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주의력 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박윤정(성신여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 윤탁(축령복음병원) pp.721-737
초록보기
초록

주의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의 향상과 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의재활은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COMCOG로 이루어졌다. COMCOG의 주의재활 프로그램은 총 10 개의 세부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 주의, 지속 주의 및 주의 통합 등을 훈련하도록 개발되었다. 주의재활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언어/비언어 기억, 주의력, 실행 기능 등을 평가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의훈련을 받은 정신분열병 환자군 (실험군)과 훈련을 받지 않은 환자군 (통제군)은 훈련 전에 실시한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훈련 후에 실시한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즉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하여 주의력을 평가하는 d2 검사와 Stroop 검사의 수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실행 기능을 측정하는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도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Rey 도형 검사의 즉각적 회상에서 더 좋은 정확성을 보였다. 이에 덧붙여서 주의재활 훈련을 받은 환자들에서는 훈련 전에 비하여 훈련 후에 음성 증상과 일반병리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훈련을 받지 않은 환자들에서는 이러한 증상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인지재활 훈련이 만성정신분열병의 인지 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며,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인지 재활이 포함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attention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s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Th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COMCOG), which was developed for the rehabilitation of attention, was administered to 12 schizophrenic patients (treatment group). 12 schizophrenic patients were also served as controls (control group). The rehabilita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treatment group for 16 sessions, that is, 2 days a week for 2 months. For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s, a number of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ehabilit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he d2 test, Stroop test, the immediate recall of RCFT, and the perseverated responses of WC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habilit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cognitive enhancement, in particular for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for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n addition, the negative symptoms and general pathology of schizophren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만성 정신분열병의 회복과 관련된 변인의 연구
김나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명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39-7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회복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만성정신분열병으로부터 회복하는데 어떠한 변인들이 관련 되었는지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내 낮병원,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한 124명의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인지기능, 증상, 사회적지지 및 사회인지기능을 평가하고, 이들 변인들과 회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회복을 ‘희망’, ‘자기-책임감’, 그리고 ‘질병을 넘어서 삶을 꾸리기’의 세 가지 하위요소로 정의하였다. 회복의 심리-주관차원의 두 가지 요소인 ‘희망’과 ‘자기-책임감’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Corrigan 등(1999)의 회복평가척도(Recovery Assessment Scale)를 사용하고, 회복의 행동-기능적 차원에 속하는 ‘질병을 넘어서 삶을 꾸리기‘요소는 사회적응척도(Social Adjustment Scal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인지기능은 MMSE-K, 증상은 BPRS,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척도(Social Network Grid), 사회인지는 사회행동배열과제와 K-WAIS의 차례맞추기로 각각 평가하였다. 회복을 설명하는 변인들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희망’과 ‘자기-책임감’의 하위요소들로 구성된 심리-주관차원의 회복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인지기능 중 사회행동배열과제에서의 수행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질병을 넘어서 삶을 꾸리기’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회복의 행동-기능적 차원은 사회적 지지, 증상, 그리고 일반인지기능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인지기능이 ‘희망’과 ‘자기-책임감’같은 심리-주관 차원의 회복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반면, 사회적지지, 증상 및 일반인지 기능이 ‘질병을 넘어서 삶을 꾸리기’같은 행동-기능적 차원의 회복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만성신장애인들의 회복 과정을 살피고, 이들의 회복을 촉진하는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Recovery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on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empirical and objective studies until now. This study intended not only to define the recovery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but also investigated what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recovery of chronic schizophrenics among varicables such as general cognitive function, symptoms, social cognition,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were 124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enrolled and participated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for more than 2 year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as supposed to influence the recovery of the chronic schizophrenics, was Dependent variable was the recovery, composed of recovery scale and rehabilitation outcom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ocial support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both recovery and social function. Social cognition was important determinate of recovery. These data suggested that a promising way of recovery from chronical mental illness might be giving them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helping them to perceive social support. It was also proposed clinicians should consider social cognition as important target when developing rehabilitation plans.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청소년이 지각과 비행: 정서적 자율성과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 효과
