery(left/right), memory material(verbal/visual), phase(pre/post operation), and gender was significant. The source of effect was analyzed to locate in verbal memory improvement of women after left TL and that of men after right TL. It implies that material-specific memory decline in ipsilateral lobe, release of function in the contralateral lobe, and higher plasticity of verbal memory in women as a gender difference may interact to determine the pattern of memory change. In addition we explored the predicting variables of memory change. To the prediction of verbal memory change, age at operation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but pre-operation memory level or age at onset did not.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visual memory we failed to find any predicting variable. To solve the null result from visual memory, a proposal to adopt the position memory task as an alternative measure was presented.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의 얼굴표정 인식
이은식(마인드빅 정신건강 상담센터) ; 오경자(연세대학교) pp.129-1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가 얼굴표정을 인식하는데 취약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7세~만 14세의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녀 11명, 정신분열병 이외의 다른 정신병리를 가진 부모의 자녀 14명, 정상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33개의 얼굴표정을 제시하고 얼굴에 나타난 ‘기쁜’, ‘놀라운’, ‘두려운’, ‘무척 싫은’, ‘슬픈’, ‘화난’의 6가지 기본 정서를 명명하는 과제와 얼굴표정의 긍정/부정과 각성을 7점 Likert 척도로 평정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가 다른 두 비교 집단에 비해 얼굴표정을 명명하는데 정확도가 떨어졌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정서변별이 쉬워 명확한 자극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가 통제 집단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부정과 각성 평정 과제에서는, 평균 평정치에 있어 집단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의 긍정/부정에 대한 평정치는 다른 집단에 비해 대학생이 평정한 값과 많은 차이가 있었고,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경향성이 있었다. 특히 ‘긍정’ 수준과 ‘중성’ 수준에서 이러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들이 얼굴표정에 드러난 긍정/부정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분열병 환자 자녀들이 얼굴표정 인식에 있어서의 취약성과 정신분열병 환자가 보이는 손상을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Children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recognize facial expressions. Thirty-three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and actresses were presented in photographs to 11 children of schizophrenic patients, 14 of patients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nd 13 of normal person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wo tasks: Labeling task where they were asked to identify emotion appropriate for each face and rating task where they were asked to make rating on the dimensions of pleasure/displeasure and arousal expressed in the face. In the labeling task, 7 alternatives-6 emotions(happiness, surprise, fear, contempt, anger and sadness) and 'other'-were given. A 7 point likert scale was used in the rating tas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labeling task, children of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less agreement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rating task, the three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mean rating of pleasure/displeasure or arousal. However, pleasure/displeasure ratings of the children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more deviated from those of college students than the other two groups, particularly for face with positive or neutral emotions, suggesting that they are likely to distort the extent of pleasure/displeasure in facial expressio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were discussed.

KWIS와 K-WAIS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가?
김홍근(대구대학교) pp.145-154
초록보기
초록

K-WAIS가 출간된 지 10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임상 현장에서는 KWIS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KWIS의 지속적 사용은 K-WAIS의 타당도에 대한 몇 가지 의심들에서 비롯된다. 이 의심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K-WAIS로 측정된 IQ가 KWIS로 측정된 IQ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판 지능검사의 IQ가 구판 지능검사의 IQ에 비해 낮게 산출되는 것은 세대별(또는 cohort별) ‘지능 상승’을 반영하는 것으로 전세계적인 현상이지 한국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한국처럼 세대별 지능 상승이 급격한 나라에서는 신판 지능검사의 IQ가 구판 지능검사의 IQ에 비해 약간 낮은 것이 아니라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K-WAIS로 측정된 IQ가 지나치게 낮다는 견해는 KWIS로 측정된 IQ가 올바르다는 선입견에 기반한 일종의 ‘착시(illusion)’현상이다. 한국의 급격한 세대별 지능 상승을 고려할 시 40년전에 제작된 규준(즉 KWIS 규준)에 근거한 지능평가는 극히 높은 수준의 ‘과대평가’로 귀착된다. 그러므로 K-WAIS를 사용하여 지능을 평가할 것이 적극 권장된다.

