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유방암 환자를 위한 집단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김종남(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1-18
자기애와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관계
이원희(대구교육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19-3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인화되고 과업지향적인 현대 사회에서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인 자기애적 성격 특성과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자기애적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두 가지 도구인 자기애적 성격 검사(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와 자기애적 성격장애 척도(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 NPDS)를 한국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여 그 요인구조를 알아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NPI에서는 우월의식, 과시/허영심, 권력욕구/특권의식, 거만/착취성으로 명명되는 4가지 요인, NPDS에서 과민성, 칭찬/주목에 대한 욕구, 자기 중심성으로 명명되는 3가지 요인을 얻었는데 특히 NPDS의 3가지 요인 중 과민성 요인은 흔히 내현적 자기애로 설명되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하위 요인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와 어떤 관계를 보이는 지 분석한 결과,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는 NPI의 우월의식 요인과 NPDS의 칭찬/주목에 대한 욕구 요인이,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는 NPI의 권력욕구/특권의식 요인과 우월의식 요인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NPDS의 과민성 요인이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peculiarity(character) an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argeted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irst the factor structur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NPI)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NPDS) were examined. Four factors were founded in NPI: Superiority, Exhibitionism/Vanity, Need for Power/Entitlement, arrogance/Exploitativeness. Three factors were founded in NPDS: Hypersensitiveness, Need for Admiration/Attention. In relationship of NPI, NPDS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Superiority of NPI and Need for Admiration/Attention of NPDS influenced to self-oriented perfectionism. Need for Power/ Entitlement and Superiority of NPI influenced to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Hypersensitiveness of NPDS influenced to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가족의 애착, 귀인양식 및 자아탄력성과 표출정서(Expressed Emotion)의 관계
허정선(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37-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 환자의 부모가 과거 자신의 부모와 형성한 애착과 환자에 대한 표출정서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표출정서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귀인양식과 자아탄력성이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과 환자와 그 가족 9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애착유형과 표출정서, 그리고 가족의 귀인양식과 자아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애착은 환자에 대한 표출정서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귀인양식의 3요인 중 부정 사건에 대한 안정귀인은 애착과 부적 상관, 표출정서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부모의 자아탄력성은 애착과 표출정서를 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자신의 부모와 어린 시절 형성한 애착의 내적 작동모델이 후에 자녀에 대한 표출정서에 반영이 되고, 그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회복을 위해선 약물과 개인치료 뿐 아니라, 가족의 애착과 귀인양식, 그리고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두어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parents' attachment to their own parents and the quality of expressed emotion(EE) to patients. In addition to direct path of the effect of parents' attachment on EE, we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s of parents' attributional style and ego-resiliency as cognitive and personality variables. Korean-Level of Expressed Emotion(K-LE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ASQ) and Ego-Resiliency Scale(ER) were administered to 91 patients and their family.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attachment to their own parents was able to predict EE significant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ttributional style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However, the stable attribution about negative events of three subscales in attributional styl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E. Also, parents' ego-resiliency mediated between attachment and E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arents'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with their own parents early in life are a risk factor transmitting EE to their offspring later. Thus, for patients' better recovery, we should need effective family interventions focusing not only on medication and individual therapy, but also on parents' attachment, attributional style and ego-resiliency.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오경자(연세대학교) ; 김은이(연세대학교) ; 도레미(연세대학교) ; 어유경(연세대학교) pp.53-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초생활보호대상인 빈곤가정 청소년 146명(남 78, 여 68)과 비교집단 청소년 327명(남 160, 여 167)의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을 비교하고, 환경요인, 개인적 특성, 사회적 지지요인 등 이들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빈곤가정 청소년과 비교집단은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 등 적응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가족 및 또래환경요인은 우울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모두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반면 사회적 지지요인은 우울에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매우 적었고,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대체적으로 두 가지 적응지표와 고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인 위험요인으로는 가족의 정서적 환경, 친구의 비행성향, 그리고 회피적 대처방식이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 등 부적응의 지표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부모, 