정진경(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문경주((주) 마음사랑) ; 조아라(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pp.755-7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와 비행의 관련성,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정서적 자율성과 행동적 자율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2개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541명(남자=269, 여자=272)과 서울시 각 중학교에서 비행으로 상담 프로그램에 의뢰된 중학교 1, 2, 3 학년 학생 103명(남자=62, 여자=41)을 대상으로 정서적 자율성 척도, 행동적 자율성 척도, 아버지 표상-지각 척도, 어머니 표상-지각 척도, 청소년 비행 척도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 집단에서는 아버지 표상이, 여학생 집단에서는 어머니 표상과 아버지 표상이 비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아버지 표상과 어머니 표상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적 자율성과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자율성은 남학생 집단에서 비행에 대한 아버지 표상의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여학생 집단에서는 비행에 대한 아버지 표상의 영향과 어머니 표상의 영향을 모두 매개하였다. 행동적 자율성의 경우,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에서 모두 아버지 표상이나 어머니 표상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mediational effect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autonomy on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examined with adolescents ages 13 to 15. Emotional Autonomy Scale, Behavioral Autonomy Scale, Maternal Representation Questionnaire, Paternal Representation Questionnaire, and Adolescent Delinquen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331 boys and 313 girls in the 7th, 8th, 9th grad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ternal repres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delinquent behaviors in boys whereas in girls both paternal and maternal representation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delinquent behaviors. The emotional autonomy mediated the influence of paternal representation on delinquent behaviors in boys, and the influence of both paternal and maternal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emotional autonomy in girls. The mediational effect of behavioral autonomy the mediational effects was not supported by data from boys and girl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issue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성적인 침투적 사고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 방략
하승수(텍사스대 심리학부) ; 권석만(서울대학교) ; 이한주(텍사스대 심리학부) pp.771-789
초록보기
초록

강박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적 모델은 강박사고가 침투적 사고에 대한 잘못된 평가와 비효과적인 중성화 노력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적인 침투적 사고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을 비(非)성적인 침투적 사고에 대한 평가 및 통제방략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집단이 경험하는 다양한 성적인 사고의 빈도와 불편감 정도를 조사하였다. 죄책감, 성적 신념, 성 경험이 성적 사고의 빈도와 불편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는 성적 사고, 공격적 사고, 그 밖의 다른 침투적 사고가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성적인 침투적 사고는 공격적 사고나 다른 침투적 사고에 비해서 도덕적 사고-행동 융합과 사고에 대한 통제를 더 많이 초래할 뿐만 아니라 회피적이고 자기질책적인 통제방략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적인 침투적 사고로부터 강박증상이 발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cognitive model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proposes that obsessions are caused by misappraisals and ineffective neutralizing responses on one's intrusive thou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gnitive appraisals and control strategies on sexual intrusive thoughts with non-sexual intrusive thoughts. Study 1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discomfort of the various sexual thoughts in the undergraduate student samples. Guilt feeling, sexual beliefs, and sexual experience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frequency and discomfort of the sexual thoughts. Study 2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exual, aggressive, and other intrusive thoughts in the cognitive appraisals and control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xual intrusive thoughts elicit higher moral thought-action fusion, control over thought, and avoidant and self-blaming control strategies than aggressive and other thoughts do.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CD symptom's development from the sexual intrusive thoughts.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거식 행동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해
이상선(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791-813
다면 페르조나 검사를 통한 우울한 사람들의 성격특성
박순환(대남병원) pp.815-8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검사의 일종인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통하여 우울한 사람들의 성격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상집단과 하집단으로 나누어 페르소나 점수를 비교하였고, 연구2에서는 우울증 환자와 일반인 간에 페르소나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우울집단과 우울증 집단 모두에서 자기비판적인 페르소나와 민감한 어린이 페르소나의 점수가 더 높았고, 반면에 유희적 어린이 페르소나의 점수는 더 낮았다. 하위요인을 보았을 때, 우울한 사람들이 상처받기 쉬운 민감성, 실수에 대한 혐오, 강함에의 추구, 자기방어적 체면, 일완결지향성 등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활발성은 더 낮았다. 대학생 자료를 회귀분석한 결과, 자기비판적인 성향이 우울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이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persons by Multiphasic Persona Inventory. The Persona scores of the high(n=54) and the low(n=224) depressive students among 366 students were compared in Study 1. The Persona scores of the 42(male 21, female 21) depressives and 44(male 22, female 22) normals were compared in Study 2. The common results both of Study 1 and 2 were that the scores of the Critic and the Vulnerable Child Persona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score of the Playful Child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pressive groups than control groups. Among the subfactors, the scores of 'vulnerable-sensitiveness', 'striving for the strength', 'disgusting the mistakes', and 'defensing the face'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score of 'the liveli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pressive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study 1 were that the Critic had the stronges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the highest variance for explaining the depression.