Abstrac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ublication of K-WAIS, but some Korean clinicians still prefer using KWIS. Their preference for KWIS may reflect certain doubts about the validity of K-WAIS on their part. The most serious of the doubts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K-WAIS are very low compared with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KWIS. However, lower IQs using a new version of an intelligence test relative to an old version is related to a rise of intelligence across generations (or cohorts). Thus, the phenomenon is not specific to Korea but found in most other countries as well. In addition, in Korea in which the rise of intelligence is estimated to be very steep during the past decades, it is only natural to expect that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a new version are not just low, but very low compared with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an old version. Thus, the view that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K-WAIS are very low is an illusion derived from the preconception that IQs measured on the basis of KWIS are correct. Considering the fact that rise of intelligence in Korea was very steep, a use of KWIS should result in severe overestimation of true intelligence. Thus, use of K-WAIS is strongly recommended.

Enhanced Cued Recall Task의 유용성: 초기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와 노인 우울증 환자의 변별
고혜정(분당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 김도관(성균관대학교) ; 김상윤(서울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구형모(용인정신병원) ; 권의정(삼성생명과학연구소) ; 이형석(성균관대학교) pp.155-1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7 Minute Screen의 Enhanced Cued Recall Task(ECR)가 초기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노인 우울증 집단을 변별하는 데 있어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ECR 과제는 학습과 인출 단계에서 동일한 단서를 제공하여 기억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주의나 비효율적인 전략 등과 같은 다른 인지 영역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초기 알쯔하이머형 환자 집단 21명과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우울증 환자 집단 21명을 대상으로 ECR,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의 기억 회상 과제, K-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K-AVLT)를 시행하였다. 판별 분석 결과, 알쯔하이머형 치매 집단과 노인 우울증 집단에 대한 전체 분류 정확률은 100%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변인은 ECR 과제의 총점과 K-AVLT의 재인 점수였다. 또한 ECR 과제는 K-MMSE 기억 회상 과제보다 더 높은 민감도, 특이도를 보였다. K-AVLT의 5회 회상 시행과 비교해서도 더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며, 지연 회상, 재인 과제와도 유사한 민감도, 특이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초기 알쯔하이머형 치매 집단과 노인 우울증 집단을 변별하는 데 있어 ECR 과제의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scriminative validity of the Enhanced Cued Recall Task(ECR) for early AD. The ECR induces semantic processing and coordinates encoding and retrieval for maximum recall by using the same category cues at learning and retrieval. Therefore the ECR reduces the influence of inefficient strategies or other cognitive process such as attention. There were 2 groups in this study: 21 early AD subjects; 21 geriatric depression subjects, who complained of memory decline, but,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showed no impairment. The ECR, 3-word recall task of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Korean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K-AVLT) were administered.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classification was 100%. ECR total score, K-AVLT recognition, delayed recall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Function which discriminate early AD group from geriatric depression group. The ECR had a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the 3-word recall task of K-MMSE and simila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K-AVLT delayed recall and recogn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CR may be very useful for discriminating genuine memory impairment of early AD from memory complaints of geriatric depression.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의 로샤 반응 특성
