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화장행위를 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외모인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화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에 거주하는 20대부터 50대까지 화장경험이 있는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측정변인들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간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남성의 성역할 정체성 유형이 남성의 화장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집단간 평균차이를 알아보는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화장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으로부터의 사회외모인식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화장태도에는 직접적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모만족도와 사회외모인식 모두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화장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의 성역할 정체성 유형중 양성성과 남성성은 여성성과 미분화 유형에 비해서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외모인식에서는 여성성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화장태도에서는 양성성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화장행위와는 별개로 남성화장행위의 이유와 동기를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ocial appearance awareness on the attitudes toward makeup using self-esteem as a mediator variabl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men in ages from 20s to 50s living all over the country who had make-up experie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n addition, a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groups to determine how gender identity types in men affect men's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appearance was, the more positive the self-esteem was. The more the awareness of social appearance was, the more positive the self-esteem was, but the awareness of social appearance had no direc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make-up. However, both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social appearance were found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make-up mediating self-esteem. Meanwhile, androgyny and masculinity among male gender identity typ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an in femininity and unidentified types, while in the awareness of social appearance, femininity was higher than other types. In terms of make-up attitude, the androgyny type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other types. Apart from women's makeup, these results can be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motivations for men's makeup.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http://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19/10/24/2019102480216.html
https://www.cmn.co.kr/mobile/sub_view.asp?news_idx=29212
고선영 (2017). Zaltman의 은유유도기법을 이용한 화장하는 남성들의 이상적 자아와 환상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1, 1-16.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 358-365.
김수민ㆍ주성래 (2018). 남자 대학생의 나르시시즘과 외모관심도가 화장태도 및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9, 238-253.
김일란ㆍ김주덕 (2013). 남성화장에 대한 여대생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 3, 169-187.
박헌균 (2013). 젠더적 특성과 뇌 기능 분화 간의 연관성을 고려한 남성 화장품 용기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34, 159-168.
안진경 (2011). 2000~2010년의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남성 화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창조ㆍ정혜은 (2002). 소비자의 아름다움 추구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성의 치장과 여성의 화장, 성형 및 피트니스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3, 211-232.
이윤정 (2007).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의 동기에 관한 연구-성역할 정체성과 의복추구혜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 551-562.
이학식ㆍ임지훈 (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법문사.
정진경(1990). 한국 성역할 검사 (KSR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5, 82-92.
최수경 (2007). 신체만족도와 화장태도에 따른 화장 후 심리적 기대효과의 관련변인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 885-897.
한가영 (2012). 남성화장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가영ㆍ김주덕 (2012). 남성화장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 61-77.
한규석 (2015).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p.66
홍병숙ㆍ백인선ㆍ권유진 (2007). 남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개념이 외모관심도와 화장품 및 헤어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집, 26, 51-61.
황수연 (2014). 남성 색조 화장품의 제품별 사용실태 및 인식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fonso, V. C., Allison D. B., Rader, D. E., & Gorman, B. S. (1996). The Extende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8, 275-301.
Banaji, M., & Prentice, D. (1994). The self in social contex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5, 297-332.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Bem, S. L. (1975). Sex role adaptability: one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634-643.
Cook, E. P. (1985). Psychological androgyny. N. Y.: Pergamon Press.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Eagly, A., Ashmore, R., Makhijani, M., & Longo, L. (1991). What is beautiful is good, but....: A meta-analytic review of research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stereotype. Psychological Bulletin, 110, 109-128.
Feingold, A. (1992). good-looking people are not what we think. Psychological Bulletin, 111, 304-341.
Fisher, E. & Arnold, S. J. (1990). More than a Labor of Love: Gender Roles and Christmas Gift Shopp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 333-345.
Higgins, E. T. (1987). Self 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Kaplan, A. G., & Sedney, M. A. (1980). Psychology and sex roles: An androgynous perspective. Boston: Little, Brown.
Rogers, C. R. (1959).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In S. Koch (E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Formulations of the Person and the Social Context (Vol. 3, pp. 184-256). New York: McGraw Hill.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Middleto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55.
Swann, W. B., Stein-Seroussi, A., & Giesler, R. B. (1992). Why people self-verif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392-401.
Tesser, A. (1988). Toward a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of social behavio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1, 1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