외현적, 암묵적 알코올기대와 음주행동 간의 관계
박은영(대구정신병원) ; 김영환(경북대학교) pp.831-84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알코올의존집단의 음주행동에 내재되어 있는 인지요소인 알코올기대를 평가하고 알코올기대와 실제 음주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알코올기대는 유인가와 각성 차원으로 구분하고 이를 외현적 알코올기대 질문지와 암묵적 연상검사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외현적, 암묵적 알코올기대와 실제 음주행동 간의 관계 그리고 알코올기대로 음주행동을 예언할 수 있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음주집단, 사회적 음주집단, 알코올의존집단의 외현적, 암묵적 알코올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외현적, 암묵적 긍정 알코올기대 수준이 높았고 사회적 음주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외현적 부정 알코올기대 수준이 낮았다.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결과 외현적 알코올기대 뿐만 아니라 암묵적 알코올기대도 음주행동과 관련이 높고 음주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언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of different drinking group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outcome expectancy and drinking behavior. Alcohol outcome expectancy is the underlying cognitive factor of drinking. The explicit and implicit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in the following groups, including nondrinkers, social drinkers, and alcohol dependent patients, were compared. The explicit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of the social drinker and the alcohol depend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drinker group. The explicit negative alcohol expectancy of the social drinker group was lower than the nondrinker group and the alcohol dependent group. The implicit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of the social drinker and the alcohol depend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drinker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outcome expectancy and drinking behavior were analyzed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next se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licit, implicit positive alcohol expectancy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drinking behaviors. Result of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drinking behaviors can be accounted by various kinds of explicit and implicit alcohol expectan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ch drinking group expects different effect of alcohol and implicit alcohol expectancies can add the predictability with explicit alcohol expectancies.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기능과 실행기능-뇌손상의 심각도에 따른 비교
김귀애(봉생병원 임상심리실) ; 이명주(봉생병원 임상심리실) pp.849-8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TBI)을 심각도에 따라 구분하고 지능 수준을 통제하여 기억과 실행기능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LOC기간과 뇌영상 검사 결과를 토대로 외상성 뇌손상 집단을 경도(MTBI 25명)와 중등도 및 심도(MSTBI 25명)로 구분하고, 정상인(25명)과 수행을 비교하였다. Rey-Kim 기억검사와 Kims 전두엽 관리기능검사, 선추적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MSTBI군은 정상군에 비해 지능수준과 더불어 언어 학습과 장기기억, 시공간 기억, 인지 억제, 언어 유창성, 전환능력에서 유의하게 어려움을 보였다. MSTBI군은 MTBI군에 비해서도 언어적 장기 기억과 시공간 기억, 학습향상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MTBI군은 정상군에 비해 학습기울기와 시공간 기억, 인지 억제, 전환 능력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지능지수와 기억지수, 전두엽 관리지수를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MSTBI군과 정상군의 진단정확률은 92%였으며, MSTBI군과 MTBI군의 진단정확률은 96%였고, MTBI군과 정상군의 진단정확률은 78%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memory disturbance and executive dysfunction controlled by general intelligenc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TBI). TBI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ccording to duration of LOC in trauma and neuroimaging find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MTBI),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MSTBI). Rey-Kim memory test, Kims executive function test, & trail making test were administered. And then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STBI and normal control in general intelligence, verbal learning, verbal long term memory, visual spatial memory, inhibition, shifting, & verbal flu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STBI and MTBI in general intelligence, verbal learning, long term memor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TBI and control in verbal learning, visual spatial memory, shifting, and cognitive inhibition. Third, Multiple discriminated analysis between MSTBI and control demonstrated 92% of diagnosis precision rate in MQ, EIQ and IQ. Multiple discriminated analysis between MTBI and MSTBI demonstrated 96% of diagnosis precision rate, between MTBI and control demonstrated 78% of diagnosis precision rate. Finall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중독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임선영(길병원 신경정신과)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 조현섭(한국음주문화센터) pp.869-8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중독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이들의 성장배경, 중독과정에서의 음주형태, 음주동기, 심리기제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총 10명의 여성 알코올중독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면접을 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알코올중독자들의 음주형태는 알코올중독 초기단계부터 혼자서 주변의 가족이 모르게 술을 마시는(단독은밀 음주)형태로 나타났고 단독은밀 음주는 알코올중독 중기단계까지 계속되다 말기에 이르러서 주변의 가족들이 이들의 음주 문제를 발견하게 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알코올 중독과정의 초기와 중기단계에서 여성 알코올중독자들의 음주동기는 대부분 부정적 정서 완화 목적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각 중독단계에서 술에 의존하는 심리기제로는 자기위로, 기분전환, 자기고양이 발견되었다. 