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년기 직장여성의 다중역할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생성감의 매개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Role Characteristics of Employed and Married Women in Mid-Life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ng Role of Generativ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일제(full-time)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262명의 중년기 기혼여성들을 상대로 생활만족도 및 생성감과 이들을 설명해 주는 다중역할 특성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리고 그 관계에서 생성감의 매개역할을 밝히는 것이었다. 그러한 관계 및 매개역할을 밝히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또 그 회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회로모델을 도출하였다. 모델에 따르면, 가계생활수준이나 직업만족도, 친밀감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생성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드러났다. 반면 아내 역할과 가정경제 기여도는 생성감을 매개로 하지 않고 생활만족도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그리고 결혼지속기간과 학력 및 어머니 역할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생성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 among multiple role characteristics of employed women in mid-life which could explain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generativity among those relations. Participants were 262 full-time employed married woman. To identify the relations and mediating ro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nd a path model based the analyses was drawn out. According to the model, socio-economic status, job satisfaction and intimacy explained directly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explained it when mediated by generativity. The variables such as wife role and contribution to domestic economics explained directly life satisfaction without a mediator generativity. The period of marriage, education and mother role did not influence directly but indirectly upon life satisfaction when generativity was employed as a mediator.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