또래의 사회적 지지는 열악한 환경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켜주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하였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전반적인 내용은 빈곤집단과 비교집단의 남녀 청소년에서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지지의 보호적 기능은 빈곤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이 있어 집단의 특성과 환경적 맥락에 따라 그 비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146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on public assistance(Low Income Group) wer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of 327 adolescents i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n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adjustment were examined. The Low Income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ison Group in self-reported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amily risk factor,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s and avoidant coping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for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while positive coping style of adolescents an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teachers emerged as important protective factors. Family-related risk factor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girls compared to boys, while protective function of parental support appeared to be considerably weakened in the Low-income Group, suggesting that specific influence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might differ depending up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the group.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스트레스 대처방식, 증상,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김소형(성요한병원) ; 오수성(전남대학교) ; 이은희(성요한병원) ; 김현정(성요한병원) pp.73-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지각한 삶의 질의 요인구조를 살펴보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증상 및 가족의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후 2년 이상 경과하고 정신병원, 사회복귀시설 및 정신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SQLS(The 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Scale; SQLS)를 실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긍정적 자기지각, 불편감, 정서적 불안정성)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의 내적 합치도 계수는 적절하였다. 치료기관(정신병원, 사회복귀시설, 정신요양시설)에 따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차이는 없었으며 가장 신뢰하고 도움을 청하며 대화를 하는 가족 구성원은 어머니였다. 또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었고, 그 다음은 증상, 가족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스트레스 관리 시 문제해결적 대처방식을 더 자주 사용하며, 정신증적 증상이 적고, 가족의 지지를 더 많이 받을수록 환자가 스스로 지각하는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factor structures of the 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Scale(SQLS), and the influences of family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ies, symptoms on the quality of life. 222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of more than 2 years and who resided in a mental hospital, rehabilitation centers, mental sanatoria were examined with SQLS. Following analysis, three factors(positive self- perception, uncomfortableness, and emotional unstableness) were extracted from SQ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perso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 trusted, asked for help and wanted to talk to most was identified as the mother among family members.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quality of life score was best explained by the order of stress coping strategy, symptoms, and family support. In other words, it was report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they took more coping strategies, when they had less serious psychotic symptoms, and when they could have more family support. In conclusion,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가능성이 높은 아동들의 보상 양에 대한 반응 양상
김해숙(서울대학교병원) ; 신민섭(서울대학교) ; 이민규(아주대학교) pp.89-1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가능성이 높은 아동들과 정상 아동들의 보상 양에 대한 반응 편파 양상과 변별력 및 반응 시간을 알아보았다.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9-12세 남자 아동 총 6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Conners 교사용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가능성이 높은 아동 집단 28명과 정상 아동집단 32명으로 구분하였다. 개념 구별 과제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의 모양과 수 자극을 사용하여 각 집단의 절반에게는 모양에 따라 올바르게 분류했을 때와 수에 따라 올바르게 분류했을 때의 자극 보상 비율을 3:1로 주었으며 나머지 절반에게는 1:3으로 주었다. 그 결과 정상 아동들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들에 비해 더 많은 보상을 받은 자극에 대해 유의미하게 편파된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가능성이 높은 아동들이 정상 아동들에 비해 보상에 둔할 뿐 아니라 보상의 확률에 대한 내재화된 정보보다는 즉각적인 맥락에 따라 행동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문제점과 제안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ponse bias pattern, discriminability, and reaction time of boys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y by the differences in reward amount. Sixty subjects from 9 to 12 years of 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8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y and 32 for control group, according to Conners' abbreviated teacher rating scale. They were asked to identif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by form and number stimulus. Half of each group received reward differently. Half of Each group were rewarded 3 times much more when they identified form successfully and the others did number stimulus.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response bias toward more rewarded stimulus tha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y group di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tendency are less sensitive to toward and their behavior isn't controlled by indwelling information of reward possibility, but immediate contingencie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측두엽 간질 수술 후 인지기능의 변화: 기억력을 중심으로