심은지(성신여자대학교) ; 민성길(연세대학교) ; 이창호(일본 도호대학 오오모리 병원 정신과) ; 김주영(연세대학교) ; 송원영(건양대학교) pp.169-1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의 로샤 반응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지지단체에 등록되어 있는 생존자들 가운데, 접촉이 가능하고, 검사에 동의한 26명과 지역 표집에서 동일한 성별, 연령, 학력 수준의 24명을 대상으로 로샤검사를 실시했다. 각각의 변인들은 Exner 종합체계(1993)에 따라, 통제력과 스트레스 내인력(control and stress tolerance), 인지(cognition), 정서(affect), 자기지각(self-perception), 대인지각(interpersonal-perception)의 총 5개의 군집으로 구분했고, Armstrong과 Loewenstein(1990)이 발전시킨 외상관련 내용지표(TC/R)을 독립적인 하나의 군집으로 추가하여, 총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 로샤 반응 특성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위안부 생존자 집단에 있어, (1) 비효율적인 문제해결과 대처방식(inefficient problem-solving and coping), (2) 부정확한 지각(perceptual inaccuracy), (3) 정서를 다루는데 있어서의 어려움(affect dysregulation), (4) 침투적으로 떠오르는 외상 관련 내용들(intrusive traumatic imagery)의 크게 4가지 정도로 로샤 반응의 특성을 정리할 수 있었다. 비효율적인 문제해결과 대처방식에 있어서, low Lambda, high D, AdjD, high Zf, W, DQ+%를 보여,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필요이상의 자원을 소모하는 경향성이 드러났다. low X+%, F+%, high X-%, S-%, high WSum6와 DR반응의 증가와 관련해서는 지각과 사고의 부정확성이 시사되며, 정서를 다루는 과정에서는 CF반응과 공격반응, 공백반응의 유의미하게 증가되어 있어, 충동적인 감정 표출양상과 내재된 분노와 공격성과 관련된 문제가 관찰된다. 마지막으로 Armstrong과 Lowenstein(1990)이 발전시킨 외상관련 내용지표(TC/R)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어 있어, 과거 성폭행과 그에 따르는 정신적 외상과 관련된 정신적 후유증이 시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orschach responses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Subjects were 26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 agreed to test and 24 community samples who were same sex, age, education with comfort women. Rorschach protocols were administered, scored, analysed according to the Exner's comprehensive system(1993). Each Rorschach variables was divided into 5 clusters(Control and stress tolerance, Cognition, Affect, Self-perception, Interpersonal-perception) due to the Exner's comprehensive system(1993), and added to Trauma-Content Index(TC/R) which was developed by Armstrong and Loewenstein(1990). As a result, group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characterized as (1) inefficient problem- solving and coping, (2) perceptual inaccuracy, (3) affect dysregulation, (4) intrusive traumatic imagery. First, low Lambda, high D, AdjD, high Zf, W, DQ+% were found in comfort women group. It tells us comfort women's tendency that they use excessive energy to solve problems instead of using simple and economical strategy. Second, low X+%, F+%, high X-%, S-%, high WSum6, elevation of DR response suggests perceptual inaccuracy and poor reality testing. Third, elevation of CF, AG, Space response suggests that comfort women have a problem with impuls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ner anger and aggression. Finally, comfort women displayed the elevated rate of TC/R, and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mfort women still have difficulties in issues associated with the past trauma and following psychological sequela.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을 위한 시계 그리기 검사의 효율성
허정일() ; 이형영(전남대학교) ; 윤진상(전남대학교) ; 국승희(전남대학교) pp.189-2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 및 정상 노인을 변별하는 검사로서 CDT의 효율성을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도의 치매환자로 진단된 25명의 환자들과 연령, 교육수준 및 성별을 균등화시킨 노인성 우울로 진단된 25명의 환자들 그리고 정상 노인 25명에게 시계 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절단점수, 효율성, 민감도, 특이도, +LR 및 -LR이 산출되었고, 각 그림에 대한 오류 유형도 분석되었다. 경도 치매집단의 CDT 점수는 노인성 우울집단과 정상 노인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CDT는 경도 치매집단과 정상 노인집단, 경도 치매집단과 노인성 우울집단은 잘 변별하였으나 노인성 우울집단과 정상 노인집단은 잘 변별하지 못하였다. 오류유형 분석 결과, 경도 치매집단은 노인성 우울집단이나 정상 노인집단에 비해 자극-속박반응, 개념결함, 공간과 계획오류가 더 많이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Clock Drawing Test(CDT)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from geriatric depression and normal elderly person. The CDT was administered to 25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mild dementia, 25 with geriatric depression and 25 normal control and these groups were similar in age, education and gender. The cut-off scores, efficien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likelihood ratio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 of each group were calculated and then the analysis of error type was conducted. CD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mild dementia patients from geriatric depression patients or normal controls but could not discriminate geriatric depression patients from normal controls. In the error type analysis of clock drawing, 'stimulus bound response', 'conceptual error' and 'spatial and planning error'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an in normal controls or in geriatric depression patients.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불안민감성 지표의 요인구조: 위계적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조용래(한림대학교) pp.207-220
초록보기
초록

