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가부장적 원가족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
오현주(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최승미(고려대학교) ; 조현(고려대학교) pp.1-16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부간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부부와 같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구분되는 커플자료의 분석으로 APIM 방식을 채택했다.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결혼기간이 3년 미만이며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98쌍(186명)을 임의표집방법으로 모집하고, 개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는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과 아내 모두에서 유의한 자기효과를 보였으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원가족의 가부장적 경험은 자기의 결혼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 배우자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원가족의 가부장적 경험은 부부의 부정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남편 원가족의 가부장 경험은 부정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통해 남편 본인의 결혼만족도 뿐 아니라 아내의 결혼만족에도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신혼부부 중 특히 남편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의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신혼부부의 건강하고 균형 잡힌 적응을 위해서는 부부 의사소통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patriarch atmosphere of origin family on marital satisfactions. Ninety-eight newlywed coup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spent less than three years in married having no children. The study examined the way how the patriarch atmosphere of the origin family of couples affected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triarch atmosphere of the husband's and wife's origin family had a significant actor effect his/her marital satisfactions, whereas they presented a non-significant partner effect on it. It indicated that the patriarch atmosphere of origin family had an actor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it didn't have a partner effect. In addition the patriarch experience of the origin family indirectly affected on marital satisfaction by mediating the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 of the couples. In particular, the husband's experience from the patriarch family affected not only on his own marital satisfaction but also negatively on wife's satisfaction through their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rital intervention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 husband's patriarch experience of his origin family on marital satisfactions, and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is present study are discussed.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에 관한 연구: 성별과 결혼상태 효과를 중심으로
정은주(고려대학교) ; 최기홍(고려대학교) pp.17-31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조사한 대규모 노인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정도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령과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 성별과 결혼 상태에 따른 우울정도와 인지기능의 차이를 살펴보고, 둘째, 연령과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 우울증상, 성별, 결혼상태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인 4,040명이며 평균 연령은 73.56세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령과 교육수준을 고려한 후에도 무배우자 집단이 유배우자 집단보다 높은 우울 증상을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우울 증상을 보였다. 우울 증상에서 성별과 결혼상태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여성 노인의 경우 결혼 상태와 우울 정도가 관련이 없었으나, 남성 노인의 경우, 남성 무배우자 집단이 남성 유배우자 집단에 비해 높은 우울 증상을 보고하였다. 둘째, 연령과 교육수준을 고려한 후에도,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 집단보다 높은 인지기능을 보였다. 그러나 인지기능에서 성별과 결혼상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연령 및 교육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성별, 결혼상태,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을 이해하고 관리함에 있어 성별, 결혼상태의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relations of cognitive functions with gender and marital status, 2) to examine relations of depressive symptoms with gender and marital status, and 3)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der, marital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on cognitive functions in Korean older adult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040 and the participants’ age ranged 65 years to older. The mean age was 73.56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or non-married adults reported greater depressive symptoms than male or married adults. Also,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status (married vs non-married)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moderated by gender. That is, men showed higher cognitive functions than wom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gender, and marital status, depressive symptom was identified as a sole significant predictor on cognitive funct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gend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examining an older individual’s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s. Also,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population may confer an increased risk factor for cognitive dysfunctions.

