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여성상담자의 자기성찰을 위한 포커싱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한나(학생생활상담센터) pp.1-19 https://doi.org/10.18205/kpa.2019.24.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포커싱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상담자들의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싱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상담자들의 자기성찰 경험을 살펴보고 여성상담자의 자기성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3주간 총 7시간 포커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주제와 8개의 범주, 21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주변정리 활동이 주는 자기성찰의 경험으로 3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적절한 거리두기 가능, 범주2) 나에 대한 새로운 발견, 범주3) 성장가능성 확인이다. 두 번째 주제는 자기성찰을 촉진하는 활동의 특징으로 3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체계적인 내면의 정리, 범주2) 감정상태의 변화, 범주3) 관계의 도움적 상호작용이다. 세 번째 주제는 자기성찰을 위한 포커싱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고려할 점으로 범주1) 프로그램이 가진 장점, 범주2) 프로그램에 대한 아쉬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상담자 자기성찰을 위한 포커싱 프로그램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to provide a database that helps focusing program’s developing and invigoration of female counselor’s reflectio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ocess includes focusing program for 7 female counselors who participate this program for 7 hours in 3 weeks and focus group interview to know participant’s specific experience. This database through focus interview is conducted in qualitative analysis. This analysis outcome is composed of 3 themes, 8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The first theme is reflection’s experience through surrounding arrangement activity. That is divided 3 categories. (Keeping distance ability, new discovery of self, Confirming growth potential) The second theme is operation’s feature to expedite self-reflection. That is divided 3 categories. (systematic inner arrangement, Change of emotional state, Helping interaction of relationship) The third theme is consideration point that is to invigorates focusing program for self-examination. That is divided 2 categories. (The pro and cons) This program’s shortcoming) Based on these research’s result, This thesis is suggest focus group interview for knowing participant’s specific experience, discussion to invigorate for counselor’s reflection and direction of research to next.