불안민감성은 불안장애, 특히 공황장애의 발생, 유지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문항으로 된 불안민감성 지표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가 개발된 이래로, 그 요인구조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판 ASI의 요인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여러 가지 요인 모형들을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평가하였다. 한국판 ASI를 333명의 대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들의 반응을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Peterson과 Heilbronner (1987)가 원래 확인한 네 개의 1차 요인들, 즉 정신적 재앙, 공적으로 관찰 가능한 불안반응, 심폐위장계 감각 및 혈관미주신경계 감각 등에 대한 공포라는 1차 요인들과 불안민감성이라는 2차 요인으로 이루어진 위계적 4 요인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잘 부합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문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nxiety sensitivity is well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maintenance, and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articularly panic disorder.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16-item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in the literature about its factor structure.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a Korean version of the ASI(K-ASI), various factor model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were evalu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K-ASI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333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CFA supported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4 lower order factors and 1 higher order factor. The lower order factors as originally identified by Peterson & Heilbronner(1987) were fear of mental catastrophe, fear of publicly observable anxiety reactions, fear of cardiopulmonary and gastrointestinal sensations, and fear of vasovagal sensatio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전쟁으로 인한 PTSD 집단과 사고로 인한 PTSD 집단의 MMPI 프로파일 비교
이지현(단국대학교병원) ; 김유숙(서울여자대학교) ; 최영안(서울보훈병원) pp.221-2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과 사고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의 MMPI 프로파일 특성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DSM-III-R, DSM-Ⅳ에 의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들 97명 중 전쟁으로 인한 PTSD 집단이 53명, 사고로 인한 PTSD 집단이 44명 이였다. MMPI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전쟁으로 인한 PTSD 집단의 특징적인 코드 유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타당도 척도 F와 1, 2, 3, 6, 7, 8, 0에서 평균 T점수가 60점 이상 상승하였다. 또한 사고로 인한 PTSD 집단에서는 척도 1, 3이 각각 평균 T점수 71.50, 69.59 점으로 상승되어 있어, 1-3 코드유형이 이 집단의 특징적인 코드유형으로 밝혀졌다. 전쟁으로 인한 집단은 척도 K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인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p<.05, 사고로 인한 집단은 척도 L, F, 1, 2, 3, 7, 8, 9에서 정상인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다.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MMPI profil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of PTSD patients due to war and the group of PTSD patients due to accidents. Also it was investigat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TSD patients due to war and the group of PTSD patients due to accidents. Ninty-seven PTSD patients(patients due to war-53, patients due to accidents-44) were selected based on DSM-III-R and DSM-IV criteria, and their MMPI response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former group showed that the specific code-type was not found, but showed elevated scores of the F, 1, 2, 3, 6, 7, 8, 0 scales over 60T score. The results of latter group showed that the specific code-type was found 1-7, 1 on 70.50T and 7 on 69.59T score. The former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normal people in all scales(p<.05) except scale of K, and the latter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normal people in the L, F, Mf, Pa, Pt, Sc, Ma scales(p<.05).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꾀병척도의 타당도 연구: 경도 두부손상 환자를 중심으로
김용희() ; 유제민(강남대학교) ; 정애자(전북대학교) ; 정상근(전북대학교) pp.231-2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진단이나 감정환자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꾀병을 의심하게 하는 검사 전과 검사 도중의 10가지 행동특성들을 선별하여 꾀병척도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금 지불을 의식한 경도두부 손상 환자들의 과장되고 작위적인 증상표현을 Mal척도를 사용하여 감별해낼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다면적 인성검사를 중심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특히 F 척도와 연관성이 높았으며 임상 척도 중 PT와 SI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MRI상의 실재적 손상여부와 의도성을 고려하여 감정과 진단 환자를 구분한 후 그 밖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추가하여 데이터 마이닝한 결과 꾀병 환자들은 억제와 의도성을 가진 상태에서 피상적이며 비효율적인 대처 방식으로 일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Mal척도의 개념적 정의와 일치하는 것이며 임상 장면에서 MMPI등과 교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이를 토대로 MMPI 특수척도와의 연관성 및 다양한 임상 증상의 꾀병탐지에 대한 절단 점수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ies tested the validity of malingering scale after mild head trauma, with two primary objectives in mind. They were : First, to differentiate the artificial and exaggerate complaints from true symptoms of mild head trauma. Second, to specify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of malingering. MMPI was administered to 89 patients after mild head trauma. Results showed that Malingering Scale had sufficient internal reliability(Cronbach's α=.9264) and conceptual validity. The results of data mining showed that superficial and nonadaptive coping skills might predict malingering mainly by suggesting of surpression and intention. The integrated model of malingering will fit clinical condition with compensation very well when the data from variou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were added. The future study on malingering through data mining is desirable to simultaneous consider various clinical sample and scale procedure.