진주희(성균관대학교) ; 강연욱(한림대학교) ; 홍승봉(성균관대학교) ; 홍승철(성균관대학교) ; 박재설(한림대학교) ; 서대원(성균관대학교) pp.103-116
영재아동의 인지적 특성과 과흥분성에 관한 연구: KEDI-WISC와 TTCT를 중심으로
송정남(인하대학교) ; 유지숙(인하대학교) ; 한인순(한국심리학회) pp.117-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영재판별을 받은 아동들의 인지적 특성과 과흥분성에 관해 KEDI-WISC와 TTCT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아동은 영재판별검사를 받고자 내원한 아동들 가운데 1차로 영재행동특성 질문지에서 해당규준에 충족되어 선별된 후, 개별화된 지능검사에서 IQ 130 이상으로 최종 영재판별을 받은 24명(평균 연령 8.08세)이었다. 이들에게 지능검사(KEDI-WISC), 창의성 검사(TTCT)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는 아동의 부모로부터 얻었다. 영재집단의 고유한 인지적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영재행동특성 질문지의 해당규준에 충족되었으나 지능검사에서 IQ 130 미만으로 우수집단으로 분류된 아동과 지능지수 및 소검사들을 비교한 결과, 영재집단은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토막짜기, 상식, 어휘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빠진곳찾기, 차례맞추기, 기호쓰기 검사에서는 유의한 점수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재집단은 우수집단에 비해 영재행동특성과 창의성검사의 영역별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미한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영재아동의 비지적 특성 중 과흥분성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영재집단과 평균 지능을 지닌 ADHD집단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영재와 ADHD는 모두 토막짜기에서 우수한 수행을, 차례맞추기, 빠진곳찾기 검사에서 낮은 수행을 보여 유사한 점을 드러냈다. 영재집단을 산만영재집단과 비산만영재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는데, 지능 소검사들 중 공통성에서만 비산만영재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고, 기호쓰기에서는 비산만 영재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성만을 보였다. 또한 창의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이 다른 아동들에 비해 더 과잉활동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두 집단 간 창의성 검사점수를 비교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영재행동특성간의 차이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overexcitability of the gifted children in KEDI-WISC and TTCT. The subjects were 24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scored above 130 points on KEDI-WISC, which was considered as gifted children. KEDI-WISC and TTCT were given to gifted children and KPI-C,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acquired from their parents. To investigate peculiar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SIQ, VIQ, PIQ and 10 subtest measures of KEDI-WISC were compared among 1)gifted(n=24), 2)superior(n=13) and 3)ADHD(n=18). The result was shown that gif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n block design, information and vocabulary of KEDI-WISC than the other two groups, but picture completion, picture arrangement, digit symbol of KEDI-WIS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other groups. Based on previous study of overexcitability of gifted children, gifted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inattentive and non-inattentive group. Non-inattentiv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imilarity test of KEDI-WISC than inattentive group, and they also showed higher score on digit symbol test which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previous creativity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ho have higher scores of creativity test are more hyperactivity than other children. However, inattentive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non-inattentive group on TTCT score. Final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강박장애환자와 성 범죄자의 부정적인 성적 침투사고의 특성
문영은(중앙대학교) ; 진성오(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139-156
아동과 청소년 정신병리 집단들에 나타나는 실행 능력(Executive Function)의 문제
오현숙(한신대학교) pp.157-1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CD-10에 의해서 진단된 아동과 청소년 정신병리 집단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11세에서 18세까지의 연구대상자는 총 49명으로 섭식장애, 신경증장애, 품행장애, 과잉행동장애, 정신분열병의 5개 진단군으로 분류됐다. 이들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서 협의의 실행능력 정의에 따라 선택된 총 4개의 신경심리학적 검사가 사용되었다. 4개의 검사는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Tower of Hanoi (TOH), Trail Making Test (TMT) 및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이다. 이 검사를 통해서 사고전환의 어려움, 목적과 미래지향적 의도행동, 인지적 융통성 그리고 수동적 회피가 측정되었다. 정신분열병 아동과 청소년은 사고전환의 어려움과 인지적 융통성에서 4개의 나머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실행능력의 저하를 나타냈고,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청소년은 행동억제를 반영하는 수동적 회피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 아동과 청소년은 사고전환의 어려움에서 정신분열병 진단군 다음으로 나머지 진단군과 구별되는 실행능력의 저하를 나타냈으나 이 차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에 달하지는 못했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과 청소년 정신병리 집단들 간에 실행능력의 질적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5개 진단군에서 얻은 연구결과가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비교되며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t deficits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diverse range of diagnoses of ICD-10. The subject(n= 49) aged 11 to 18 years belonged to 5 diagnosis groups which were as follows: eating disorder (ED), neurotic disorder, conduct disorder (CD), hyperkinetic disorder (HKD), and schizophrenia. The subjects were compared on a neuropsychiatric test battery consisted of the following 4 executive function tasks according to the narrow definition of EF: WCST perseverative error, TOH move, TMT Part B, and CPT nogo. The 5 diagnostic groups were distinguished significantly on the variables, perseveration(set-shifting), cognitive flexibility, passive avoidance (inhibition), but they didn't be on behavior planning. The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4 other psychiatric groups on the perseveration(set-shift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The patients with HKD showed the significant worse performance than the rest 4 groups in regards to passive avoidance (inhibition). The patients with ED presented with a perseveration(set-shifting) more deficit than the rest groups without schizophrenia, but i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pecificity of EF for specific diagnosis groups exists, i. e. there are quality differences of EF between diagnosis groups.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김호영(성균관대학교) ; 이임순(숙명여자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이주영(성균관대학교) ; 조상수(성균관대학교) pp.171-186