말기 중독단계에서는 심리적 신체적 의존이 모든 사례의 음주동기로, 이 시기의 음주의 효과는 죄책감과 무력감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임상적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언급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relating to alcohol addictive process of female alcoholics. Ten female alcoholics were interviewed in semi-structured way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se interview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First, most female alcoholics had one or more family members who died from problem drinking or were problem drinkers. Most of their siblings were problem drinkers or social drinkers as well. Second, It was revealed that most female alcoholics experienced alcohol drinking for the first time in their adulthood. Third, as for drinking pattern, female alcoholics inclined to drink alone without their family knowing their drinking life from the first phase to the middle phase of alcohol addictive process. Eventually, their drinking problem was known to their family in the last phase of alcohol addictive process. Forth, It was revealed that main drinking motivation of female alcoholics was to alleviate negative affection from the first phase to middle phase of alcohol addictive process. Life problems causing negative affect to female alcoholics were summarized as relationship problems, stressful life events, intrapsychic problems. Psychological motivation for drinking alcohol were found out as distraction, self-soothing, self-grandiose. In last phase of alcohol addictive proces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pendence were found to be drinking motivation in all female alcoholics and accordingly, female alcoholics were self-criticizing and self-abandonment due to drinking alcohol with losing self-control over drinking. As a result, suicidal attempts were reported in 3 cases.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
정승아(아주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887-9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하나의 모형을 검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5개 대학의 대학생 853명의 설문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의 매개역할을 가정한 모형과 가정하지 않은 몇 가지 대안 모형을 비교해 본 결과,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의식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모형이 유의하게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제시 동기가 높고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자기제시 동기가 높고 낮음에 따라 자기불일치에서 자기의식에 이르는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 사이의 관계에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 효과를 가정한 모형이 사회불안의 기제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discrepancy on social anxiety. A model proposed, included the mediator of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moderator of the self-presentation-motiv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Data from 85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assessing self-discrepancy, multi-dimensional self discrepancy scale(MDSDS) was developed. Other scales were: self-consciousness, public self-consciousness sub-scale of Fenigstein's SCS scale, rumination sub -scale of maladaptive self-focued attention scale(MSFA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and self-presentation-motivation scale(SPM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model hypothesizing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consciousness showed superior fit indices to other alternative models. And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discrepancy to self-consciousnes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SPMS' which show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presentation motiv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bout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신민영(성균관대학교) ; 김호영(성균관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pp.903-9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자존감에 의해 매개된다는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또한 자존감을 자기 개념의 여러 영역으로 나눈 후 어떤 영역과 관련된 자존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ADHD 증상을 높이 호소할수록 우울증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존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였을 경우, ADHD 증상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ADHD 증상이 자존감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자존감의 저하가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ADHD 증상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자존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 개념의 여러 영역 중 사회적 수용, 전반적인 자기 존중감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자존감의 저하가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어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the depression. We measured the self-esteem with the nine self-concept domains in order to find the most vulnerable self-concept domain at the adolescent with ADHD symptoms. 