ADHD 아동의 회귀억제 결함
송현주(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신민섭(서울대학교) ; 권미경(연세대학교) ; 하은혜(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정신과(현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송동호(일산의로공단병원(현 영동세브란스 병원)) pp.243-252
초록보기
초록

회귀억제는 자동처리과정에 가까운 억제 주의기제로서 유기체의 효과적인 환경탐색을 위해 필수적인 기제이다. 본 연구는 ADHD아동중 회귀억제 결함을 보이는 하위집단의 유무를 밝히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총 24명의 ADHD인상하에 심리학적 평가가 의뢰된 아동 중 10명은 1000ms SOA 조건에서 회귀억제를 보이지 않았다. 1000ms SOA 조건에서 회귀억제를 보인 집단과 보이지 않은 두 집단에 대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지능과 연령에서는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CPT 반응시간편차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누락오류, 오경보오류과 반응시간 3개 변인에서도 회귀억제를 보인 집단의 수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ADHD집단내 회귀억제 결함을 보이는 하위집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회귀억제 기제가 정서적 문제에서 기인한 일시적 주의 산만이 아닌 본질적인 주의결함을 가진 아동을 효과적으로 변별해 낼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Abstract

‘Inhibition of Return’ is the inhibition mechanism that is nearly to becoming automatic process and it is essential in effective visual 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re are subgroups showing inhibition of return deficit in ADHD group or not, and to examine the features of ihnibition of return deficit in ADHD group. As a results, 10 children among 24 ADHD group that were consulted psychological testing under impression of ADHD didn't show inhibition of return in condition of 1000ms SOA(Stimulus Onset Asynchony). In group comparison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IQ and age variables between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variance(in CPT). In other variables of CPT the performance(om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reaction time), 14 children who showed 'inhibition of return' were superior to 10 children who didn't show 'inhibition of retur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exist subgroups in ADHD and that the inhibition of return mechanism will be the indicator to discriminate the child with basic attention deficit from the child with temporarily attentional problem due to emotional problem.

MCMI-Ⅲ 알코올의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253-2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MCMI-III 알코올 의존 척도를 우리말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261명의 남녀 대학생에게 MCMI-III 알코올 의존 척도(MCMI-B), CAGE 및 미시간 알코올 중독 선별검사(MA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MCMI-B의 내적 합치도는 .58이었다. MAST 및 CAGE와의 공존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MAST와의 상관계수가 .56, CAGE와의 상관계수가 .43으로 적절한 수준의 공존 타당도를 보였다. 알코올 중독 진단 분류를 위한 절단점에 따른 정확분류율, 민감도 및 특정도를 확인한 결과, 기저율 척도 점수 75점인 원점수 7점 이상을 알코올 중독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MCMI-B의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CMI-III Alcohol Dependence Scale(MCMI-B) in Korean version were evaluated with college students(N=264).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Cronbach α) of MCMI-B was .58. Concurrent validity coefficients of MCMI-B were .56 with MAST and .43 with CAGE. The cut-off point of MCMI-B for diagnosing alcoholism was explored. Considering correct classifying rati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aw Score 7(Base Rate Scale Score 75) was suggested best cut-off point. Factor analysis of MCMI-B revealed that 3 factor model is appropriat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