초록보기
초록

아동기의 대표적인 정신장애로만 인식되어왔던 ADHD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만성장애로서 인식되어 감에 따라 성인 ADHD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의 평가 도구 중 하나인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CAARS, Conners, Erhardt & Sparrow, 1999)를 번안하고,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그 심리 측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내적 일치도의 파악 및 요인 분석을 위해 대학생 91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CAARS(CAARS-K)를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대학생 5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공존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CAARS-K의 각 하위 척도는 내적 일치도가 모두 양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념의 문제’ 척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는 성인기 주의력결핍 증상과 아동기 ADH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의 척도와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3개의 구성 요인이 채택되었으며, 이 요인 구조는 전체 분산의 34.2%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은 ‘정서적 문제’, ‘과잉 활동성 및 충동성’, ‘관리 기능 상의 문제’로 명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CAARS-K). Participants were 912 normal college students for the examination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factor analysis. Additionally 5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CAARS-K. The four factor-driven subscales of the CAARS-K produc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relatively strong test-retest reliability over one or two week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other ADHD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ose of antecedent research and suggested a three-factor structure accounting for 34.2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These factors were termed by emotional problems, hyperactivity/impulsivity, deficient executive func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분노사고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
서수균(서울디지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187-2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 대한 세가지 인지이론(Beck, 200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에서 시사된 바에 따라, 분노유발 상황에서 일어나는 자동적 사고를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로 구분하고 각각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대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수집하고, 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 척도의 수렴/변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일차적 분노사고 척도는 총 20문항으로 2요인구조(타인의 부당하고 이기적인 행동에 대한 예민성(11문항), 친밀한 관계 상황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9문항))를 보였다. 요인별 내적 신뢰도는 .86과 .80이었다. 2)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는 총 34문항으로 3요인구조(타인비난 및 보복(19문항), 무력감(7문항), 분노통제 및 건설적 대처(8문항))를 보였다. 요인별 내적 신뢰도는 .96, .78, .75였다. 3)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 척도의 수렴/변별 타당도는 일관되게 지지되었다. 이차적 분노사고의 분노통제 및 건설적 대처 요인은 적응적인 분노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여, 기능적인 분노사고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of three cognitive theories of anger(Beck, 200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 the automatic thoughts which occur in anger situations can be divided into primary anger-thought and secondary anger-though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scales which assess primary anger-thought and secondary anger-thought separately. Initial items were sampled in 179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liminary Primary/Secondary anger-thought scale were administered to 408 undergraduate studen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in 410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in results were: 1) The Primary anger-thought scale was composed of 20 items, 2 factors (Sensitivity to wrongful and selfish behavior of others(11 items), disregard and disappointment in intimate relationship situation(9 items). 2) Th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was composed of 34 items, 3 factors(Derogation of others/revenge(19 items), Helplessness(7 items), Anger-control/ constructive coping(8 items)). 3) The internal reliabilities of each factors in the Primary/Secondary anger-thought scale were .75.96. 4)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rimary/Secondary anger-thought scale were supported consistently. The Anger-control /constructive coping factor in th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daptive anger behavior, and is suggested to be functional anger thought.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 평가: 변화단계척도(SOCRATES-K) 개발연구