64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In result, the de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DHD symptoms when it was to the simple models without mediating factors. However, with the self-esteem included in the models as mediating factor, the direct effect of ADHD symptoms on the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model, ADHD symptoms influenced on the low self-esteem, and this influenced on the depression. That is to sa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the depression were confirmed. And the social acceptance and the global self-esteem were identified as the most vulnerable domains of the self-esteem among the nine measured at the adolescent with ADHD symptoms.

이차원 완벽주의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남궁혜정(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917-93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를 구분하는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 이 각각의 요인을 가진 집단들이 어떤 특성을 갖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를 구분하는 이차원 완벽주의 척도(TPS)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총 40문항으로 성취추구와 실패회피의 2요인으로 구성되었다. TPS를 타당화하기 위해 TPS와 BDI, BAI, MOCI, RSES, SADS, PANAS, 신체적 증상 그리고 PQ-NC를 295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TPS와 각 척도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실패회피 요인은 우울, 불안, 강박증상, 사회불안, 부적 정동, 신체적 증상, 그리고 완벽주의로 인한 부정적 결과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적 정동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성취추구 요인은 정적 정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 사회불안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성취추구와 실패회피 점수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성취추구 완벽주의 집단, 실패회피 완벽주의 집단, 혼합집단, 그리고 비완벽주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실패회피 성향이 높은 실패회피 완벽주의 집단과 혼합집단은 우울, 불안, 강박증상, 사회불안, 부적 정동, 신체적 증상 및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자존감은 더 낮았다. 실패회피 성향이 낮은 성취추구 완벽주의 집단과 비완벽주의 집단은 우울, 불안, 강박증상, 사회불안, 부적정동 및 완벽주의로 인한 부정적 결과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자존감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완벽주의가 성취추구 요인이나 실패회피 요인과 같은 특정한 요인에 의해 기능적이거나 또는 역기능적인 측면으로 분리되기보다는 이 두 요인이 한 개인 내에 공존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distinguished between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lso, to investigate various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perfectionist and dysfunctional perfectionists. The aim of Study Ⅰ was to develop a Scale to distinguished between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perfectionism. This Scale was consisted of achievement striving factor and failure avoidant factor. The aim of Study Ⅱ was to validate a Two-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TPS) by Study Ⅰ, to classify group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nd to investigate various characterisitics of groups. Failure avoidance factor of TPS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 anxie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social anxiety, negative affect, somatic symptom, and negative consequence of PQ. It was not related with posi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achievement striving factor of TP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ositive affect. It was not related wi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ubjects were classified with achievement striving perfectionist, failure avoidant perfectionist, mixed-perfectionist, non-perfectionist by the cluster analysis. Failure avoidant perfectionism group and mixed group were reported higly to depression, anxie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social anxiety, negative affect, somatic symptom, and negative consequence of PQ. They were reported lowly to self-esteem. Achievement striving perfectionism group and non-perfectionism group were reported lowly to depression, anxie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social anxiety,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consequence of PQ. In summary,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fectionism has multi-aspect than divided to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aspec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교사용(KRPC-TF)의 개발과 타당화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우순연(진주이반성초등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937-9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모용으로 개발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의 문항을 교사가 평정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교사용(KPRC-TF)을 구성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 4~6학년 1,399명을 대상으로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186명의 담임교사가 KPRC-TF로 