대상관계수준과 파트너의 행동이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의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성규(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33-53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상관계 수준, 파트너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이성교제 시 발생할 수 있는 집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남녀로 나누어 살펴보고, 대상관계 수준과 집착행동 사이에서 파트너의 긍정적․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 중이며 현재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상관계 수준 척도, 파트너 행동 척도, 집착행동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집단에서는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 행동 빈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자 집단에서는 남자집단과 마찬가지로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의 부정적 행동 빈도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남녀 집단 모두에서 집착행동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았으며, 끝으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ship level and frequency of partner behavior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adults who were dating. The Questionnaire contained Object Relationship Inventory, Jibchack Behavior Scale, The Frequency and Acceptability of Partner Behavior Inventory (FAPBI), Scale for Satisfaction of Romantic-relationship. The result showed that object relationship level was predictive of limerence and level of limerence was predictive dissatisfaction of relationship in male and female. And Frequency of partner's negative behavior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between object relationship level and limerence only for female. The result would helpful understanding limerence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improving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자매로 살아가기-현상학적 연구
정주은(경성대학교) ; 천성문(경성대학교) pp.55-83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둔 자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둔 자매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주로 하고 인터넷메일, 전화면담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비언어적인 특성에 대한 메모를 참고하였고 연구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은 관찰일지도 참고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둔 자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자매의 성폭력 사건을 알게 됨>, <소름 쫙 끼치는 절망적인 사건>, <입 밖으로 꺼내기 싫은 이야기>, <외상후 스트레스를 경험함>, <가족관계의 변화>, <피해 생존자매에게 드는 양가적 감정>, <자기 존재의 이중성>, <위기 대응방식과 생존 전략>, <생존전략조차 선택하기 어려움>, <성장 전략>이라는 10개의 구성요소 아래 27개의 하위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성폭력 사건은 자매에게 심리적 충격 뿐 만 아니라 다양한 감정으로 인한 갈등과 고통, 신체적 증상, 가족관계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지만 피해 자매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성폭력 사건으로부터 긍정적 경험을 가져 자기성장을 하려 노력한다. 둘째, 피해 생존 자매에게 양가적 감정을 느끼며 자매에게 발생한 성폭력 사건의 타자이면서 성폭력 사건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 주체이기도 한 자기 존재의 이중성으로 혼란스러워하지만 자신을 피해자로 스스로 인정하며 자기 존재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다. 셋째,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둔 자매는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고 솔직하게 드러내며 주변의 전문적인 도움을 통해 자기치유와 성장을 하고 싶어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둔 자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과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ree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earcher mainly used the In-Depth Interview for this study including E-mail and phone call interviews. The researcher also used notes on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her own personal thoughts and feelings. As a result of analysis on experiences of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earcher derived 10 constituents and 27 sub-constituents. The constituents are: <getting to know what has happened to her sister>, <feeling a chill to the marrow of her bones about the hopeless news>, <experiencing post-traumatic stress>, <changes of family dynamics>, <ambivalent feeling toward her sister>, <duplicity of her own existence>, <way of handling crisis and survival strategies>, <difficulty choosing survival strategies>, <growth strategies>. In conclusion, first, although sister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 not only psychological shock but also emotional conflict, pain, somatic symptoms, and changes of family dynamics, they try to help their sisters and grow positively from the experience. Second, sisters of sexual abuse victims feel ambivalent toward their sisters and feel confused toward themselves because they are not the one who were raped, but they are also the victims of the rape. However, they try to obtain the legitimacy of their own existence by admitting that they are also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ird, women whose sisters were sexually abused want to heal themselves and grow by knowing and expressing what they feel and getting professional help from others. Finally, the researcher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systematic,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 women whose sisters were sexually abused.

성범죄자에 대한 여대생들의 인식
김민지(숙명여자대학교) pp.85-107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5
초록보기
초록

최근 성범죄에 대한 대중매체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적인 성범죄 사례에 대한 정보나 사진을 쉽게 제공받게 되어 성범죄자 대한 인식은 실제와 비교하여 왜곡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대생들이 가지고 있는 성범죄자에 대한 인식 내용을 파악하고 공식 범죄 통계와 비교하여 성범죄자들에 대한 인식과 실제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서울 및 충청권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성범죄자에 대한 이미지 및 일반적인 인식, 성범죄자에 대한 특성, 성범죄자의 성향, 그리고 성범죄자의 유년시절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성범죄 및 성범죄자에 대한 인식 내용은 대중 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식 범죄 통계와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범죄자들에 대한 인식은 왜곡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사사법절차에서 범죄나 범죄자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perceptions and images of sex offenders and compared results with National Crime Statistics in order to explore and identify the stereotype content of sex offender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and answered by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n the following categories of questions: general perception and images, characteristics, and childhood of sex offen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ptions of sex offenders were influenced by mass media and a number of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content of the perceptions and National Crime Statistics. Negative implications for criminal justice systems were also discussed.