민담 ‘손 없는 처녀’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여성 심리 이해 -여성 정체성 발달단계 모델에 기반하여-
이다감(꿈상담과 타로) pp.21-45 https://doi.org/10.18205/kpa.2019.24.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형제의 민담 ‘손없는 처녀’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여성주의 시각에서 여성의 심리 발달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전 세계에 보편적으로 퍼져 있는 그림형제(Brothers Grimm)의 민담 ‘손 없는 처녀(The Handless Maiden)’는 한국에서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담이 주는 원형적 상징의 메세지 또한 사회적 조건을 반영하고 있다는 여성주의 시각에서, 여성심리의 이해를 시도 하였다. 민담 속 여주인공의 ‘손의 절단과 재생을 주도성의 상실과 재생 ’으로 연결하여, Downing& Roush의 ‘여성정체성 발달 5단계’ 모델과 함께 살펴보았다. 아버지에 의한 ‘손’의 절단과 함께 주도성이 상실되는 1단계 소극적 수용, 아버지와 분리하며 주도성의 회복이 시작되지만 은 손을 만들어주는 왕에게 의존하는 2단계 눈뜸. 다시 재분리와 주도성의 성장으로 숲으로 들어가는 3단계 새겨둠. 손의 재생과 주도성이 확립되는 통합의 4단계, 두 손의 재생과 함께 주도성과 친교성의 통합이 일어나는 마지막 5단계 적극적 참여의 과정을 밟는다. 이 모든 과정에서 민담 속 여주인공은 가부장제 사회라는 외적 조건에 의해 내면화 된 몸, 마음, 감정의 언어를 해체하고 새로운 자신의 언어를 주체적으로 찾아나간다. 본 연구의 의의는 외적 조건이 여성의 내면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고, 더 나아가 손의 상징인 주도성이 여성 정체성 발달 단계에 따라 주체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여성심리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는데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women from feminist perspective centering on the text of Brothers Grimm, ‘the Handless Maiden’. The folktale, which is universally spread all over the world, is already well known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omen’s psychology by demonstrating that the messages of archetypical symbols in folktales reflect the social conditions. The main character’s “cutting and regeneration of hands” is linked to the loss and regeneration of the initiative, and it is examined with the model in Downing & Roush’s ‘5 Stage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of passive acceptance, the initiative is lost with the cutting of ‘hand’ by father. In the second stage of revelation, despite the heroine’s separation from the father and recovery of the initiative, she depends on the king who makes the hand. In the third stage of embeddedness Emanation, with re-seperation and growth of the initiative, the heroine enters the forest. In the fourth stage of synthesis,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hands, the initiative is established. In the last stage of active commitment, the integration of initiative and friendship occurs with the regeneration of both hands. Through all these processes, the heroine in the folktale deconstructs the language of the body, mind, and emotion which are internalized by the external condition of the patriarchal society, and goes on looking for her own new language independently. It is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on women’s inner side and furthermore to feature the process that the initiative, which is the symbol of hand, is subjectively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of female identity through women’s psychology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여대생의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 효과
하정희(한양대학교) pp.47-66 https://doi.org/10.18205/kpa.2019.24.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거절민감성, 단절 및 거절 도식, 성적 자기주장 사이의 관계와 거절민감성이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성관계 경험과 성관계 경험 유무에 따른 거절민감성, 단절 및 거절 도식, 성적 자기주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여자 대학생 260명으로,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오프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주요 변인들간 상관계수 및 차이검증을 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절민감성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은 정적 상관이 있었고,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은 부적 상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성적 자기주장도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절민감성이 성적 자기주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을 매개로 하여 성적 자기주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성관계 경험 및 성관계 경험 유무에 따라 변인들에 있어서 거절민감성, 단절 및 거절 도식,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불안정 애착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선행연구들에서 한걸음 나아가, 거절민감성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라는 구체적인 변인들이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거절민감성이 높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을 가지고 있거나 성적 자기주장이 낮아서 대인관계를 비롯한 이성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여학생들을 위한 상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 scheme, sexual assertivenes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female students can predict their own vulnerability to sexual problems and provid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xual conflic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260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from July to August 2018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and Amos 18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exual assertiveness,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and sexual assertiveness negatively. In relation to the research model, a complete mediating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t rejection sensitivity does not directly affect sexual assertiveness, but indirectly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through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 scheme, sexual assertiveness according to experience of date and sexual intercour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few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on sexual assertiveness. So it is significant to reveal the mechanisms that influence sexual assertiveness. In addition,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use of their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low sexual assertiveness.

부부의 자기보고 결혼만족 및 지각된 배우자의 결혼만족 간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조영주(한경대학교) pp.67-85 https://doi.org/10.18205/kpa.2019.24.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결혼만족과 지각된 배우자의 결혼만족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이에 더하여, 배우자의 결혼만족 지각에서 지향성 편향, 지각의 유사성 편향, 지각의 정확성과 이들 지각의 편향과 정확성에서의 성차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126쌍의 부부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증,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자기보고 결혼만족이 아내의 자기보고 결혼만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남편은 자신의 결혼만족에 비하여 아내의 결혼만족을 낮게 지각하였고, 아내는 자신의 결혼만족에 비해서 남편의 결혼만족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배우자의 결혼만족에 대한 지각에서 지향성 편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자기보고 결혼만족과 이에 대한 배우자의 지각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자신의 결혼만족을 투사하여 배우자의 결혼만족을 지각하는 지각의 유사성 편향은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우자의 결혼만족도 지각에서 전체 지각의 정확성은 남녀 모두 유의하였다. 여섯째, 배우자의 결혼만족에 대한 직접 지각의 정확성은 아내가 남편의 결혼만족을 지각할 때는 유의하였으나, 남편이 아내의 결혼만족을 지각할 때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s and wife’s self-report and perceived spouse's relationship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married couples and were analyzed utilizing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es, and path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usband’s self-report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wife’s self-report marital satisfaction. Second, husband perceived his wife’s marital satisfaction lower than his own, and wife perceived her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higher than her own. Third, the directional bia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perception of spouse’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pouse’s self-report marital satisfaction. Fourth, the perceptual similarity bias was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Fifth, the total direct perceptual accuracy was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Sixth, direct perceptual accuracy in wife’s perceiving her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while direct perceptual accuracy in husband’s perceiving his wife’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included.

logo