평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반분신뢰도와 내적 합치도는 .78~.94의 범위, 중앙치는 각각 .85, .86이었고 SOM 척도점수를 제외하고는 교사용이 아동용과 부모용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113명의 아동을 교사 17명이 4주 간격으로 두 번 평정한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5~.91 범위, 중앙치는 .81으로 높았고 아동용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다른 척도들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VDL, DLQ, HPR 척도점수의 재검사 신뢰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용 척도의 신뢰도와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10개 표본으로 구분하여 KPRC 척도와 여러 가지 타당도지표를 실시한 결과 KPRC 각 척도는 원래 측정하려고 한 영역을 재는 타당도지표와는 중정도 이상의 정적 상관, 원래 측정하고자 한 영역과 개념적, 경험적으로 상반되는 타당도지표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부모용, 아동용과 비교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of children needs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children's self-reports and ratings of the parents and teach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Teacher Form(KPRC-TF) and test the fundamental reliability and validity. Class teachers who had more than 3 years elementary school services career (N=186) rated the teacher rating form items for 1,399 fourth-sixth grade elementary schoolers. The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s, except ICN scale, ranged .78~.94, the medians of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85, .8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efficients of children report form and parents rating form, the coefficients of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eacher rating form were high overall, except SOM scale. 17 teachers rated 113 students twice at 4-week intervals to test the test-retest reliability. The test-retest reliability, except ICN scale, were ranged .75~.91. The median (.81) was high.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VDL, DLQ, HPR scale score were higher than other scales' reliability which showed nearly similar score, compared with rating form for children. To test the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12 scales of KPRC-TF, sample were divided into 11 small sampl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KPRC-TF scales and various validity indices, the correlation were positively high with the indices measuring the original constructs which each scales proposed to measure. Contrary, there were neg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s and indices which measure the contrast concepts. Fin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arents rating form and children report form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개발: 초등학교 4학년 - 중학교 3학년 학생용
양윤란(마인드빅 상담센터) ; 오경자(연세대학교) pp.961-9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또래관계기술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회기술 척도 문항 중에서 또래관계기술만을 측정하는 46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342명, 중학교 1-3학년 301명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또래관계기술 척도는 19문항으로, 주도성과 협동/공감 두 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위 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74-.81이었고, 관련 척도와의 상관 분석 결과,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for 4th-9th grades students(PRSS) and to confirm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of preliminary 46 items assessing peer relational skills was collected from the existing social skills scales items. Participants were 643 students(342 in 4th through 6th grades and 301 in 7th through 9th grade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was composed of 2 factors (total of 19 items): Initiative, Cooperation/Empathy. Internal consistencies for its subscales ranged from .74 to .81.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correlational analysis with related scal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합리적 해결기술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최이순(연산정신병원) pp.973-98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입증된 개정판 SPSI-R 중 합리적 해결기술(RPS) 차원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알코올 환자들의 합리적 해결기술의 구체적인 결함을 밝힘으로서 이 도구의 합리적 해결기술 척도로서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 환자 60명과 정상집단 51명에게 MAST를 실시하여 집단을 선별한 후 RPS의 반응을 파악했다. 그 결과 집단간 합리적 해결기술 중 해결책 생성과 의사결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검사의 타당함을 밝혔다. 향후 알코올 환자들의 치료 후 평가를 위한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RPS(Rational Problem Solving Skill) was validated to demonstrate it's discriminant validity. That is, alcoholics and normals investigated difference in RPS component. MAST and RPS were administered to 60 normal persons and 70 alcoholic patients. Alcoholic pati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ST score. The results were validated to demonstrate it's discriminant validity. That is, five subscale scores of RPS were found to successfully separate alcoholics from normals. Specifically, alcoholics and normals significantly differed in GAS(Generational of Alternative Solutions), DM(Decision Making) of RPS.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