여대생의 폭식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모형의 검증
손은정(계명대학교) pp.109-128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성격적 차원의 완벽주의, 문화적 차원의 체면민감성, 사회적 차원의 사회비교, 그리고 신체상 차원의 신체감시 및 신체불만족과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다차원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서울과 대구 지역의 여대생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체면민감성은 완벽주의와 사회비교 간의 관계를, 완벽주의와 신체감시 간의 관계를, 그리고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사회비교는 체면민감성과 신체 감시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신체감시는 체면민감성과 신체불만족, 그리고 사회비교와 신체불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넷째, 신체불만족은 체면민감성과 폭식행동 간의 관계를, 그리고 신체감시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른 사람의 기대를 지나치게 높게 인식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타인의 평가에 민감한 체면민감성과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사회비교가 높아지게 되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관찰과 주의집중을 더 많이 하게 되며 신체불만족이 높아져 결국 폭식행동 경향이 많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특히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인 체면민감성이 부정적인 신체상과 폭식행동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 model for binge eating including the personality dimension as a perfectionism, the cultural dimension as a social-face sensitivity, the social dimension as a social comparison, the body image dimension as a body surveillance and body dis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316 college women recruited in Deagu and Seoul provinces.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on the binge eating showed that ⒜ social-face sensitivit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perfectionism and body surveillance, and perfectionism and body dissatisfaction, ⒝ social comparison mediated the relation of social-face sensitivity and body surveillance, ⒞ body surveillanc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face sensitivity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soci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 body dis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face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and body surveillance and binge eating. It shows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ead to social-face sensitivity and social comparison, which influence body surveillance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finally they cause binge eating. Especial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face sensitiv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beginning and maintenance of binge eating.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의 발달과 적응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고찰
남현주(부산대학교) ; 윤형식(부산대학교) ; 이태영(부산대학교) ; 신채영(부산대학교)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pp.129-168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이들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에 대한 국내논문 86편과 국외논문 31편이 분석되었다. 그중 양적논문은 90편, 문헌고찰 논문 16편, 질적연구 논문 9편이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의 발달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한부모 가정의 형성원인과 유형에 따른 특성, 둘째, 빈곤이 한부모 가정의 자녀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한부모 가정 자녀의 발달 및 적응문제(외현화 및 내면화 행동 문제, 학교적응 문제, 자녀의 부모화 문제, 가족구조의 결손이 미치는 장기적 영향), 넷째,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들(개인 내적 보호요인, 긍정적 부모-자녀관계의 기능, 가족탄력성, 공동양육자의 역할, 사회적 지지의 역할), 마지막으로 한부모 가정 자녀를 위한 개입 및 지원 프로그램 동향.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부모 가정 청소년에 대한 개입과 지원 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understanding the issues related to adolescents’ development and adap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This study reviewed 117 academic articles for conceptu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adap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major aspects related to the single-parent family's adolesc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verty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Second, the types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its characteristics, Thir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external and internal problems, school adaptation, parenting, long-term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their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y'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s and familial structural defects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 parent-adolescents relationship, family resilience, the role of co-parents, social support systems including teacher, peer, and community), Lastly intervention and helping programs for the single-parent family and their adolescent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helping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남녀 대학생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안상미(이화여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pp.169-190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의 부․모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상대적 예측력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204명을 대상으로 친밀 관계 질문지(ECR-R), 암묵적 연합 검사(IAT),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가 실시되었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남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시적 수준에서의 어머니 애착회피와 암묵적 수준의 애착인 어머니 IAT,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명시적 수준의 부․모 애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났으나, 암묵적 수준의 부․모 애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 성차가 드러난 결과로는 남자 대학생에서만 암묵적 수준에서의 자기 IAT와 아버지 IAT가 상관을 보였고, 여자 대학생은 정적정서가 부․모 애착 하위 변인들과의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명시적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대학생은 어머니 애착회피가 정적정서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부적정서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남자 대학생은 부․모 애착회피, 여자대학생은 부․모의 애착불안이었다. 삶의 만족도는 이성부모의 애착회피가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ather-moth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t contribution of implicit and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to subjective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 in explicit mother avoidant attachment, implicit 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Female students felt more close to their mother in implicit and explicit attachment. The male students felt more positive affect and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Second,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were al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no relationship in implicit paren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When male students implicitly felt that they are secure, they felt touchable their father. Third, Only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predicted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both male and female. Male’s positive affect was predicted mother avoidant attachment.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students and parent anxiety attachment in female influenced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as predicted each poosite sex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and female.