전영민(을지대학교) pp.207-2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SOCRATES(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K)를 제작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원래 SOCRATES는 문제음주자들의 변화동기를 평가하도록 설계되었으나 SOCRATES-K는 한국의 실정에 맞추어서 알코올 의존자 및 남용자의 변화동기를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개방병동 표집(N=81) 및 폐쇄병동 표집(N=61)에 대한 자료분석 결과, SOCRATES-K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회전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고 비교적 직교적인 3개 요인 즉, 인식, 실천 및 양가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인식 점수는 병식 및 문제심각도와 보통정도의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양가성 점수는 보통정도의 부적 상관이 있었다. 실천 점수는 음주갈망과 높지는 않지만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SOCRATES-K),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riginal SOCRATES is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motivation for change in problem drinkers, but the SOCRATES-K is designed to assess motivation for change in alcohol dependents. Data from a open ward sample(N=81) and a closed ward sample(N=61) provided support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OCRATES-K. Factor analyses yielded 3 relatively unrelated factors that were stable across rotations: Recognition, Taking steps, and Ambivalence. Recognition scores at baseline were found to be moderately positive related to degree of problem insight and intensity of alcohol problems, and Ambivalence scores were found to be moderately negative related. Taking steps scores were found to be mildly negative related to alcohol crav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 반응
최성진(부산대학교) ; 국승희(전남대학교) pp.225-242
초록보기
초록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는 빠른 시간 내에 신경인지기능의 여러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강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치매환자들에 대한 CDT의 변별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CDT가 치매환자의 변별뿐만 아니라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뇌손상 심도도 제대로 반영해 줄 수 있는 검사인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두부외상으로 인한 정신장애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대한 조사와 함께 CDT 및 K-WAIS를 실시하였다. Golden과 Golden(2003)의 뇌손상 심도분류를 기초로 하여 환자들을 두 집단(경도에서 중등도 집단, 심한 정도에서 매우 심한 정도 집단)으로 분류한 후, 집단간 CDT 반응의 3개 하위 채점체계 점수와 총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분류된 두 집단의 K-WAIS 수행과 CDT 반응간의 상관 및 뇌손상의 심도와 오류유형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뇌손상이 심할 수록 CDT 점수가 더 낮았다. 아울러, CDT 점수는 뇌손상이 경도에서 중등도인 집단에서 보다는 심한 정도에서 매우 심한 정도의 뇌손상을 보이는 집단에서 K-WAIS의 소검사 점수 및 지능지수와 더 상관이 높았다. 심한 정도에서 매우 심한 정도의 뇌손상 집단은 시계의 크기와 그림에서의 어려움 오류를 더 많이 나타냈으나, 그 밖의 오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CDT가 치매환자들뿐만 아니라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간략하게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Clock Drawing Test(CDT) has the strength to evaluate several domains of the neurocognitive func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focused mainly on the efficiency of the CDT for differentiating dementia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DT could correctly reflect the severity of brain injury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s well as differentiating dementia patients or not. Afte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CDT and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Test(K-WAIS) were administered to 69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due to traumatic brain injury. Based on the severity classification of brain injury by Golden and Golden(2003),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mild to moderate and severe to very severe. The two groups' scores on 3 subscoring systems and the total scores of the CDT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K-WAIS and the CDT respons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verity of brain injury and the error type of the CDT response were tested. As a result,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 severity of brain injury and lower CDT scores in patients. Additionally, the CDT score was more correlated with the subtest scores and IQ of the K-WAIS in the severe to very severe group than the mild to moderate group. The group with severe to very severe brain injury showed much more errors in size of the clock and graphic difficulties but didn't show the others of the errors 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DT can be useful in assessing the neurocognitive function of the traumatic brain injured patients as well as the dementia patients.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사회불안장애 청소년에 대한 집단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조용래(한림대학교) ; 이경선(한림대학교) ; 황경남(한림대학교) pp.243-2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집단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고교생 12명 중 8명이 총 8회기로 구성된 집단인지행동치료에 끝까지 참석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치료 전, 4회기 후, 종결 직후, 그리고 종결 2개월 후에 사회불안증상 및 관련 인지척도들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결 당시에 평가된 대부분의 사회불안측정치들에서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보였다. 이런 치료효과는 종결 후 2개월 동안 지속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집단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장애를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the treatment of social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ts. Of twelve high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eight completed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8 sessions. Social anxiety symptoms and cognition measures were given at pretreatment, midtreatment, posttreatment, and 2-month follow-up. Results showed that at posttreatment,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led to improvement in most measures of social anxiety symptoms and cognitions. The treatment effects were maintained at 2 month follow-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