남편을 자살로 잃은 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벼리(전남대학교) ; 신현균(전남대학교) ; 한규석(전남대학교) pp.191-218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여성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5명으로 모두 최근 3년 이내에 남편을 자살로 잃었다. 자료의 수집은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Giorgi(1985)의 현상학적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핵심주제와 15개의 공통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핵심주제는 <이제야 선명해지는 남편의 자살신호-자살과 관련된 남편의 특성에 대한 참여자의 지각>, <내 남편은 만들어진 운명의 희생자-남편의 죽음에 대한 참여자의 해석과 수용>, <안팎으로 불구가 된 나-사별로 인한 참여자의 고통>, <죽음으로 기운 인생의 저울에서 생의 추 끌어올리기-회복 그리고 남겨진 삶 살아내기>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가 경험한 내용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했고, 해석학적 글쓰기를 시도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을 더 상세하게 묘사했다. 마지막으로 배우자 자살사별자들의 회복을 위해 사회와 임상장면에서 요구되는 역할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essential experience of bereaved women by spouse's suicide. Five participants who live in urban areas are women and they lost their spouses by suicide. Collecting data wa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set is analyzed by Giorgi(1985)'s phenomenological fourth phase. The results showed four core themes and fifteen superordinate themes. The four core themes are as follows: <Spouses' suicide signs that finally became distinct :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about spouses'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uicide>, <My husband is a victim of the given fate: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of spouse's death>, <I am totally disabled: suffering of the participants by spouse's death>, <Pulling up a weight of life slanted toward death: living a life as being left alone and recovering a messed up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five participants' experience were discussed. And hermeneutic writing was attempted in order to describe better the experience of bereaved women by spouse's suicide. Finally, required roles of our current society and clinical intervention were suggested. Furthermore,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홍주연(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윤미(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pp.219-242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행복감과 우울감에 영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기혼 중년여성 238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요인, 관계적 요인, 그리고 초월성, 삶의 의미, 자비심, 내적자원, 내적자각, 연결성의 영성적 요인이 중년여성의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행복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년여성의 행복에는 건강, 결혼만족, 영성의 내적자원과 연결성이, 우울에는 한 달 가구 총 소득, 종교유무, 건강, 그리고 결혼 만족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년여성의 행복은 인구학적 요인이나 관계적 요인에 비해 영성적 요인이, 중년여성의 우울은 영성적 요인에 비해 인구학적 요인이나 관계적 요인이 보다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영성적 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인구학적 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했으며,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즉 행복감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 relational, and demographic factors on happiness and depression of Korean married women in midlife. 238 middle aged women who were between the ages 40 to 64 living in Seoul and Incheon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piritual relational of transcendence, meaning in life, compassion, inner resources, awareness, and connectedness, demographic factors of health, education, economic status, averag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children, job, and religion, and relational factors of marriage satisfaction and closeness with childre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happiness and depression. Finding suggest that health, marriage satisfaction, spiritual factors of inner resources and transcendence significantly predicted happiness whereas health, average monthly income, religion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In particular spiritua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 for happiness but relig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interven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discussed concerning mental health of women in midlife.

다문화가정 시어머니의 고부갈등, 스트레스 대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성은영(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pp.243-256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시어머니들의 고부갈등,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정신건강 및 이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의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시어머니 집단(N=69)을 대상으로 고부갈등분석척도, 스트레스대처행동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일반가정 시어머니 집단(N=71)에서도 같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시어머니가 일반가정 시어머니에 비해 고부갈등을 더 많이 경험하며, 정신건강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에서는 특히 신체화와 우울을 보다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수동적 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시어머니의 고부갈등과 스트레스 대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부갈등의 주 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의 주 효과와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의 의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ping strategie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y and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The Factorial Structure of the Conflict Source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ping strategies Scale,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were administer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mother-in-law of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d the higher stress of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lso, mother-in-law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the worse about mental health that specially somatization and depression. But, coping strategies doesn't showe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coping strategies in multicultural family investigated that affects the mental health, the results correlated only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